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 Vol.36 No.2s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182874 

Xenotransplantation 가능한가?


  • 제어번호 : 100182874
  • 저자명 : 안규리
  • 학술지명 :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
  • 권호사항 : Vol.36 No.2s [2012]
  • 발행처 : 한국동물번식학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5-6(2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2년
  • KDC : 527


초록 (Abstract)

장기이식분야는 효과적인 면역억제제의 개발과 더불어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현재는 다양 한 장기이식이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면역억제제의 장기 복용으로 인하여 감염은 물론 장기적으로 암이나 심혈관계 질환 등의 합병증은 여전히 문제가 되고 있다. 이를 극복 하기 위해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첫째는 고형 장기이식과 동시에 골수이식을 시행하여 면역관용을 유도하고 면역억제제 복용을 중단함으로써 약제에 의한 장기 부작용을 차단하려는 시도이다. 둘째는 현재도 여 러 장기이식들에서 면역억제제를 끊고도 이식 장기의 기능이 유지되는 임상적으로 면역관용 상태인 환자들이 있다. 면역관용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검사법을 개발한다면 향후 환자들 에서 이식 후 주기적으로 면역관용 검사를 시행하고 관용 상태로 나타날 경우, 면역억제제 를 끊는 시도를 할 수 있고 면역관용 검사에서 관용으로 갈 확률이 낮을 경우 지속적으로 면역억제제를 사용하는 환자 개인별 맞춤형 면역억제 치료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이런 기술들이 발달하더라도 고령화와 만성병의 증가로 공여 장기의 부족은 여전히 중요한 문제가 될 전망이기 때문에, 이종장기를 이용하여 장기이식의 수급 불균형을 해소 하 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하지만, 이종이식의 경우 동종 이식 시 보다 격렬한 거부반응이 발 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돼지에 다량 존재하는 알파갈에 대한 인간의 자연항체 반응 에 의한 초급성 거부반응이 발생하여 이식된 장기가 수분 또는 수시간 내 급속히 파괴된다. 현재 초급성거부반응은 알파갈 적중 돼지의 개발과 인간의 혈청보체 조절인자를 발현하는 형질전환돼지의 개발로 어느 정도 극복이 되었지만, 초급성거부반응 극복 이후에도 여전히 급성혈관성 거부반응이 발생하며, 혈관내피세포가 2차적으로 활성화되어 선천성 면역세포 의 침윤과 함께 혈액응고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요즈음은 초급성거부반응 이후의 다양한 급성혈관성 거부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다중 형질전환 무균돼지를 생산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알파갈이 결손된 돼지의 장기를 영 장류에 이식한 경우에 혈관 내피세포가 활성화되어 섬유소가 침착되며, 선천성 면역반응계 세포의 침윤이 일어나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거부반응을 극복하기 위해서 선천성 면역반응 조절과 함께 항응고 유전자를 과발현 시키거나, 섬유소 분해를 촉진하는 유전자 를 도입한 형질전환돼지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 분야 연구가 진행 중이 다. 장기이식에 비해 췌도 이식은 혈관을 연결하는 과정이 없기 때문에 이종이식거부반응의 강도가 약하고 시술의 위험이 적어서 전 세계적으로 이종췌도이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2009년 데이비드 쿠퍼 그룹에서는 혈청보체 조절인자인 hCD46를 발 현하는 형질전환돼지의 췌도를 영장류에 이식하였을 때 최장 1년까지 인슐린 비의존성을 보인바 있으며 벨기에 듀프렌은 돼지의 췌도를 생체 친화적 소재로 캡슐레이션하여 영장류 에 이식하였고 1년 가까운 생존율을 보고하였다. 이와 같은 이종장기이식은 장기이식 분야 의 중요한 미래 기술로서 장기 기증에 제한적인 문화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고령화 사회에 급속히 들어서는 우리나라에 필수적인 분야로 생각되며, 췌도, 파킨슨병, 각막 이식 등으로 부터 시작하여 고형장기로 그 시도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다른 방향으로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분화시킴으로써 세포이식에 이용하려는 노력도 계속되고 있다. 최근 역분화 줄기세포 유도 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향후 세포이식 분야와의 접목이 기대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28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를 위한 교육용 CD-ROM 개발 / 임효련 2007  221
127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과 자기결정권 2009  220
126 19 장기 조직 이식 투석이 필요한 상태의 뇌사 공여자로부터 신장이식 결과: 27례 / 이주연 2015  219
125 19 장기 조직 이식 약사의 복약상담 및 교육시행이 장기이식 환자의 만족도와 약품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 배성진 2015  218
124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에서의 조직은행 구조에 관한 연구 / 최승주 2000  212
123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 후 생존기간에 따른 수행능력과 삶의 질/우혜덕,박정숙 2012  210
122 19 장기 조직 이식 바이오뱅크 기증자의 포괄적 동의와 역동적 동의 / 유호정 2016  208
12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 가족의 스트레스 척도 개발 / 김민정 2014  208
120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가족에 대한 장기이식코디네이터의 의사소통경험 과정 연구 2018  208
119 19 장기 조직 이식 신이식 수술 후 발생한 만성 거부반응의 위험 인자에 대한 분석 / 조석주 2002  206
118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의 법적 의미와 장기등이식에관한법률 2003  202
117 19 장기 조직 이식 시신기증 영향요인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이주주 2011  197
11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환자의 동의권에 관한 연구 / 문상혁 2015  195
115 19 장기 조직 이식 형법에 있어서 죽음의 개념 / 이재석 1999  195
114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인 시신 기증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연계연구 / 이영일 2003  194
113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지식, 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효과 / 정은영, 서지혜 2016  193
112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에 관한 동의의 문제/이재경 2017  192
» 19 장기 조직 이식 Xenotransplantation 가능한가? / 안규리 2012  189
11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서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유성신 외 2015  181
109 19 장기 조직 이식 난자를 생명공학연구에 사용함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엄영란 2004  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