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정책관리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178163 

장기기증 및 이식에 대한 장기이식등록기관 종사자의 지식과 태도 연구 : 시군구 보건소 공무원을 중심으로


  • 기타서명 :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civil servants at city, county, ward offices and health centers engaged in organ transplant registration upo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 저자 : 김양호
  • 형태사항 : vi, 75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소윤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정책관리학과 2010.8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0




초록 ( Abstract )

  • 이 연구는 장기이식등록기관의 시군구 ? 보건소 공무원을 중심으로 장기기증 및 이식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조사하여 장기기증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시행...
  • 이 연구는 장기이식등록기관의 시군구 ? 보건소 공무원을 중심으로 장기기증 및 이식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조사하여 장기기증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68개의 시군구 ? 보건소 1,090명의 종사자이며, 연구 도구는 총 65문항으로 대상자의 특성을 묻는 19문항, 장기기증 및 이식에 대한 지식을 묻는 20문항, 태도를 묻는 20문항, 지역사회 중심의 장기기증 활성화에 대한 의견을 묻는 문항 6문항이 포함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우편으로 2010년 1월 4일에서 2월 12일까지 시행하였으며 분석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ANOVA(F-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earson Correlation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장기기증 및 이식에 대한 지식의 정답율은 62.6%였으며 태도 점수는 최대 5점 만점에 평균 3.7±0.4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장기기증 및 이식에 대한 지식은 성별, 종교, 업무 담당 유무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장기기증 및 이식의 경험적 특성에 따른 지식은 들어본 경험, 교육 경험, 본인 희망 등록, 뇌사 또는 사망시 장기기증 경험, 의료인에게 정보를 획득한 경우, 조례 제정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장기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는 연령, 결혼, 직급, 근무 경력, 업무 담당 유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장기기증 및 이식의 경험적 특성에 따른 태도는 교육 경험, 본인 희망 등록, 가족중에 희망 등록, 뇌사 또는 사망시 장기기증 경험이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지식에 대해 요인 분석한 결과 성별, 종교, 업무 담당 유무, 조례 제정, 들어본 경험, 교육 경험, 본인 희망 등록, 의료인에게 정보를 획득한 경우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태도에 있어서는 연령과 본인 희망 등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대상자의 장기기증 및 이식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상관관계는 순 상관관계가 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장기기증 및 이식에 대한 지식이 높을수록 그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으로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시군구  보건소를 중심으로 지역보건의료사업의 한 분야로써 장기기증 및 이식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을 수립하고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한다면 지역사회중심의 장기기증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48 19 장기 조직 이식 국내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방안 / 조원현 2009  243
    147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의 이해 / 김종만 2012  244
    146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 이식 혈액암 환자의 간호요구도 / 김은자 2018  247
    14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정현정 2015  248
    144 19 장기 조직 이식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의 간이식 후 상담 및 교육 / 전경옥 2018  250
    143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장기와 환자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김주영 2003  251
    142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평가 중에 발생한 심장사 후 장기기증에 의한 신장이식: 단일기관 장기추적 결과 / 허나윤 외 2015  252
    141 19 장기 조직 이식 소아 간이식의 적응증 / 김용주 2001  253
    140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신장이식에서 이식 직전 뇌사자의 신기능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 최승혁 2017  257
    139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정착 및 활성화 / 주종우 2012  260
    138 19 장기 조직 이식 확장범주 신장이식의 국내 현황과 한국형 기준의 필요성 / 양신석 외 2017  261
    137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기증자 신장 분배제도의 현황 / 김미나 외 2017  261
    136 19 장기 조직 이식 의료용 생체재료 및 응용 : 경조직 대체물질 개발 및 응용 / 이우걸 2015  262
    135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희망자의 뇌사, 장기기증 및 이식에 대한 지식과 태도 / 서영심 2008  262
    134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 / 김상희 2006  263
    13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및 이식의 활성화 방안 / 김양이 ,양승훈 2007  265
    132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과 일본의 혈액사업 비교 / 김명희 1999  267
    131 19 장기 조직 이식 종교와 종교성이 뇌사 시 장기기증의사에 미치는 영향/조광덕 2017  276
    13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업무에 있어서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도 2007  276
    129 19 장기 조직 이식 가족간 신장이식에서 이식 전에 존재하는 미세키메라 현상이 이식 장기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 주신영 2010  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