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0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 의학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906310 

한국인의 심장이식 수술 후 발생하는 동종 이식 관상동맥 질환의 특성분석 비교
 =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Allograft Coronary Artery Disease after Heart Transplantation in Korean Patients / 박경민


저자 박경민
형태사항 24 ; 26cm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 의학전공 2006. 2
발행국 울산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05
소장기관 울산대학교 도서관


 
초록
배경: 심장이식 후 장기생존을 위한 가장 큰 해결 과제는 이식된 심장에서 나타나는 관상동맥질환(graft vascular disease : GVD)이다. 관상동맥 질환은 이식수술 일 년 이후 사망률의 30 % 이상을 차지하며 현재로서는 뚜렷한 예방이나 치료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 서양의 여러 보고에서는 이식 후 공여혈관 병변(donor lesion) 및 새혈관 병변(de novo lesion)의 발생이 각각 이식환자의 30∼40 %에서 발생된다고 보고하였고, 병변의 특성은 미만성 병변(diffuse lesion)이 50 %, 동심성 병변(concentric lesion)의 경우 60 % 정도로 높게 발견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심장이식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식 후의 관상동맥질환 발생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목적: 연속적으로 시행된 혈관내초음파(intravascular ultrasound) 검사를 이용하여 심장이식 후 관상동맥에서의 공여혈관 병변 및 새혈관 병변의 발생빈도와 특성을 확인하고, 이식 초기와 후기의 관상동맥 혈관면적 및 내막두께의 변화양상과 혈관재형성(vascular remodeling)의 유형에 대해 비교분석 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심장이식을 시행한 환자들 중 이식 후 한 달 이내와 일 년 후에 연속적으로 혈관내초음파(serial intravascular ultrasound)를 시행한 58명의 환자(이식 후 초기 시행군; post-transplanted early phase group, EP group)와 이식한 지 일년이 지난 후에 초기 혈관내초음파 검사를 시행하고 이로부터 일 년 이상의 간격을 두고 연속적인 혈관내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43명(이식 후 후기 시행군; post-transplanted late phase group, LP group)을 포함한 총 10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혈관의 병변은 목표병변(target lesion)의 최대 내막두께가 0.5 mm 이상 측정되는 곳으로 정의하였다. 공여혈관 병변의 진단은 이식 후 첫 4주 안에 혈과내초음파가 시행된 EP 군 환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이들의 추적 혈관내초음파 검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새혈관 병변의 존재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식초기 혈관의 변화를 반영하는 EP 군과 이식 후기 혈관의 변화를 반영하는 LP 군의 혈관 및 혈관내막면적의 변화와 혈관재형성의 차이를 각각 비교하였다. 혈관의 면적 및 내막의 두께는 혈관내초음파 소견을 바탕으로 전문가가 직접 측정하였고, 혈관재형성은 재형성 지수(remodeling index) 계산법을 이용하여 재형성의 유형을 판단하였다.
결과: EP 군의 관상동맥 내막을 관찰한 결과 이식 한달 이내에 혈관내초음파 검사를 시행 받은 58명의 환자들 중 17명(29 %)에서 공여혈관 병변(donor lesion)이 관찰되었고, 일 년 후의 추적 검사상 새혈관 병변은 여덟 명(14 %)에서 나타났다. 공여혈관 병변의 경우 미만성 병변이 12 %, 동심성 병변이 12 % 이었고, 새혈관 병변에서는 미만성 병변과 동심성 병변이 각각 25 %, 13 % 이었다. 목표병변의 위치는 공여혈관 병변의 경우 근위부(proximal) 위치에 열한 명(65 %); 중간부위(mid)에 네 명(24 %); 원위부(distal) 위치에 두 명(11 %)이었고, 새혈관 병변의 경우 근위부 위치에 여섯 명(75 %); 중간부위에 두 명(25 %)이었다. 공여혈관 병변의 경우 추적 혈관내초음파 검사상 목표병변에서의 혈관면적의 변화(18.8±4.7 mm2; 18.5±3.8 mm2, p=0.28), 죽상경화반 면적의 변화(6.4±1.3 mm2; 7.0±1.5 mm2, p=0.34) 및 내막지수의 변화(35.8±8.4 %; 38.5±8.3 %, p=0.41)는 초기 검사와 큰 차이가 없었고, 재형성 지수는 2.3±6.5으로 초기 검사와 비교해 볼 때 양성 재형성의 양상이 발견되었다. 새혈관 병변의 경우 추적 혈관내초음파 검사상 목표병변의 혈관면적은 초기검사와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으나(20.5±3.4 mm2; 18.1±3.5 mm2, p=0.07) 혈관 내강의 면적은 의미 있게 감소하였고(17.3±2.5 mm2; 11.9±3.1 mm2, p=0.001) 죽상경화반의 면적은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3.2±1.6 mm2; 6.2±1.7 mm2, p=0.0006). 재형성지수의 경우 -2.5±4.9로 공여혈관 병변과는 달리 음성 재형성의 양상이 관찰되었다. EP 군과 LP 군의 비교에 있어서 추적 혈관내초음파 검사상 목표병변에서의 죽상경화반 면적의 변화는 EP 군(1.01±1.55 mm2)이 LP 군(0.83±
1.52 mm2)보다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많았다(p=0.001). 그러나 혈관면적(EP group; LP group = -0.85±2.26 mm2; 0.67±3.05 mm2,p=0.001)및 혈관내강의 면적(EP group; LP group = -1.85±3.60 mm2; -0.16±2.44 mm2, p=0.001)에서는 EP군에서 면적이 의미 있게 감소하였고 반대로 LP 군에서 의미 있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혈관재형성의 유형은 EP군에서 음성재형성이 관찰되었고, LP군에서는 양성재형성이 관찰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심장이식수술을 받은 우리나라 환자들의 관상동맥 질환의 발생 빈도와 특성을 서양인들의 결과와 비교해 보면 공여혈관 병변의 발생빈도는 비슷하였으나 새혈관 병변의 발생빈도가 상대적으로 적었고, 병변의 특성에서는 국소성 병변(focal lesion)과 편심성 병변(eccentric lesion)이 주로 발생하였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내막의 두께가 제일 두꺼운 목표병변의 위치는 공여혈관 병변과 새혈관 병변 모두 중간부 및 근위부에 주로 발생하였고, 원위부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추적 검사상 혈관재형성의 양상은 공여혈관 병변의 경우 양성재형성을 보였으며, 새혈관 병변에서는 음성 재형성의 양상을 보였다. EP군과 LP군의 비교에 있어서 죽상경화반의 양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혈관재형성의 경우 초기에는 음성재형성의 양상을 보이다가 후기에는 양성재형성으로 바뀌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중심 단어 : 심장이식, 관상동맥 질환, 혈관내초음파

