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박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간호 간호학 2016. 8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170834 

유방암 장기 생존자의 삶 = The Life of Breast Cancer Survivors in Long Term Survival Period


http://www.riss.kr/link?id=T14170834



저자                         

백민자                                       

  • 형태사항

    71 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 최경숙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간호 간호학 2016. 8

  •                                

  • 발행국

    서울

  •                                

  • 언어

    한국어

  •                                 

  • 출판년                                
  • 2016

  • 주제어

    유방암. 장기 생존자, 일상생활 기술지


  • 초록 (Abstract)

    • 한국 유방암은 폐경 전 여성 유방암 환자의 비율이 서구에 비해서 높으며 5년 생존율이 증가함에 따라 비교적 젊은 나이에 유방암을 진단받고 오랜 기간 동안 암 생존자로 살아가고 있다. 유...
  • 한국 유방암은 폐경 전 여성 유방암 환자의 비율이 서구에 비해서 높으며 5년 생존율이 증가함에 따라 비교적 젊은 나이에 유방암을 진단받고 오랜 기간 동안 암 생존자로 살아가고 있다. 유방암 치료 종료 후 여러 가지 신체적, 심리적 증상으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으며 장기 암 생존 시기로 전환해 가는 과정에서 암 생존자는 또 하나의 새로운 적응과 회복이 필요함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또 다른 불안과 불확실성, 슬픔을 경험하게 된다. 암 생존의 과정은 진단을 시작으로 생존 또는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지속적이고 역동적으로 일어나는 삶의 연속적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유방암 장기 생존자들에게 총체적 관점에서 개별적인 간호 중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의학적 관점의 완치 판정 이면에 존재하는 그들만의 경험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 장기 생존자 각자가 처한 상황적 맥락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일상생활에서의 자기관리와 대처, 어려움을 그들의 언어로 생생하게 기술하고 그려내어 향후 유방암 장기 생존자의 간호제공 및 유방암 장기 생존자 관리 프로그램의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및 연구 문제 3
    • Ⅱ. 문헌고찰 4
    • 1. 유방암 생존자의 경험 4
    • 1) 유방암 생존자의 생존 단계별 삶의 질 4
    • 2) 유방암 생존자의 질병경험 6
    • 2. 일상생활 기술지(ethnography) 9
    • Ⅲ. 연구 방법 12
    • 1. 연구 설계 12
    • 2. 연구 질문 12
    • 3. 연구 장소 13
    • 4. 연구 참여자 13
    • 5. 자료 수집 15
    • 1) 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15
    • 2)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15
    • 6. 자료 분석 17
    • 7. 질 평가를 위한 제고 18
    • Ⅳ. 연구결과 19
    • 1. 유방암 장기 생존자의 삶 19
    • 1) 자기 성찰함 20
    • 2) 심리적 성장을 함 23
    • 3) 암염려 25
    • 4) 가족 안에서 길 찾기 28
    • 5) 삶의 범위를 조정함 31
    • 6) 후유증을 안고 살아감 35
    • Ⅴ. 논 의 40
    • 1. 연구의 40
    • 1) 심리적 중재를 위한 영적간호의 필요성 40
    • 2) 가족지지를 위한 간호중재 42
    • 3) 장기 유방암 생존자 관리를 위한 사회연계망 구축 44
    • 2. 연구의 의의 46
    • 1) 간호실무 46
    • 2) 간호 연구측면 47
    • 3) 간호교육측면 47
    • Ⅵ. 결론 및 제언 48
    • 참고문헌 50
    • 부 록 59
    • 국문초록 66
    • Abstract 69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28 19 장기 조직 이식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 최화영 2012  471
    227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정도와 학습요구 / 민지혜 2015  470
    226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의 외과적 관점 / 이승규 1999  467
    225 19 장기 조직 이식 간 이식 수혜자의 수술 후 경과 시기에 따른 교육 요구도 비교 연구 / 고다미 2012  464
    224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최행식, 송영민 2011  460
    223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인에서 비혈연 골수이식을 위한 골수공여자등록 적정규모에 관한 연구 / 양윤선 1999  459
    222 19 장기 조직 이식 성인 간이식 환자에서 신기능 이상의 빈도와 예후인자 / 김성균, 김형직, 이정표, 이상구, 김연수, 안규리, 한진석, 김성권, 이정상, 서경석 2003  448
    221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 장기 기증자 가족의 의료 비용 부담과 국가 보조금 / 이재헌, 이원정, 이나경, 이재명 2015  445
    » 19 장기 조직 이식 유방암 장기 생존자의 삶 / 백민자 2016  444
    219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수혜자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 연구 /윤혜진,김금순 2013  441
    21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의 사회적 거버넌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강치영 2012  437
    217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간이식과 생체 간이식의 장단점 / 조재원 2005  437
    216 19 장기 조직 이식 두개의 이식편을 이용한 성인 생체 부분 간이식에서 발생한 담도 합병증에 대한 치료 / 정재필 2004  427
    21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의 현재 / 김홍진 2001  424
    214 19 장기 조직 이식 수술실 간호사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가 간호 윤리 가치에 미치는 영향 / 서형은 2016  421
    213 19 장기 조직 이식 사후(死後) 장기기증 : 증여와 희생제의의 관점에서 / 박정호 2011  420
    212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 이식 수술에서 간 우엽 이식편에 대한 CT 용적 예측법의 관찰자간, 관찰자내 일치도와 정확성 / 이철승 2009  419
    21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이식 후의 원발성 피부암 발생률 분석 / 박경훈 2010  418
    210 19 장기 조직 이식 응급 간이식의 준비 / 박지연 2016  418
    209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 장기이식제도의 쟁점과 대안 / 김현철, 김휘원 2013  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