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0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중앙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074620 

간이식 환자의 삶의 질과 치료지시 이행
 = Quality of life and compliance in liver transplant recipients / 두윤숙


 
 
저자 두윤숙
형태사항 iv, 69 p. ; 26 cm.
일반주기 참고문헌: p. 41-49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학전공 2005.6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05
소장기관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중앙도서관


초록
우리나라의 만성 간질환 및 간경변 환자의 사망률은 세계 4위이며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률은 전 인구의 5-9%로 알려져, 잠재적인 간질환자의 증가에 따른 치료계획으로 간이식이 필요하게 될 수도 있다는 전망도 염두에 두어야 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식 후 겪게 되는 신체적, 정신적 삶의 질과 더불어 치료지시 이행정도를 조사하여 상관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장기적 추후관리가 필요한 간이식 환자들의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을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은 2004년 10월 23일부터 2004년 11월 20일까지 서울시에 위치한 A 종합병원에서 간이식 수술을 받고 외래를 통해 건강관리를 받고 있는 간이식환자 중 연구에 참여한 15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과 임상적 특성, 삶의 질은 SF-36 Standard Korean(Korea) Version 2.0 도구, 그리고 치료지시 이행정도는 이영선(1997)이 사용한 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임상적 특성은 빈도분석, 간이식 후 삶의 질과 치료지시 이행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 삶의 질과 치료지시 이행정도와 대상자의 일반적, 임상적 특성과의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으로 검증하였다. ANOVA의 사후검정으로 등분산은 LSD, 이분산은 Dunnett`s T3 방법을 이용하였다. 삶의 질과 치료지시 이행정도와의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삶의 질 정도는 신체적 측면(PCS) 49.2점, 정신적 측면(MCS) 45.5점으로 신체적 측면이 더 높았다.
2. 일반적 특성 중 남자가 신체적 측면(PCS)에서 높았고, 교육수준은 전문대졸 이상의 학력이 고졸보다 정신적 측면(MCS)에서 높았고, 이식 전에 생산직 및 사무직에 종사한 경우가 전업주부보다 신체적 측면(PCS)이 높았고, 이식 후에는 생산직 및 사무직이 전업주부와 무직보다 신체적 측면(PCS)이 높고, 사무직이 무직보다 정신적 측면(MCS)이 높았으며, 생활하기 충분한 경제적 여건인 경우 신체적 측면(PSC), 정신적 측면(MCS) 모두 높았고, 치료비를 본인이나 부모가 부담하는 경우 신체적 측면(PCS)이 높았다.
3. 임상적 특성 중 간 질환 진단 후 경과 기간은 삶의 질 하부영역 활력(VT)과 사회적 기능(SF)에서 ‘10년 이상’이 높았고, 간이식 경과기간은 ‘3년이상-7년미만’이 높았고, 이식 후 구직의 어려움이 없는 경우 신체적 측면(PSC)과 정신적 측면(MCS)모두 높았으며, 약물 부작용이 없는 경우 신체적 측면(PCS) 높았다. 재입원을 경험하지 않는 경우 삶의 질 하부영역 일반적 건강(GH)과 활력(VT)에서 높았고, 지지모임에 참석하는 경우에 신체적 측면(PCS)과 정신적 측면(MCS) 모두 높았다.
4. 일반적 특성 중 여자가 치료지시 이행이 높게 나왔고, 이식전 무직인 경우 일반적인 건강관리영역의 치료지시 이행이 높게 나왔고, 다소 부족한 경제상태일 경우 치료지시 이행이 가장 높았다.
5. 임상적 특성 중 간이식 후 경과기간은 ‘1년 미만’이 감염예방과 투약영역에서 높았고, 일반적인 건강관리는 ‘1년미만-3년미만’이 높았으며, 활동 및 운동영역의 치료지시 이행은 재이식 경험이 있는 경우, 약물 부작용이 있는 경우높았고, 재입원의 경험이 없는 경우, 지지모임에 참석하지 않는 경우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간이식 환자는 질병 이전의 건강상태로의 완전한 복귀는 어렵고, 계속적인 추후관리가 필요한 치료지시 이행은 수혜자의 생존과 나아가 삶의 질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치료지시 불이행에 대한 확률과 원인 그리고 예방책에 대한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 의 42
Ⅵ. 결론 및 제언 4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경험 / 김옥현

발행년 2001 

  • 조회 수 343

19 장기 조직 이식 혈액형 불일치 신장이식 수술 후 출혈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 김미형

발행년 2015 

  • 조회 수 335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촉진을 위한 설득 커뮤니케이션 전략 분석 / 이현선

발행년 2015 

  • 조회 수 333

19 장기 조직 이식 원저 : 생체 신장 제공자의 수술 후 장기 추적 결과 / 이호균, 박종훈, 정상영, 최수진나

발행년 2012 

  • 조회 수 33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 공여자의 술전 담문계 해부학적 변이 진단을 위한 적정 자기공명영상 기법 / 임준석

발행년 2007 

  • 조회 수 33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간이식 수술에서 이식간 재관류 후 급성 저체온기 동안의 심실부정맥의 심전도상 징후 변화 / 박수경

발행년 2015 

  • 조회 수 32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 관한 의료법적 연구 / 이승희

발행년 2008 

  • 조회 수 328

19 장기 조직 이식 부산시민의 장기기증의사에 관련된 요인 / 황병덕, 임복희, 정웅재

발행년 2011 

  • 조회 수 328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대처행동 연구 : 스트레스, 대처행동, 삶의 질의 관계중심으로 / 황영옥

발행년 2004 

  • 조회 수 324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 직후부터 실시한 매일 운동프로그램이 근력과 생리적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권경혜

발행년 2013 

  • 조회 수 323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지식과 태도 연구 / 이진아

발행년 2008 

  • 조회 수 32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삶의 질 예측모형 / 김은만

발행년 2004 

  • 조회 수 317

19 장기 조직 이식 연구논문(硏究論文) : 장기이식에 관련한 법적,현실적 문제와 그 해결방안

발행년 2011 

  • 조회 수 31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삶의 질과 치료지시 이행 / 두윤숙

발행년 2005 

  • 조회 수 306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간이식 받은 환자 351명의 장기 성적 : 서울대학교병원의 경험

발행년 2008 

  • 조회 수 304

19 장기 조직 이식 충북대학교 의과대학에 등록한 시신기증인들의 사회적 특성 / 황선종, 이은영, 허영도, 허석열, 손현준

발행년 2012 

  • 조회 수 303

19 장기 조직 이식 Long-term medical risks to the living kidney donor

발행년 2015 

  • 조회 수 301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 장기이식의 현황과 법률문제 / 문성제

발행년 2006 

  • 조회 수 29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법상 장기기증자 지원 제도에 관한 고찰 / 김현철

발행년 2016 

  • 조회 수 297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기관리 구조모형 / 전미경

발행년 2016 

  • 조회 수 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