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744149 

삽입형 제세동기를 이식한 환자의 적응 경험 / 이선미


저자 이선미

형태사항 vi, 88 p. : 삽화 ; 26 cm

일반주기 참고문헌 수록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5. 2

DDC 610.73 2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5

주제어 삽입형 제세동기, 적응 경험, 질적 연구

소장기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본 연구는 질적 주제분석 방법을 통해서 삽입형 제세동기(ICD)환자의 적응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내 삽입형 제세동기 환자들의 적응 경험에 대해 잘 알려지지 않았고, 적응하는 과정은 사회문화적 환경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국내의 삽입형 제세동기 환자들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A 병원에서 삽입형 제세동기를 이식한 후 5년이 경과되지 않은 참여자 18명을 대상으로 2014년 8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주로 대상자의 집으로 직접 찾아가거나, 병원 내 인공심박동기 검사실에서 심층면담이 이루어졌다. 면담시간은 최소 25분에서 최대 1시간 반 가량 이루어졌다. 면담 내용은 모두 필사 되었고, Hsieh와 Shannon (2005)의 질적 주제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6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제 1주제“치명적인 부정맥과의 첫 만남”은 연구참여자들이 몸의 이상신호를 발견하고, 진단 받기 전의 안 좋았던 생활습관을 반추하며, 의식을 잃고 쓰러진 실신의 경험을 진술하였다.
제 2주제“급류에 휩쓸리듯 진행된 삽입형 제세동기의 이식 수술”은 병원에서 의사로부터 삽입형 제세동기 이식을 권유 받게 되어 시술이 진행된 과정이다.
제 3주제 “내 품에 안겨진 차갑고 무거운 존재”에서는 삽입형 제세동기 이식 직후의 경험을 설명한다. 돌출되어 있는 기계로 인한 괴로움으로 잠을 이룰 수 없다고 하였고, 안전벨트와 가방을 멜 때 불편하기만 한 쇳덩어리를 참여자들은 제거하고 싶다고 하였다.
제 4주제“잊을 만 하면 엄습하는 죽음에 대한 불안”은 삽입형 제세동기 이식 후 참여자가 느끼는 불안에 대한 것이다. 그들은 또다시 쓰러져 의식을 잃고 죽을 지도 모른다는 두려움과 공포를 느끼고, 환자가 되어버렸다는 사실에 자신감을 상실하였다.
제 5주제는“고맙지만 반갑지 않은 손님, 전기충격”에 관한 것이다. 치명적인 부정맥을 감지한 제세동기의 전기충격으로, 참여자들의 심장은 다시 뛰게 된다는 점에 고마운 존재이지만, 깜짝 놀라게 해주는 두려운 존재이기도 하였다. 또한 몇몇 참여자들은 전기충격이 올 때마다 새롭게 주어진 또 하나의 심장을 기억하며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제 6주제“나와 함께 하는 존재, 제세동기”는 여러 가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삽입형 제세동기와 함께 살아가야만 하는 참여자들의 경험에 대한 내용이다. 특히 삽입형 제세동기 이식을 결정하고 적응하는 모든 과정에서 가족 구성원들의 유대관계 속에서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하며 살아가고 있었고, 이는 한국의 가족주의적인 특성을 잘 반영했다고 볼 수 있었다. 참여자들은 직장에서 심각한 질환을 가지고 있는 아픈 사람으로 인식되고, 부담스러운 일원으로 여겨졌다. 또한 주기적인 점검을 위한 비용과 7-8년 마다 배터리 교체를 위해 반복되는 수술에 대한 비용은 참여자들에게 부담이 되었다. 생명과 직결되는 제세동기에 대해, 참여자들은 제세동기와 관련된 정보를 얻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확인이 어려웠고, 참여자들의 눈에 비친 의료진들은 제세동기 기계의 오작동 여부, 배터리 소진 여부 등 기계의 수치에만 관심을 갖고 기계 중심의 치료를 하고 있다고 경험하였다.
본 연구는 삽입형 제세동기의 이식 환자의 적응 경험을 알아보는 연구로, 연구 결과는 환자들의 삶을 구체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국내에서 삽입형 제세동기 이식 후 적응 과정에서 겪게 되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어려움 등을 이해 할 수 있고, 제세동기 삽입 환자를 위한 간호에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목차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II. 문헌고찰 5
  • 1. 삽입형 제세동기(ICD) 5
  • 2. 삽입형 제세동기와 관련된 적응 경험 8
  • 3. 질적 주제분석 방법 12
  • III. 연구 방법 14
  • 1. 연구 설계 14
  • 2. 연구 대상 14
  • 3. 자료수집 절차 15
  • 4. 자료 분석 16
  • 5. 윤리적 고려 17
  • 6. 연구 결과의 질 확보 1
  • IV. 연구 결과 20
  • 1. 치명적인 부정맥과의 첫 만남. 27
  • 2. 급류에 휩쓸리듯 진행된 삽입형 제세동기의 이식 수술 31
  • 3. 내 품에 안겨진 차갑고 무거운 존재 37
  • 4. 잊을 만 하면 엄습하는 죽음에 대한 불안 44
  • 5. 고맙지만 반갑지 않은 손님, 전기충격 47
  • 6. 나와 함께 하는 존재, 제세동기 50
  • V. 논 의 64
  • 1. 삽입형 제세동기 환자의 적응 경험 64
  • 2. 연구의 제한점 71
  • 3. 간호학적 의의 72
  • VI. 결론 및 제언 73
  • 참고문헌 75
  • 부록 83
  • Abstract 8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9 장기 조직 이식 일반 신뢰와 정부신뢰가 뇌사 후 장기기증에 미치는 영향 / 이수인

