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7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과학기술법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704683 
장기기증 의사표시에 대한 민사적 제문제
= Civil Issues on the Declaration of Intention of Internal Organs Donation

                                    

  • 저자명

    윤부찬 ( Bu Chan Yoon )                                                         

  • 학술지명

    과학기술법연구             

  • 권호사항

    Vol.15 No.1 [2009]                                                         

  • 발행처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05-246(42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9년

  • KDC

    500

  •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 KCI 피인용횟수

    1

초록 (Abstract)

  • In 1999, Internal Organs, etc. Transplant Act was established in Korea. According to the Act, it is possible to take internal organs from the alive, the dead, and the brain-dead. However, the Act has the critical points at civil issues as mentioned be...
  • In 1999, Internal Organs, etc. Transplant Act was established in Korea. According to the Act, it is possible to take internal organs from the alive, the dead, and the brain-dead. However, the Act has the critical points at civil issues as mentioned below. To begin with, it should be scrutinized regarding minors in civil law. Article 8 of the Act stipulates a minor older than 16 may declare one`s intention to donate internal organs independently, only the case of enucleation the consent shall be obtained from the legal representative. However, letting minor`s declaration of intention be valid without any legal consent infringes the protective ideology of minors. Thus, the Act must be amended as the consent of minor`s legal representative is mandatory for a minor to donate internal organs. The second, the Act does not regard the brain-dead as the dead, in spite of this, regarding the donation of internal organs they are treated as the very same. After one`s death, one`s body comes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bereaved family, then a member of the bereaved family may donate internal organs of the dead person. Even though the Act does not accept the brain-dead as the dead, the family do not meet the hurdle to donate internal organs of the brain-dead person, and the family can declare the intention to refuse the enucleation against the brain-dead person`s advance intention to donation of internal organs. These attitudes of the Act mentioned foregoing should be reexamined because these are not reasonable especially when we think about the civil law syste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87 19 장기 조직 이식 바이오뱅크 기증자의 포괄적 동의와 역동적 동의 / 유호정 2016  208
86 19 장기 조직 이식 충북대학교 의과대학에 등록한 시신기증인들의 사회적 특성 / 황선종, 이은영, 허영도, 허석열, 손현준 2012  303
85 19 장기 조직 이식 새로운 미디어 공공 캠페인으로서 교육적-오락물의 설득 효과에 대한 탐구 / 이병관, 최명일 2008  136
84 19 장기 조직 이식 국내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방안 / 조원현 2009  243
8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존간기증: 내과 의사의 견해 / 신동현 2016  1180
82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에 있어서 Cyclosporine 사용시 이식신의 생종율 및 신장기증의 변화 / 성건형 ,강경원 ,박찬현 ,강종명 ,박한철 1991  237
81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장애인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복춘희 2004  365
80 19 장기 조직 이식 설문조사를 통한 생체 신장 공여자의 기증 후 건강상태와 건강증진 생활방식 / 남민경, 이두인, 권오정 2014  583
79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을 위한 신적출 후 기증자 신기능의 장기적인 변화 / 장혜경 2007  522
78 19 장기 조직 이식 난자를 생명공학연구에 사용함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엄영란 2004  181
77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의 심장이식 현황 / 박국양 1999  285
76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 찬반론에 대한 고찰 / 구인회 2003  1075
75 19 장기 조직 이식 형법에 있어서 죽음의 개념 / 이재석 1999  195
74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유형별 기증 희망등록의도 및 가족 동의획득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차동필 2010  106
73 19 장기 조직 이식 모자간의 신장이식에서 이식 전 말초혈액에 존재하는 미세키메라현상이 이식신 생존에 미치는 영향 / 주신영 2009  137
72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 간이식의 현황과 그 문제점 / 이영주 1999  111
7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김동진 2003  121
7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의 법적 문제 : 사자장기증을 중심으로 / 정규원 2003  132
69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인의 문화적 관점과 장기이식의 윤리 / 이상목 2005  152
»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의사표시에 대한 민사적 제문제 / 윤부찬 2009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