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63219 
신장이식 환자의 치료지시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Affecting Treatment Adherence of Kidney Transplantation Recipients

  • 저자[authors] 이정아,김영아,정향인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9No.2[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콘텐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619-62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n explanatory research conducted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f treatment adherence in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The subjects were 132 renal transplant recipients who visited the outpatient department in a university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7, 2017, to August 22, 2017, and analyzed using SPSS WIN 24.0.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eatment adherence based on the age, religion, and the time passed since kidney transplantation.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 treatment adherence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ocial support (r=.54, p<.001), family support (r=.43, p<.001), health provider’s support (r=.57, p<.001), and self-care knowledge (r=.21, p=.015).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reatment adherence were health provider’s support, the time passed since kidney transplantation, spouse, and religion. The final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41.9%. In conclusion, intervention strategies should be introduced to promote the support of healthcare providers in order to improve the adherence of the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국문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신장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지시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설명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일 대학병원 외래를 방문하는 신장이식 환자 132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7년 7월 17일부터 2017년 8월 22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4.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분산분석,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연령, 종교의 유무, 이식 후 경과기간에 따라 치료지시이행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또한 총 사회적 지지(r=.54, p<.001), 가족의 지지(r=.43, p<.001), 의료인의 지지(r=.57, p<.001) 및 자가 간호지식(r=.21, p=.015) 역시 치료지시이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의 결과, 치료지시이행의 영향요인은 의료인의 지지, 신장이식 후 경과기간, 배우자 유무, 종교의 유무였고, 최종 설명력은 41.9%였다. 결론적으로, 신장이식 환자들의 치료지시이행을 높이기 위해 의료인의 지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중재방안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88 19 장기 조직 이식 일반 신뢰와 정부신뢰가 뇌사 후 장기기증에 미치는 영향 / 이수인 2018  32
287 19 장기 조직 이식 Saving Lives with Assisted Suicide and Euthanasia: Organ Donation After Assisted Dying / Shaw, David M. 2015  36
286 19 장기 조직 이식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in Germany / Breidenbach, Thomas 2016  36
285 19 장기 조직 이식 Iran's Experience on Living and Brain-Dead Organ Donation: A Critical Review / Aramesh, Kiarash 2016  36
284 19 장기 조직 이식 Death Determination in Pediatric Organ Donation / Shemie, Sam D. 2016  39
283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와 건강인의 신체 활동 비교/한아름,박정윤 2014  39
282 19 장기 조직 이식 A new law for allocation of donor organs in Israel 2010  44
281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등 이식에 관한 법률」 개정을 위한 입법적 쟁점/김휘원 김현철 2017  45
280 19 장기 조직 이식 Living kidney donation: outcomes, ethics, and uncertainty 2015  49
27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의사표시에 대한 민사적 제문제 / 윤부찬 2009  49
278 19 장기 조직 이식 Preliminary Marked Increase in the National Organ Donation Rate in Israel Following Implementation of a New Organ Transplantation Law / Lavee, J. 2013  50
277 19 장기 조직 이식 웹기반 조혈모세포이식 정보제공 프로그램 개발/정문주,김동희 2013  50
276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신체활동상태에 따른 신체구성과 영양 및 골대사 지표에 관한 조사/ 우상구 전혜린 2015  53
275 19 장기 조직 이식 Can the Brain-Dead Be Harmed or Wronged? On the Moral Status of Brain Death and its Implications for Organ Transplantation / Nair-Collins, Michael 2017  56
274 19 장기 조직 이식 Cognitive Development and Pediatric Consent to Organ Donation 2004  57
273 19 장기 조직 이식 근래의 신장이식 임상성적과 관련인자들: 단일기관 연구 / 안재성 외 2017  58
272 19 장기 조직 이식 조세감면정책을 통한 장기기증의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 정상기 2009  59
271 19 장기 조직 이식 다층모형을 적용한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삶의 질 변화 영향요인/송지은, 소향숙 2015  61
270 19 장기 조직 이식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인체조직 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 윤미진 2016  61
269 19 장기 조직 이식 이식용장기의 수급불균형 해소를 위한 법제도적 과제 / 정상기 2009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