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1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948130 

간 이식 수혜자의 수술 후 경과 시기에 따른 교육 요구도 비교 연구 / 고다미



기타서명 Liver transplant recipient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ime elapsed since liver transplant
저자 고다미
형태사항 vi, 94 p. : 삽화 ; 26 cm
일반주기 참고문헌 수록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2. 8
DDC 610.73 2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2
소장기관 서울대학교 의학도서관,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본 연구는 간 이식 수혜자의 교육 요구도와 간 이식 후 경과 시기에 따른 교육 요구도를 파악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간 이식 수혜자의 교육 요구도와 수술 후 시기에 따른 교육 요구도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 내 간 이식 수혜자이고 근접 모집단은 서울 소재 S병원에서 간 이식 수술을 받은 간 이식 수혜자 1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12년 2월 7일부터 2012년 4월 12일까지 S병원 간 이식 외과 외래에 방문한 대상자 중 선정 기준에 적합한 대상자를 선정하여 본 연구에 동의한 자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여 자료 수집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chi-square test, t-test, one-way ANOVA, Duncan 사후검정과 Cronbach’s alpha test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간 이식 수혜자의 교육 요구도 평균 평점은 ‘필요하다’ 이상인 2.6점이었고, 영역별로 살펴보았을 때 질병 관련 영역 3.1점, 식이 관련 영역 2.9점, 신체 및 정서 관련 영역 2.8점, 약물 관련 영역 2.7점, 일상 및 사회생활 영역 2.5점, 그리고 상처 관리 영역 1.9점으로 나타났다.

2) 간 이식 수혜자의 교육 요구도는 수술 후 경과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간 이식 수술 후 1개월의 교육 요구도 평균 평점은 2.7점이었고, 2개월-4개월에 2.8점으로 상승하여 5개월-9개월까지 유지되었다가 10개월-24개월의 교육 요구도가 2.4점으로 감소하였다.

3) 간 이식 수혜자의 교육 요구도가 하강하여 유지되는 시점은 수술 후 10개월로 나타났다.

4) 간 이식 수혜자의 교육 요구도는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 교육 수준과 월 수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질병관련특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간 이식 수혜자의 퇴원 후 성공적인 건강 관리를 위하여 수술 후 시기에 따라 변화하는 교육 요구도에 근거한 시기별 맞춤형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수술 후 10개월이라는 시점을 간 이식 수혜자들이 변화된 생활방식에 적응하게 되는 안정기로 보고 10개월 이전에 속한 대상자를 위한 지속적인 교육의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간 이식 수혜자들이 자가 관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식이와 신체 및 정서 관련 영역의 교육 요구도가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높은 양상을 보이고 있으므로 이들의 요구를 충족시키며 효과적인 자가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전략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개념적 기틀
Ⅳ. 연구 방법
Ⅴ. 연구 결과
Ⅵ. 논의
Ⅶ. 결론 및 제언


주제어
간 이식 수혜자, 수술 후 경과 시기, 교육 요구도, 자가 관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28 19 장기 조직 이식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인체조직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 최화영 2012  471
227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정도와 학습요구 / 민지혜 2015  470
226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의 외과적 관점 / 이승규 1999  467
» 19 장기 조직 이식 간 이식 수혜자의 수술 후 경과 시기에 따른 교육 요구도 비교 연구 / 고다미 2012  464
224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최행식, 송영민 2011  460
223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인에서 비혈연 골수이식을 위한 골수공여자등록 적정규모에 관한 연구 / 양윤선 1999  459
222 19 장기 조직 이식 성인 간이식 환자에서 신기능 이상의 빈도와 예후인자 / 김성균, 김형직, 이정표, 이상구, 김연수, 안규리, 한진석, 김성권, 이정상, 서경석 2003  448
221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 장기 기증자 가족의 의료 비용 부담과 국가 보조금 / 이재헌, 이원정, 이나경, 이재명 2015  445
220 19 장기 조직 이식 유방암 장기 생존자의 삶 / 백민자 2016  444
219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수혜자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 연구 /윤혜진,김금순 2013  441
21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의 사회적 거버넌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강치영 2012  437
217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간이식과 생체 간이식의 장단점 / 조재원 2005  437
216 19 장기 조직 이식 두개의 이식편을 이용한 성인 생체 부분 간이식에서 발생한 담도 합병증에 대한 치료 / 정재필 2004  427
21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의 현재 / 김홍진 2001  424
214 19 장기 조직 이식 수술실 간호사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가 간호 윤리 가치에 미치는 영향 / 서형은 2016  421
213 19 장기 조직 이식 사후(死後) 장기기증 : 증여와 희생제의의 관점에서 / 박정호 2011  420
212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 이식 수술에서 간 우엽 이식편에 대한 CT 용적 예측법의 관찰자간, 관찰자내 일치도와 정확성 / 이철승 2009  419
21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이식 후의 원발성 피부암 발생률 분석 / 박경훈 2010  418
210 19 장기 조직 이식 응급 간이식의 준비 / 박지연 2016  418
209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 장기이식제도의 쟁점과 대안 / 김현철, 김휘원 2013  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