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7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226851 


이종이식에 관한 시민 인식 연구 

= A Study on Public Attitudes toward Xenotransplantation


  • 저자[authors] 모효정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윤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3No.1[2012]

  • 발행처[publisher] 한국생명윤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51-6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2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570

  • 주제어[descriptor] 이종이식,시민 인식,사회적 합의,대중 협의,Xenotransplantation,Public attitude,Social consensus,Public consultation



초록[abstracts] 


[부족한 동종이식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이종이식은 인수공통감염병의 발생, 평생추적관리로 인한 인권침해, 통의 철회의 불가능, 가족 동의의 필요성, 공여동물의 사용 등 다양한 사회적, 윤리적 쟁점을 야기한다. 이에 각 국가에서는 이종이식에 관한 사회적 합의와 시민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다양한 시민참여 방법을 시도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2003년부터 이종이식에 관한 사회적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일반시민 대상 설문조사, 이종이식 연구자 인식 조사, 제 1형 당뇨환자 인식 조사, 시민 합의회의 등이 수행되었다. 일반 시민들은 대체적으로 이종이식 연구의 정당성을 인정하고 있지만, 공중보건상의 위험으로부터 사회를 보호하기 위한 규제의 제정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종이식 연구자들은 이종이식 연구의 정당성은 인정하지만 임상적용에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이종이식의 첫 번째 수혜자이자 직접적인 이해당사자인 제 1형 당뇨환자들은 이종이식에 거부감을 보였으며, 평생추적관리, 사후 사체기증, 그리고 부검 등에도 부정적인 의견을 피력하였다. 중립적인 입장에서 과학기술을 평가하는 일반 시민들의 의견, 연구의 발전 과정에서 전문성에 근거하여 평가하는 과학자와 전문가의 자문, 그리고 선행 경험 및 직접적 사고를 바탕으로 의견을 제시하는 환자들의 견해 모두가 과학기술의 규제 설정과정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Xenotransplantation may provide an alternative to the shortage of allograft for transplantation. It raises a number of social and ethical issues, such as a possible outbreak of zoonosis, violating an individual's privacy related to the life-long surveillance, the impossibility of withdrawing consent, the necessity of family consent and issues related to using the source animal. In each country there have been number of public participation attempts to gather a social consensus related to xenotransplantation. Since 2003 in Korea there has also been questionnaire surveys conducted on the general public, xenotransplantation researchers and type 1 diabetics. Results showed that, in general, over half of the public accepted the legitimacy of xenotransplantation, but they understood the requirement of the various regulations to protect public health. Most xenotransplantation researchers accepted xenotransplantation, however, they recognized that more study is needed before clinical application progresses. The type 1 diabetics, who may be the first subjects of xenotransplantation, generally did not accept xenotransplantation. They reacted negatively to the life-long surveillance, the body donation and the autopsy. In order to put in place the necessary regulatory systems and future policy initiatives, it is important to elicit; the opinion of the public who assess its influence in a neutral position, the advice of scientists who evaluate based on scientific expertise, and the view of patients who provide the opin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ose who will be the ultimate recipients.]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이종이식에서 사회적 합의의 필요성 Ⅲ. 이종이식에 관한 인식 조사1 : 외국 사례 Ⅳ. 이종이식에 관한 인식 조사2 : 한국 Ⅴ. 맺음말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7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장기 임상적용에 대한 불교적 관점 / 김민주 외 2017  75
26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LDLT) 기증자의 경험 / 정선주 2011  1502
25 19 장기 조직 이식 확장범주 신장이식의 국내 현황과 한국형 기준의 필요성 / 양신석 외 2017  261
24 19 장기 조직 이식 일본 장기이식법의 특징 / 송영민 2017  111
23 19 장기 조직 이식 대학생의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과 실천의지에 관한 조사연구 / 이선옥 2017  138
22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기증자 신장 분배제도의 현황 / 김미나 외 2017  261
21 19 장기 조직 이식 융복합 교육시대에 간호대학생의 장기이식 인식에 관한 모색 / 이자옥 외 2018  69
20 19 장기 조직 이식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인체조직 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 윤미진 2016  62
19 19 장기 조직 이식 알콜성 간질환의 간이식 전 상담, 교육, 모니터링 / 김형숙 2018  416
1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의사표시방식에 관한 각국의 최근동향 / 송영민 2018  96
17 19 장기 조직 이식 국내에서 시행한 뇌사자 신장이식과 비교한 중국 원정 신장이식의 문제점 / 주만기 외 2006  126
16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간이식 받은 환자 351명의 장기 성적 : 서울대학교병원의 경험 2008  307
15 19 장기 조직 이식 해외원정이식의 현황과 대응방안 / 안형준 외 2016  84
14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신장이식에서 KONOS의 경계공여자 기준의 개선을 위한 다기관 연구 수행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예비연구 / 허우성 2017  99
13 19 장기 조직 이식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의 간이식 후 상담 및 교육 / 전경옥 2018  250
12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에서 유래한 물질의 소유 및 이용에 관한 민사상의 제문제 / 소재선 2011  1507
11 19 장기 조직 이식 일반 신뢰와 정부신뢰가 뇌사 후 장기기증에 미치는 영향 / 이수인 2018  32
»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이식에 관한 시민 인식 연구 /모효정 2012  155
9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이식 임상적용에서의 자율성에 관한 논의/모효정 2014  74
8 19 장기 조직 이식 Thrombomodulin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 복제돼지 생산/이해선 외 2018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