 
목차
서론
연구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8 19 장기 조직 이식 소아 심장이식 환자들에서 이식 후 심박동수 변이 양상 / 장원경 2012  530
»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인의 심장이식 수술 후 발생하는 동종 이식 관상동맥 질환의 특성분석 비교 / 박경민 2005  540
46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임신이 이식신 및 출산에 미치는 영향 / 김민수 2014  544
45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 이식 후 조기 수술적 합병증의 99mTc-MAG3 신장 스캔 / 김인수 2005  562
44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의 가족지지.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이행과의 관계 / 정승명 2004  565
43 19 장기 조직 이식 원저 : 뇌사 장기 기증자 가족의 장기 기증에 대한 긍정성 조사 / 이재헌, 이원정, 이재명 2014  572
42 19 장기 조직 이식 설문조사를 통한 생체 신장 공여자의 기증 후 건강상태와 건강증진 생활방식 / 남민경, 이두인, 권오정 2014  583
41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공여자의 수술 전 이식간 용적과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영상학적 검사의 유용성 / 주만기 2007  585
40 19 장기 조직 이식 청소년의 자기결정권 보장방안 연구 : 생체장기기증을 중심으로 /정수진 2015  598
39 19 장기 조직 이식 사형수의 장기기증이 갖는 윤리적 쟁점에 관한 연구 / 안상희, 권복규 2012  605
3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후 발생되는 문제점과 대책 : 간이식후 간암의 재발에 대한 대책 / 김동구 2003  605
37 19 장기 조직 이식 윌슨병 환아에서 이형 접합 보인자 공여간을 이용한 혈연간 생체 부분 간이식 / 김진택, 장수희, 최보화, 김경모, 유한욱, 이영주, 이승규 2003  628
36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장기기증자의 기본권에 관한 연구 : 신체에 관한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황지영 2012  632
35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의 수술 후 자기효능증진과 운동훈련 프로그램 효과 / 안재현 2000  634
34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부분 간이식수혜자와 뇌사자 간이식수혜자 간의 삶의 질 비교 / 김금희 2003  652
33 19 장기 조직 이식 길버트 증후군 기증자로부터 시행된 간우엽 생체 간이식에서의 기증자의 안정성 및 수혜자 간기능에 대한 연구 / 강우형 2016  684
32 19 장기 조직 이식 병원간호사의 간호윤리 가치관 및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 김예진, 이명남 2011  689
3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후 발생한 급성 신부전의 임상상과 예후 / 오윤규, 한진석, 안규리, 김연수, 김성권, 이정상, 김강석, 이상구, 김성균, 서경석 2002  710
30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의 생체장기 기증제도에 대한 윤리적 고찰 / 김명희 2004  715
29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후 1개월내 총빌리루빈 재상승 환자에서 Biliary Canalicular Transporter 유전자 mRNA 발현 / 최종영, 조세현, 윤승규, 양진모, 한준열, 안병민, 이영석, 이창돈, 차상복, 정규원, 선희식, 김소연, 김동구 2003  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