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7권 제2호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3669374 


(연구원, 도서관내에서 무료열람가능한 자료입니다.)


장기기증 서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수정된 계획행동이론의 적용

Factors to Predict Intention to Pledge Organ Donation - Applying Theory of Planned Behavior
유성신, 박현선, 민귀홍, 하영희, 김여정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7권 제2호, 2015.4, 43-70 (28 pages)



한국어 초록
본 연구는 장기기증의 서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계획행동이론의 ‘행동에 대한 태도’와 ‘자기효능감’의 변인에 개인적 특성 변인인 ‘이슈관여도’와 ‘주관적 지식’ 개념과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추가하여 장기기증 서약의도에 대한 예측모형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장기기증에 대한 서약의도의 52.9%를 8가지의 예측 변인으로 설명할 수 있다.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서약에 대한 태도’, ‘자기효능감’, ‘이슈관여도’가 높을수록, 또한 남성보다는 여성인 경우 서약의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령’과 ‘주관적 지식’은 예측 모형에 포함되었으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기기증 홍보와 커뮤니케이션에서 수용자들의 이슈관여도를 높이는 방안을 고려해야 하며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캠페인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장기기증에 대해 더욱 개방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해야 더욱 많은 서약의도를 이끌어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장기기증과 관련해 가장 많은 예측모델로 제시된 계획행동이론의 변수를 포함하고 이에 추가로 개인의 특성 변수를 포함하여 장기기증의 서약의도에 대한 설명력을 높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영어 초록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possible variables to predict one’s intention to pledge organ donation: attitude toward the behavior, self-efficacy, issue involvement and subjective knowledge. Attitude toward the behavior and self-efficacy are derived from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issue involvement and subjective knowledge are related to personal variables. The results show that the eight variables explain 52.9% of intention to pledge organ donation. Women with high scores in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pledge, self-efficacy and issue involvement are likely to show strong intention to pledge organ donation. However, age, only child and subjective knowledge are not significant.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o design campaigns to promote people’s issue involvement and self-efficacy in terms of organ donation. Also, considering that attitude change leads to behavior change, we suggest cultivating positive and open attitudes toward organ donation, which will in turn bring more pledges to donate organ. We believe this study contributes to greater explanations for intention to pledge organ donation by including various variables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previous studies.



목차

1. 문제제기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의의
6. 한계점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28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 조직과 세포의 기증 및 활용에 관한 법적 규율 / 이정념 2016  147
227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지식, 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효과 / 정은영, 서지혜 2016  193
226 19 장기 조직 이식 바이오뱅크 기증자의 포괄적 동의와 역동적 동의 / 유호정 2016  208
225 19 장기 조직 이식 생존간기증: 내과 의사의 견해 / 신동현 2016  1180
224 19 장기 조직 이식 길버트 증후군 기증자로부터 시행된 간우엽 생체 간이식에서의 기증자의 안정성 및 수혜자 간기능에 대한 연구 / 강우형 2016  684
223 19 장기 조직 이식 비혈연 조혈모세포 공여자의 기증 경험 / 유재연 2016  174
222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의 장기이식법의 가족주의적 기반 / 왕혜숙 2016  171
221 19 장기 조직 이식 프랑스의 생명윤리법상 장기기증자의 추정동의에 관한 연구 / 이형석 2016  96
220 19 장기 조직 이식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in Germany / Breidenbach, Thomas 2016  36
219 19 장기 조직 이식 Death Determination in Pediatric Organ Donation / Shemie, Sam D. 2016  39
218 19 장기 조직 이식 Iran's Experience on Living and Brain-Dead Organ Donation: A Critical Review / Aramesh, Kiarash 2016  36
217 19 장기 조직 이식 지적(知的)장애인의 장기제공에 관한 법적 문제 / 송영민 2016  83
21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에 대한 사전 지식수준과 언론보도의 논조에 따른 공중의 반응 분석/이현선 2016  81
215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 이식 전 환자의 사회적 지지, 희망, 불안 및 우울의 관계/배가령, 김수 2016  98
214 19 장기 조직 이식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인체조직 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 윤미진 2016  61
213 19 장기 조직 이식 해외원정이식의 현황과 대응방안 / 안형준 외 2016  83
»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서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유성신 외 2015  181
211 19 장기 조직 이식 독일의 장기와 조직의 기증, 적출 및 이식에 관한 법률 / 손미숙 2015  154
21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환자의 동의권에 관한 연구 / 문상혁 2015  195
209 19 장기 조직 이식 청소년의 자기결정권 보장방안 연구 : 생체장기기증을 중심으로 /정수진 2015  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