    발행년 2018 

    • 조회 수 32

    19 장기 조직 이식 Saving Lives with Assisted Suicide and Euthanasia: Organ Donation After Assisted Dying / Shaw, David M.

    발행년 2015 

    • 조회 수 36

    19 장기 조직 이식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in Germany / Breidenbach, Thomas

    발행년 2016 

    • 조회 수 36

    19 장기 조직 이식 Iran's Experience on Living and Brain-Dead Organ Donation: A Critical Review / Aramesh, Kiarash

    발행년 2016 

    • 조회 수 36

    19 장기 조직 이식 Death Determination in Pediatric Organ Donation / Shemie, Sam D.

    발행년 2016 

    • 조회 수 39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와 건강인의 신체 활동 비교/한아름,박정윤

    발행년 2014 

    • 조회 수 39

    19 장기 조직 이식 A new law for allocation of donor organs in Israel

    발행년 2010 

    • 조회 수 44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 개정을 위한 입법적 쟁점/김휘원 김현철

    발행년 2017 

    • 조회 수 45

    19 장기 조직 이식 Living kidney donation: outcomes, ethics, and uncertainty

    발행년 2015 

    • 조회 수 4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의사표시에 대한 민사적 제문제 / 윤부찬

    발행년 2009 

    • 조회 수 49

    19 장기 조직 이식 Preliminary Marked Increase in the National Organ Donation Rate in Israel Following Implementation of a New Organ Transplantation Law / Lavee, J.

    발행년 2013 

    • 조회 수 50

    19 장기 조직 이식 웹기반 조혈모세포이식 정보제공 프로그램 개발/정문주,김동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50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신체활동상태에 따른 신체구성과 영양 및 골대사 지표에 관한 조사/ 우상구 전혜린

    발행년 2015 

    • 조회 수 53

    19 장기 조직 이식 Can the Brain-Dead Be Harmed or Wronged? On the Moral Status of Brain Death and its Implications for Organ Transplantation / Nair-Collins, Michael

    발행년 2017 

    • 조회 수 56

    19 장기 조직 이식 Cognitive Development and Pediatric Consent to Organ Donation

    발행년 2004 

    • 조회 수 57

    19 장기 조직 이식 근래의 신장이식 임상성적과 관련인자들: 단일기관 연구 / 안재성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58

    19 장기 조직 이식 조세감면정책을 통한 장기기증의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 정상기

    발행년 2009 

    • 조회 수 59

    19 장기 조직 이식 다층모형을 적용한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삶의 질 변화 영향요인/송지은, 소향숙

    발행년 2015 

    • 조회 수 61

    19 장기 조직 이식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인체조직 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 윤미진

    발행년 2016 

    • 조회 수 61

    19 장기 조직 이식 이식용장기의 수급불균형 해소를 위한 법제도적 과제 / 정상기

    발행년 2009 

    • 조회 수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