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학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914550 


 특수부서 간호사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과 태도

=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brain dead organ donation among nurses working at special units



  • 저자[authors] 오영란

  •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iii, 46장 :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중앙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지도교수: 이옥철

  • 참고문헌수록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간호학전공 2018. 8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소장기관[Holding]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중앙도서관 (211052)

  • UCI식별코드 I804:11052-000000228314

초록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치유가 어려운 만성 질환자의 장기기증을 이용한 장기이식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어, 제도적으로 뇌사 인정제를 실시하고 있으나, 뇌사자 장기기증과 이식 건수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뇌사 추정자 또는 뇌사자를 직접 간호할 기회가 상대적으로 많은 특수부서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관해 파악 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소재 일 상급병원의 응급실, 내·외과계 중환자실, 수술실 간호사로서, 최종 107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부서 간호사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은 20점 만점에 평균 10.79점이었으며, 태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47점이었다. 또한, 대상자의 연령이 많을수록, 임상경력이 높을수록, 장기기증에 관한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가 지식 정도가 높았으며, 태도는 근무부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은 태도요인 중 인지적 태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220, p<0.05). 
결론적으로, 뇌사 추정자 및 뇌사자를 접하기 쉬운 특수부서 간호사의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은 보통이었으며, 지식이 높을수록 긍정적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이식을 수행하는 병원은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관련 교육을 제공하는 데 적극적일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사의 교육 요구도를 반영한 뇌사자 장기기증 관련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과 교육방법에 따른 교육효과를 측정하는 중재연구가 이어질 것을 제언한다.

다국어 초록
Due to the advancement of medical technology, the demand for organ transplantation using organ donation of chronic patients has greatly increased. Although legally brain death organ donation is accepted, there are not many cases of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brain donor organ donation among nurses working at special departments who are more likely to encounter brain death predictors or brain death cas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07 nurses working at the emergency room, medical intensive unit, surgical intensive unit, and operating room of a general hospital in Seoul. 
Results revealed that level of knowledge about organ donation was 10.79 points out of 20 and attitude score was 3.47 points out of 5. The higher the age and clinical career, the higher was the level of knowledge. Educational exposure to organ donation related to higher knowledge level. Attitud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work department. Knowledge of organ dona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ognitive attitude (r=.220, p<0.05).
In conclusion, knowledge of organ donation among nurses in special departments was moderate, and higher the knowledge, the more was the positive attitude. The hospitals performing organ transplantations confirmed that they need to be more active in providing relevant education to nurses.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need-based education program on organ donation and the intervention study to measur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must be implemented.


목차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3. 용어 정의 4
II. 문헌 고찰 5
1. 뇌사자 장기기증 5
2.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 및 태도 7
III. 연구 방법 10
1. 연구 설계 10
2. 연구 대상 10
3. 연구 도구 10
4. 자료 수집 11
5. 윤리적 고려 12
6. 자료 분석 12
IV. 연구 결과 13
1.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13
2.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및 태도 15
3.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및 태도의 차이검증 19
4.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과 태도요인 간 상관관계 21
V. 논 의 22
VI. 결론 및 제언 26
참고문헌 28
부록 32
국문초록 43
ABSTRACT 4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88 19 장기 조직 이식 일반 신뢰와 정부신뢰가 뇌사 후 장기기증에 미치는 영향 / 이수인 2018  32
287 19 장기 조직 이식 Saving Lives with Assisted Suicide and Euthanasia: Organ Donation After Assisted Dying / Shaw, David M. 2015  36
286 19 장기 조직 이식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in Germany / Breidenbach, Thomas 2016  36
285 19 장기 조직 이식 Iran's Experience on Living and Brain-Dead Organ Donation: A Critical Review / Aramesh, Kiarash 2016  36
284 19 장기 조직 이식 Death Determination in Pediatric Organ Donation / Shemie, Sam D. 2016  39
283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와 건강인의 신체 활동 비교/한아름,박정윤 2014  39
282 19 장기 조직 이식 A new law for allocation of donor organs in Israel 2010  44
28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 개정을 위한 입법적 쟁점/김휘원 김현철 2017  45
280 19 장기 조직 이식 Living kidney donation: outcomes, ethics, and uncertainty 2015  49
27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의사표시에 대한 민사적 제문제 / 윤부찬 2009  49
278 19 장기 조직 이식 Preliminary Marked Increase in the National Organ Donation Rate in Israel Following Implementation of a New Organ Transplantation Law / Lavee, J. 2013  50
277 19 장기 조직 이식 웹기반 조혈모세포이식 정보제공 프로그램 개발/정문주,김동희 2013  50
276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신체활동상태에 따른 신체구성과 영양 및 골대사 지표에 관한 조사/ 우상구 전혜린 2015  53
275 19 장기 조직 이식 Can the Brain-Dead Be Harmed or Wronged? On the Moral Status of Brain Death and its Implications for Organ Transplantation / Nair-Collins, Michael 2017  56
274 19 장기 조직 이식 Cognitive Development and Pediatric Consent to Organ Donation 2004  57
273 19 장기 조직 이식 근래의 신장이식 임상성적과 관련인자들: 단일기관 연구 / 안재성 외 2017  58
272 19 장기 조직 이식 조세감면정책을 통한 장기기증의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 정상기 2009  59
271 19 장기 조직 이식 다층모형을 적용한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삶의 질 변화 영향요인/송지은, 소향숙 2015  61
270 19 장기 조직 이식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인체조직 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 윤미진 2016  61
269 19 장기 조직 이식 이식용장기의 수급불균형 해소를 위한 법제도적 과제 / 정상기 2009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