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0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울산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의학/방사선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613822 

생체 부분 간 이식 수술에서 간 우엽 이식편에 대한 CT 용적 예측법의 관찰자간, 관찰자내 일치도와 정확성 / 이철승



저자 이철승
형태사항 ⅳ, 31 p. ; 26cm
일반주기 지도교수:김경원
학위논문사항 Thesis(M.A.)-- 울산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의학/방사선과 전공 2009. 2
발행국 대한민국
언어 영어
출판년 2009
소장기관 울산대학교 도서관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생체 부분 간 이식 수술에서 간 우엽 이식편에 대한 CT 용적 측정법의 재현성을 확인하고, 정확성을 결정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연구집단은 총 31명의 건강한 성인 (남성 25명, 여성 6명)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모두 2007년 2월과 3월에 생체 공여 간 이식 수술을 위해 간 우엽 공여수술을 본원에서 시행받았다. 두 명의 관찰자가 독립적으로 PACS 프로그램에서 지원하는 면적 합산 법을 이용해 CT 용적 측정법을 시행하였으며, (V1, V2) 이 중 한 명은 용적 측정을 두 차례 시행하였다. (V2-1, V2-2) CT 용적 측정법의 재현성은 급내 상관 계수를 이용한 관찰자간, 관찰자내 일치도를 통해 구하였다. 예측 이식편 중량 (EW)는 1.12 g/ml의 간 밀도를 적용하고, 이식편 내 혈액용적을 제거하는 등의 두 가지 교정 요소를 적용하여 구하였다. 이식편의 실제 중량 (RW)은 수술장에서 장기적출 후에 계측되었다. V 및 EW 와 RW간의 오차와 그 백분율이 계산되었다.
결과: V1, V2-1 및 V2-2의 평균값은 756.8 ml ± 141.7, 743.6 ml ± 142.4, 732.3 ml ± 145.4였다. EW1, EW2-1 및 EW2-2의 평균값은 601.8 g ± 112.7, 591.3 g ± 113.2, and 582.3 g ± 115.6 였다. RW의 평균값은 692.3 g ± 120.7 였다. V1과 V2-1, V1과 V2-2사이의 관찰자간 일치도를 나타내는 급내 상관계수는 각각 0.985 (95% 신뢰구간, 0.969-0.993) 과 0.971 (95% 신뢰구간, 0.942-0.986) 였다. V2-1과 V2-2간 관찰자내 일치도를 나타내는 급내 상관계수는 0.961 (95% 신뢰구간, 0.922-0.981) 였다. RW와 비교한 V1, V2-1, V2-2의 평균 오차 및 오차율은 64.5 ± 59.6 (9.6% ± 8.5), 51.3 ± 61.8 (7.6% ± 8.8), 및 39.9 ± 60.1 (5.8% ± 8.3) 였다. RW와 비교한 EW1, EW2-1, EW2-2의 평균 오차 및 오차율은 -90.4 ± 50.4 (-12.8% ± 6.7), -100.9 ± 52.2 (-14.4% ± 6.9) and -109.9 ± 49.1 (-15.8% ± 6.6) 였다.
결론: 간 이식편에 대한 CT 용적 측정법은 높은 관찰자간, 관찰자내 일치도를 보이므로, 좋은 재현성을 가진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V와 RW사이, EW와 RW사이 모두 주목할만한 오차가 계산되었고, 평균적으로 V는 RW보다 8.2% 크게, EW는 RW보다 작게 14.0% 작게 측정되었다.

 
목차
Introduction
Materials & Methods
Results
Discussion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요약
Tables
Figures
 

주제어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CT volumetry, right lobe, graft weight, 생체 부분 간 이식 수술, CT 용적측정법, 간 우엽 이식편 중량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68 19 장기 조직 이식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인체조직 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 윤미진 2016  62
267 19 장기 조직 이식 Mental Health Among Living Kidney Donors: A Prospective Comparison With Matched Controls From the General Population 2015  64
266 19 장기 조직 이식 Engineering Human Tissue and Regulation: Confronting Biology and Law to Bridge the Gaps 2001  65
265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등이식에관한법률"의 내용 및 시행상의 문제점 및 개선점 2004  68
264 19 장기 조직 이식 융복합 교육시대에 간호대학생의 장기이식 인식에 관한 모색 / 이자옥 외 2018  69
263 19 장기 조직 이식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인공장기 모델 / 이상훈 2018  71
262 19 장기 조직 이식 Mental Health Among Living Kidney Donors: A Prospective Comparison With Matched Controls From the General Population 2015  72
261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이식 임상적용에서의 자율성에 관한 논의/모효정 2014  74
260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장기 임상적용에 대한 불교적 관점 / 김민주 외 2017  75
259 19 장기 조직 이식 기획논문 : 뇌사와 장기이식 ;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의 이해 2000  76
258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 장기기증 서비스 디자인 연구 / 황신 2018  78
257 19 장기 조직 이식 미성년 장기제공자의 법적 보호/송영민, 손계수 2017  80
256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이식형 의료기기의 패키징을 위한 완전 밀폐 방법에 관한 연구 2017  80
255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에 대한 사전 지식수준과 언론보도의 논조에 따른 공중의 반응 분석/이현선 2016  81
254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환자의 체험 / 황영희 외 2017  81
253 19 장기 조직 이식 효율적인 장기기증 교육 · 홍보 메시지 개발을 위한 연구/선혜진 2017  82
252 19 장기 조직 이식 Children Organ Donation, Family Autonomy, and Intimate Attachments 2004  83
251 19 장기 조직 이식 생존장기기증자의 경험에 기반 한 지원체계 마련방안 / 정선주 2017  83
250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청소년의 건강 관련 의사결정패턴 / 허정미 2018  83
249 19 장기 조직 이식 각막기증 및 이식 활성화를 위한 법제 연구 / 배현아 2010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