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울산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2014. 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376192 


환자 맞춤 암 치료의 중개연구 플랫폼 구축을 위한 환자 유래 이종이식 암 모델의 확립

=Establishment of patient-derived xenograft models for translational research platform of personalized cancer therapeutics


  • 저자[authors] 박혜지

  • 발행사항 울산 :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4

  • 형태사항[Description] vi, 38 p. : 삽화, 표 ; 30 cm

  • 일반주기명[Note] 울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br>지도교수: 최은경<br>참고문헌 : p. 37-38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울산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2014.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울산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4

  • 주제어 암,환자 유래 이종이식 암,맞춤형 치료,중개연구

  • 소장기관[Holding] 울산대학교 도서관 (248009)



초록[abstracts] 


한국인 사망원인 1위는 암이며, 암 종별 사망 순위 1위는 폐암이고 다음으로 간암, 위암, 대장암 순이다.  이들 암 종에 대한 치료효과를 높이고자 범 세계적으로 새로운 방법이 지속적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그 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 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이 현실이다. 효과적인 암 치료기술 연구개발을 더디게 하는 가장 큰 걸림돌은 개개인의 환자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암의 특성과 이에 기인한 치료 반응성의 차이이며, 이를 이해하고 극복할 수 있는 연구모델의 개발과 활용을 통한 환자 맞춤형 암 치료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암의 환자 개별적 다양성을 극복할 수 있는 환자 맞춤형 암 치료기술 개발의 강력한 공략법을 확립하고자 환자의 암 조직을 마우스에 이식한 환자 유래 이종이식암 (patient-derived xenograft (PDX) tumor) 모델 들을 구축하고 이를 활용한 암 중개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PDX는 환자의 암 미세환경을 그대로 보존하며 환자 개개인의 암 특성을 대변하는 모델로써 맞춤형 암 치료기술 개발을 비롯한 암 연구의 전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모델로 인정 받고 있으며 그 관심과 가치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한국인 암 종별 사망 순위 상위 4대 암인 폐암, 간암, 위암, 대장암의 PDX 모델 구축을 위하여 폐암 79 cases, 간암 109 cases, 위암 106 cases, 대장암 45 cases를 포함하여 총 339 cases를 NOD/SCID mouse에 이식하였으며, PDX tumor가 폐암 16 cases, 대장암 16 cases, 위암 35 cases, 간암 9 cases에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22.4%의 성공율을 나타내었다. NOD/SCID mouse에서 형성된 PDX tumor를 BALB c/nude mouse에 2차 이식을 한 경우 tumor 형성 성공율은 46 %였다. 많은 양의 PDX tumor 조직 확보, 환자 암 조직과 PDX tumor 간의 상동성 검증, 적합한 모델 형성의 계대 이식 횟수 한계를 판정하고자 계대 이식을 7차까지 지속하였으며, 각 passage마다 H&E staining을 통한 조직학적 분석, finger pringing과 mutation analysis를 통한 유전학적 상동성을 검증하였다. 잉여 PDX 암 조직을 동결보관 하였다가 필요 시 해동하여 재이식 할 수 있는 효   율적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암 조직 동결 및 재생에 관한 최적의 조건을 확립 하였다. 또한, 환자 맞춤형 암 치료기술 개발을 위한 중개연구 도구로써 PDX모델의 가치 평가와 활용도 확대를 위하여 각 case별로 종양성장 곡선 작성, 방사선 치료 반응성 평가, 기존 또한 신규 항암제 반응성 평가, biomarker 발굴 및 검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에 관한 결과를 활용 예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PDX 모델 구축에 관한 standard of protocol (SOP)이 확립되었으며, 구축된 PDX 모델들은 암 중개연구의 전천후 도구로써 활용되어 환자 맞춤형 암 치료기술 개발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 된다.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 요약 i

약어 목록

차례 iv

그림 목차 v

표 목차 vi

서론 1

재료 및 방법 3

결과 11

고찰 33

Abstract  36

참고문헌    3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08 19 장기 조직 이식 종설 : 장기기증을 위한 뇌사자 관리 / 길은미, 박재범 2015  414
207 19 장기 조직 이식 알콜성 간질환의 간이식 전 상담, 교육, 모니터링 / 김형숙 2018  414
206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체험 / 장유하 2018  408
205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과 장기기증 문화에 대한 검토 / 정화성 2013  389
204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 관한 형사정책적 연구 / 윤영수 2002  387
20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의 윤리성에 대한 태도연구 : Q방법론적 접근 / 조민정 1998  387
202 19 장기 조직 이식 독일의 인체조직이식 법체계에 관한 고찰 / 손미숙 2015  373
» 19 장기 조직 이식 환자 맞춤 암 치료의 중개연구 플랫폼 구축을 위한 환자 유래 이종이식 암 모델의 확립/박혜지 2014  373
20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이행, 사회적 지지, 생리학적 지표 / 김현경 2013  372
19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지식 및 태도 연구 / 장희경,노소민,박소연,김민지,한주연 2014  371
198 19 장기 조직 이식 의료용 생체재료 및 응용 : 생체재료를 이용한 줄기세포의 운명 조절기술 / 이은경 2015  369
197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장애인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복춘희 2004  365
196 19 장기 조직 이식 일개 병원 직원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태도와 교육요구 / 김미림 2016  360
19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함아름 2012  355
194 19 장기 조직 이식 소아 간이식 / 최하주 1997  354
19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공여신장이식에서 수혜자 및 공여자의 체형이 초기 이식신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최수윤 외 2004  352
192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 방안 / 이영주 2015  350
191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유래물 기증자의 동의 및 동의철회의 법적 문제 / 이한주 2016  348
190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공여자의 불확실성과 간 공여 영향 요인 / 전희옥, 박호란, 박진희 2005  345
189 19 장기 조직 이식 신체이식의 윤리적‧법률적 쟁점에 관한 고찰 / 이인영 2019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