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929017 

간이식 수혜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elf esteem on self care in liver transplantation recipients / 정현정


저자 정현정
형태사항 vii, 70 p.; 26 cm.
일반주기  성신여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영주, 권말에 참고문헌 및 영문초록 수록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노인전문간호사과정) 2015. 8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5
소장기관 성신여자대학교 도서관


초록
간암 및 말기 간 질환의 치료방법으로서 간이식이 행해지고 있으며, 의학기술의 발전 및 면역억제제의 개발로 인해 이식 후 생존율 또한 증가하고 있다. 간이식 환자들은 수술에서 회복한 후에도 평생에 걸쳐 면역억제제 복용, 위생관리, 정기적인 검진 및 외래 진료 등 이식 후 거부반응, 감염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추후관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적인 자가간호를 필요로 하는 간이식 수혜자들이 자가간호 수행정도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사회 심리적 요인인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간호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간이식 후 6개월 이상 3년 미만인 환자로 통원치료를 위해 내원한 간이식 수혜자 10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2015년 3월부터 2015년 4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자가기입하도록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이식 수혜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은 남자 83명(82.2%)가 많았고, 연령은 평균 54.9세로 51-60세가 49명(48.5%), 61세 이상이 23명(22.8%)이었고, 결혼상태는 기혼이 97명(96%)이었다.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이 49명(48.5%)으로 가장 많았다. 이식 전 직업이 있었던 경우는 80명(79.2%), 이식 후 직업이 없는 경우는 45명(44.6%)이었다.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관련 특성을 살펴보면 대상자의 간이식 전 진단명이 간병변증인 경우가 60명(59.4%), 간암 27명(26.7%) 순이었고, 생체 기증자가 86명(85.1%)이었다. 연구 대상자는 수술 후 6개월 이상 3년 이하인 대상자로 평균 20.62개월이었다. 합병증으로 재입원 경험이 있는 경우가 34명(33.7%)으로 나타났으며, 재입원 횟수는 평균 2.5회였다.
연구결과 간이식 수혜자의 자아존중감은 자가간호 수행정도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사회적 지지는 자가간호 수행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가간호 수행정도가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β=.244, 95% CI=0.095~0.703). 또한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 연령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다시 말해, 본 연구에서는 나이가 많고,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가간호 수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논문개요
I. 서론
II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VI. 결론 및 제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48 19 장기 조직 이식 해외원정이식의 현황과 대응방안 / 안형준 외 2016  84
247 19 장기 조직 이식 The Argument Against Live-donor Liver Transplantation 1996  85
246 19 장기 조직 이식 지적(知的)장애인의 장기제공에 관한 법적 문제 / 송영민 2016  85
245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조직 기증·이식에 관한 법제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김지혜 2011  89
244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등의 기증계약 / 안법영 2004  90
24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법의 주요내용과 민법상의 몇가지 문제점 1999  90
242 19 장기 조직 이식 Living kidney donation: outcomes, ethics, and uncertainty 2015  94
24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에 있어서 간동맥 재건을 위한 특수 미세혈관수술교육의 효과 : 미세수술교육부터 임상적용까지 / 허위광 2010  95
240 19 장기 조직 이식 프랑스의 생명윤리법상 장기기증자의 추정동의에 관한 연구 / 이형석 2016  96
23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의사표시방식에 관한 각국의 최근동향 / 송영민 2018  96
238 19 장기 조직 이식 Liver transplantation in Latin America: Current status 2004  97
237 19 장기 조직 이식 Long-term medical risks to the living kidney donor 2015  98
236 19 장기 조직 이식 Challenging the Sanctity of Donorism: Patient Tissue Providers as Payment-Worthy Contributors 2015  98
235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 이식 전 환자의 사회적 지지, 희망, 불안 및 우울의 관계/배가령, 김수 2016  98
234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신장이식에서 KONOS의 경계공여자 기준의 개선을 위한 다기관 연구 수행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예비연구 / 허우성 2017  99
23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를 위한 퇴원 전 집단교육 프로그램 개발 2017  100
232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관한 일부간호사의 태도 조사 / 권현주 2009  101
231 19 장기 조직 이식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인체조직 기증 및 이식에 대한 인식과 태도 / 김복순 2015  102
23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장려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저항 : 개인의 저항 성향과 정보원 요인을 중심으로 / 김현정 2017  102
229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추정자 가족들의 뇌사 장기기증 동의에 대한 영향 요인 조사 / 오재숙 외 2017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