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0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1 No.1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9615305 

간이식 후 발생한 급성 신부전의 임상상과 예후 = Clinical Features and Effects on Prognosis of ARF that Occurred after Liver Transplantation


  • 제어번호 : 19615305
  • 저자명 : 오윤규, 한진석, 안규리, 김연수, 김성권, 이정상, 김강석, 이상구, 김성균, 서경석
  • 학술지명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 권호사항 : Vol.21 No.1 [2002]
  • 발행처 : 대한신장학회
  • 발행처 URL : http://www.ksn.or.kr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45-151(7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02년
  • KDC : 513.000
  • 등재정보 : KCI등재


초록 (Abstract)

배 경 : 간이식 후 급성 신부전은 빈도가 높고 수술 후 예후 변화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저자들은 간이식 수술 후 발생한 급성 신부전의 빈도, 임상양상, 예후에 미치는 영향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2년에서 2001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간이식 수술을 받은 만 15세 이상의 환자 중 후향적 연구가 가능한 35명(사체 간이식 19명, 생체 부분 간이식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 환자군의 성별은 남자 22명, 여자 13명, 나이는 49세(median, range; 18- 65세)였다. 간질환의 원인은 간경변 18명, 간경변과 간암이 같이 있던 경우 10명, 간암 3명, 전격성 간염 3명 그리고 선천성 담도폐쇄증이 1명이었다. 전체 환자 35명 중 사망 환자는 10명이었다. 35명 중 간이식 후 급성 신부전은 25명(71%)에서 발생하였고 이 중 7명(28%)이 사망하였다. 중증(혈청 크레아티닌 ≥2 ㎎/ dL)의 급성 신부전 환자 9명이었고 이 중 7명(77.8%)이 사망하였으나 경증의 급성 신부전 16명에서 사망 환자는 없었다. 투석을 시행 받은 2명은 모두 사망하였다. 수술 후 급성 신부전의 발생 시기는 1일(0- 39일)이었다. 급성 신부전이 발생한 25명 중 수술 중 장시간 지속된 저혈압 21명,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의 병력 10명, 대량수혈 8명, 급성거부반응 6명이었다. 급성 신부전 병발 후 생존한 18명은 신기능이 완전히 회복되었거나 경한 정도의 신기능 감소만이 있었다.
결 론 : 급성 신부전은 간이식 후 흔한 합병증이며 심한 급성 신부전이 있는 경우 예후가 불량함을 알 수 있다. 간이식 후 병발하는 급성 신부전의 적절한 치료 및 예방이 필수적임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8 19 장기 조직 이식 소아 심장이식 환자들에서 이식 후 심박동수 변이 양상 / 장원경 2012  530
47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인의 심장이식 수술 후 발생하는 동종 이식 관상동맥 질환의 특성분석 비교 / 박경민 2005  540
46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임신이 이식신 및 출산에 미치는 영향 / 김민수 2014  544
45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 이식 후 조기 수술적 합병증의 99mTc-MAG3 신장 스캔 / 김인수 2005  562
44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의 가족지지.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이행과의 관계 / 정승명 2004  565
43 19 장기 조직 이식 원저 : 뇌사 장기 기증자 가족의 장기 기증에 대한 긍정성 조사 / 이재헌, 이원정, 이재명 2014  572
42 19 장기 조직 이식 설문조사를 통한 생체 신장 공여자의 기증 후 건강상태와 건강증진 생활방식 / 남민경, 이두인, 권오정 2014  583
41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공여자의 수술 전 이식간 용적과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영상학적 검사의 유용성 / 주만기 2007  585
40 19 장기 조직 이식 청소년의 자기결정권 보장방안 연구 : 생체장기기증을 중심으로 /정수진 2015  598
39 19 장기 조직 이식 사형수의 장기기증이 갖는 윤리적 쟁점에 관한 연구 / 안상희, 권복규 2012  605
3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후 발생되는 문제점과 대책 : 간이식후 간암의 재발에 대한 대책 / 김동구 2003  605
37 19 장기 조직 이식 윌슨병 환아에서 이형 접합 보인자 공여간을 이용한 혈연간 생체 부분 간이식 / 김진택, 장수희, 최보화, 김경모, 유한욱, 이영주, 이승규 2003  628
36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장기기증자의 기본권에 관한 연구 : 신체에 관한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황지영 2012  632
35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의 수술 후 자기효능증진과 운동훈련 프로그램 효과 / 안재현 2000  634
34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부분 간이식수혜자와 뇌사자 간이식수혜자 간의 삶의 질 비교 / 김금희 2003  652
33 19 장기 조직 이식 길버트 증후군 기증자로부터 시행된 간우엽 생체 간이식에서의 기증자의 안정성 및 수혜자 간기능에 대한 연구 / 강우형 2016  684
32 19 장기 조직 이식 병원간호사의 간호윤리 가치관 및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 김예진, 이명남 2011  689
»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후 발생한 급성 신부전의 임상상과 예후 / 오윤규, 한진석, 안규리, 김연수, 김성권, 이정상, 김강석, 이상구, 김성균, 서경석 2002  710
30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의 생체장기 기증제도에 대한 윤리적 고찰 / 김명희 2004  715
29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후 1개월내 총빌리루빈 재상승 환자에서 Biliary Canalicular Transporter 유전자 mRNA 발현 / 최종영, 조세현, 윤승규, 양진모, 한준열, 안병민, 이영석, 이창돈, 차상복, 정규원, 선희식, 김소연, 김동구 2003  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