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199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424002 

장기이식의 윤리성에 대한 태도연구 : Q방법론적 접근 = (An) Attitudinal Study on Ethics of Organ Transplantation : A Q Methodological Approach


  • 저자 : 조민정
  • 형태사항 : vi, 74p. ; 26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p. 60-62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1998. 2
  • KDC : 512.8 4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1998
  • 주제어 : 장기이식, 윤리성, Q방법론, 간호학




초록 (Abstract)

20세기초 동물실험을 시작으로 시작된 장기이식은 의료기술의 발전과 효과적인 면역 억제제의 개발에 힘입어 21세기를 바라보는 지금에 이르러서는 이제 말기 장기기능부전 환자에 대한 효과적이고 대중적인 치료술로 자리를 굳혀가고 있으며 이미 우리 나라에서도 1969년에 신장이식이 최초로 시행된 이래 1만 건이 넘는 이식수술이 시행되었다
그러나 장기이식은 한 사람의 죽음 또는 살아있는 장기를 전제로 한 의료행위라는 이유에서 의료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어 냄과 동시에 인간성 경시, 자율성 침해와 같은 윤리적 문제가 필연적으로 뒤따르게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뇌사가 아직 법적으로 인정되지 않는 상태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미 많은 뇌사자 장기기식이 시행되었고, 97년도에 이르러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안」의 법제화가 진행되면서 장기이식의 윤리성에 대한 관심이 커져 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기이식이 활성화되어감과 동시에 윤리적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사회내 태도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뇌사 인정 여부, 장기 적출의 근거, 장기 적출 승낙 능력, 장기 기증 의사 등에 관련한 33개의 문항을 가지고 1997년 8월 1일에서 11월 15일까지 일반인 11명, 의료인 11명, 말기 신질환 환자 11명을 대상으로 Q방법론을 적용하여 장기이식의 윤리성에 대한 태도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각 유형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QUANL Program(PC Version)을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 방법으로 요인을 추출한 결과 3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유형에 따른 특성은 다음과 같다.
제 1 유형은 장기 기능부전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장기이식의 유용성은 인정하지만 이에 따른 인간성 경시와 같은 윤리적 부작용에 대해 크게 우려하고, 사회내 윤리적 질서 유지를 강조하며 장기 매매에 강력히 반대하고 있으며, 또한 이들은 타인의 장기기증 행위는 높이 평가하지만 자신들은 장기를 기증할 의사가 적은 사람들로 『형식적 규범론자들』로 명명하였다. 이 유형에는 모두 12명이 속하였고 일반인 6명, 의료인 4명, 말기 신질환 환자 2명으로 구성되었다.
제 2유형은 현대 의학은 물론 장기이식의 윤리성에 대해서는 별다른 문제점을 느끼지 않을 뿐 아니라, 오히려 그것이 가져다주는 공리를 매우 높이 평가하고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가급적 장기이식을 허용하려는 입장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자신 스스로도 이를 위해 적극적으로 장기를 기증할 의지가 있는 사람들로 『이타적 공리주의자들』로 명명하였다 여기에는 말기 신질환 환자 5명, 의료인 3명, 일반인 2명, 모두 10명이 포함되었다
제 3 유형은 장기 기능부전 환자들의 처지에 매우 공감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어 장기이식을 통해 많은 생명을 구하고 질적인 삶을 제공하는데 적극 찬성하지만 이러한 과정 속에서 인간의 자율성과 주체성이 침해되는 것에 크게 염려하고 있고 사회적 규범보다는 개별적인 존재로서의 인간에 큰 의미를 두는 사람들로 『인도주의적 지지자들』로 명명하였다. 의료인 4명, 말기 신질환 환자 4명, 일반인 3명, 모두 11명이 이 유형에 속하였다.
또한 세 유형 모두가 총 33개의 문항중 15개의 항목에서 일치된 의견을 보이고 있는데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은 장기이식의 필요성을 크게 인식하고 뇌사를 인정하는 것은 물론 많은 환자들이 장기이식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살아 있는 사람의 자발적인 장기 기증을 인정하고 장려하는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결국 이러한 공리주의적 태도는 현 사회 내에서의 장기이식에 대한 주된 윤리적 관점이라고 볼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08 19 장기 조직 이식 종설 : 장기기증을 위한 뇌사자 관리 / 길은미, 박재범 2015  414
207 19 장기 조직 이식 알콜성 간질환의 간이식 전 상담, 교육, 모니터링 / 김형숙 2018  414
206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체험 / 장유하 2018  408
205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과 장기기증 문화에 대한 검토 / 정화성 2013  389
204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 관한 형사정책적 연구 / 윤영수 2002  387
»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의 윤리성에 대한 태도연구 : Q방법론적 접근 / 조민정 1998  387
202 19 장기 조직 이식 독일의 인체조직이식 법체계에 관한 고찰 / 손미숙 2015  373
201 19 장기 조직 이식 환자 맞춤 암 치료의 중개연구 플랫폼 구축을 위한 환자 유래 이종이식 암 모델의 확립/박혜지 2014  373
20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이행, 사회적 지지, 생리학적 지표 / 김현경 2013  372
19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지식 및 태도 연구 / 장희경,노소민,박소연,김민지,한주연 2014  371
198 19 장기 조직 이식 의료용 생체재료 및 응용 : 생체재료를 이용한 줄기세포의 운명 조절기술 / 이은경 2015  369
197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장애인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복춘희 2004  365
196 19 장기 조직 이식 일개 병원 직원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태도와 교육요구 / 김미림 2016  360
19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함아름 2012  355
194 19 장기 조직 이식 소아 간이식 / 최하주 1997  354
19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공여신장이식에서 수혜자 및 공여자의 체형이 초기 이식신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최수윤 외 2004  352
192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 방안 / 이영주 2015  350
191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유래물 기증자의 동의 및 동의철회의 법적 문제 / 이한주 2016  348
190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공여자의 불확실성과 간 공여 영향 요인 / 전희옥, 박호란, 박진희 2005  345
189 19 장기 조직 이식 신체이식의 윤리적‧법률적 쟁점에 관한 고찰 / 이인영 2019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