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0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중앙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546977 

간이식 수혜자의 경험 = The Experiences of Liver Transplant Recipients / 김옥현


 
 
저자 김옥현
형태사항 iii, 147 p..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간호학 2001
KDC 512.8
발행국 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01
소장기관 제주한라대학교 도서관,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중앙도서관


 
초록
간기능부전환자를 위한 치료법인 간이식술은 1년 생존율이 높은 편이나 일단 수술을 하면 평생 면역억제제를 복용하고 감염예방, 거부반응을 조심하는 등 적응의 새로움을 일상 생활에서 많이 겪고 있어 간이식 수혜자를 위한 장기 계획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간이식술을 위한 입원 기간을 제외하고는 적절한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으므로 간이식 수혜자가 겪는 경험을 이해하고 성공적으로 새로운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이식 수술을 하고 살아가는 수혜자가 이식과정을 통해 어떤 경험을 하게 되는가를 탐색하기 위하여 일상생활 기술적 연구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만성 간기능부전으로 간이식 수술을 한 후 3개월이 지난 남성 참여자 4명, 여성 참여자 3명으로 연구자와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연구 목적에 동의한 7명이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01년 6월부터 9월까지 집중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자료 수집 장소는 참여자의 집이나 병원 입원실, 환자 집 근처 조용한 장소 등이었다. 자료수집 방법은 개별적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이 있으며, 면담시 녹음을 하였다. 자료분석은 녹음되어진 자료를 기록으로 만들고 분석하기를 동시에 하였다.
간이식 수혜자의 간이식 경험은 다음과 같다.
1. 간염이라는 진단을 받고도 질병의 무서움을 알지 못하고 일상 생활에 지장도 없어 발병을 가볍게 여긴다.
2. 간경변증으로 진행되면서 몸의 변화가 나타나고, 간질환을 극복하기 위해 민간요법이나 대체요법을 포함한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며 노력 하나 보람없는 결과를 가져온다.
3. 치료를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병은 깊어가고 암담한 미래로 삶이 삭막해지며, 치유기간이 길어지면서 경제적 어려움을 겪게 되어 가족에 대한 부담감을 심각하게 경험한다.
4. 절망스러운 상태 속에서 간이식술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고 다시 살아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게 되나 간이식술을 선택하기까지 갈등을 경험한다. 선택의 어려움 속에서도 다시 살아날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갖게 되고, 먼저 간이식술을 경험한 간이식 수혜자들과 가족들의 적극적 권유로 어려움 등을 극복하고 수술을 택하게 된다.
5. 간이식술 후 신체적 힘듦을 극복하고 불안과 부담감, 안정감과 안도감이 교차하면서 점차 안정되어 간다.
6. 간이식술 후 퇴원을 하면서 간이식 수혜자들은 나누며 살아가는 삶으로 나아가는데, 몸도 새로워지고, 마음도 여유로워 지면서 주변인들과의 관계가 변화해간다. 간이식 수혜자들은 배우자나 가족 및 사회적 제도로부터 나누는 삶으로 나아가도록 힘을 얻기도 하고, 방해받기도 하면서, 삶의 방식에 자신에게 집중하기, 운명에 순응하기, 가족을 위해 살아가기의 변화가 나타난다.
결론적으로 간이식 수혜자의 경험은 나누며 살아가는 삶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이식 후 몸이 새로워지고, 마음도 여유로워 지면서 간이식 수혜자의 삶은 주위 사람들 특히 다른 간질환자나 간이식 수혜자들과 자신의 경험을 나누며, 적극적으로 사회봉사에 참여할 준비를 하며 살아간다. 이러한 간이식 수혜자의 경험 이해를 통하여, 일상생활 적응을 도울 수 있는 간호중재를 개발 고 이들을 위한 자조모임과 앞으로 이식을 받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목차

I. 서론
II. 문헌고찰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논의
VI. 결론 및 제언



주제어
간호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4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서의 RNA간섭 치료법의 전망 / 김재영 2015  1225
147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평가 중에 발생한 심장사 후 장기기증에 의한 신장이식: 단일기관 장기추적 결과 / 허나윤 외 2015  252
146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장기이식의 최신지견 / 윤익진 2016  778
145 19 장기 조직 이식 미국 정부, 장기이식 연구에 2억 달러 투자 / 안형준 2016  131
144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법상 장기기증자 지원 제도에 관한 고찰 / 김현철 2016  297
14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수혜자의 가족 및 의료인 지지와 희망이 사회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김옥수 외 2016  232
142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 공여자를 위한 상담 및 교육 / 손선영 2016  504
141 19 장기 조직 이식 응급 간이식의 준비 / 박지연 2016  418
140 19 장기 조직 이식 종설 : 조직 및 장기 재생 분야에서의 3D 프린팅 기술의 적용 현황 / 안치범 외 2015  483
139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2016  18230
138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유래물 기증자의 동의 및 동의철회의 법적 문제 / 이한주 2016  348
137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술 환자에서 혈당 수치가 임상 경과에 미치는 영향 / 유석하 2014  520
136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공여자의 수술 전 이식간 용적과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영상학적 검사의 유용성 / 주만기 2007  585
13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정도와 학습요구 / 민지혜 2015  470
134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수혜자와 배우자에 대한 사례연구 / 이혜진 2001  287
13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이행, 사회적 지지, 생리학적 지표 / 김현경 2013  372
»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경험 / 김옥현 2001  343
13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삶의 질과 치료지시 이행 / 두윤숙 2005  306
13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함아름 2012  355
129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기관리 구조모형 / 전미경 2016  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