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7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경희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296845 
인체에서 유래한 물질의 소유 및 이용에 관한 민사상의 제문제 

= Zivilrechtliche Fragen nach Eigentum und Nutzung der menschlichen Körpersubstanzen

  • 저자[authors] 소재선(So, Jae-Seo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경희법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6No.1[2011]
  • 발행처[publisher] 경희법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27-169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1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60
  • 주제어[descriptor] 잔여물,유전자감식,인체유래물질,백혈병,DNA 검사,약품산업,설명의무,위자료 청구권,인체물질,소유권양도,著作者人格權,장기이식,처분자유,교환자유,Hinterlassen,k&ouml,rperliche Teilen,restliche Gegest&auml,nde,Friseurladen,Krankenhaus,Verwertungsm&ouml,glichkeit,Arzneimitteln

초록[abstracts] 
[Im täglichen Leben hinterlassen wir unsere körperlichen Teilen als “restliche Gegestände” im Friseurladen oder Krankenhaus ohne große Bedachtsamkeit, z. B. Haare in der Friseursalon, abgebaute Blüte in der ärztlichen Behandlung, herausgezogene Blinddärme oder geschnittene Organe im chirurgischen Eingriff usw.  Zwar ist es bekannt geworden, dass die herausgezogenen Mutterküchen als kosmetiksche Materialen genutzt sind, aber die meisten Wöchnerinnen bringen das nicht mit. Diese obengenannten Situationen sind allgemeine Tendenz im alltäglichen Leben und die Verwertungsmöglichkeit der herausgezogenen bzw. geschnittenen körperlichen Teilen ist  nicht berücksichtigt geworden.  Aber heutezutage ist es neulich ins Auge zu fassen, dass wie die gezogenen körperlichen Teilen verwertet bzw. genutzt werden können. Denn durch DNA-Test, das kann man mit den gezogenen Haaren, Fingernägel, geringeren Blutspüren, herausgezogenen Zähnen machen, kann die Herausfindung der genetischen Informationen ermöglichtet werden.  Manchmal hat man auch gedacht, dass die herausgezogenen bzw. geschnittenen Körperteilen in den Papierkorb geworfen sind. Denn die obengenannten restlichen Körperteilen sind normalerweise als Nichtsnutz anzusehen sind. Aber diese Tendenz ist durch den John Moore Fall gänzlich umgewandelt geworden. In diesem Fall haben der  Hausarzt und die pharmazeutische Gesellschaft mit Benutzung der gezogenen Zellen die neuen Arzneimitteln entwickelt, aber ohne Genehmigung des Patienten. Durch die Entwicklung der neuen Arzneimitteln haben sie viel Geld verdient, so verlangt er auch seinen Teil von diesem Umsatz.]

목차[Table of content]
l. 서론  ll. 인체 유래물질의 이용에 관한 논의의 발단이 된 John Moore 사건  lll. 인체에서 유래된 물질의 이용권에 관한 논의  lV. 인체에서 유래한 물질의 소유권에 관한 논의  V.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7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장기 임상적용에 대한 불교적 관점 / 김민주 외 2017  75
26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LDLT) 기증자의 경험 / 정선주 2011  1502
25 19 장기 조직 이식 확장범주 신장이식의 국내 현황과 한국형 기준의 필요성 / 양신석 외 2017  261
24 19 장기 조직 이식 일본 장기이식법의 특징 / 송영민 2017  111
23 19 장기 조직 이식 대학생의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과 실천의지에 관한 조사연구 / 이선옥 2017  138
22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기증자 신장 분배제도의 현황 / 김미나 외 2017  261
21 19 장기 조직 이식 융복합 교육시대에 간호대학생의 장기이식 인식에 관한 모색 / 이자옥 외 2018  69
20 19 장기 조직 이식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인체조직 기증 및 이식에 대한 태도 / 윤미진 2016  62
19 19 장기 조직 이식 알콜성 간질환의 간이식 전 상담, 교육, 모니터링 / 김형숙 2018  416
1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의사표시방식에 관한 각국의 최근동향 / 송영민 2018  96
17 19 장기 조직 이식 국내에서 시행한 뇌사자 신장이식과 비교한 중국 원정 신장이식의 문제점 / 주만기 외 2006  126
16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간이식 받은 환자 351명의 장기 성적 : 서울대학교병원의 경험 2008  307
15 19 장기 조직 이식 해외원정이식의 현황과 대응방안 / 안형준 외 2016  84
14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신장이식에서 KONOS의 경계공여자 기준의 개선을 위한 다기관 연구 수행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예비연구 / 허우성 2017  99
13 19 장기 조직 이식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의 간이식 후 상담 및 교육 / 전경옥 2018  250
»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에서 유래한 물질의 소유 및 이용에 관한 민사상의 제문제 / 소재선 2011  1507
11 19 장기 조직 이식 일반 신뢰와 정부신뢰가 뇌사 후 장기기증에 미치는 영향 / 이수인 2018  32
10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이식에 관한 시민 인식 연구 /모효정 2012  155
9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이식 임상적용에서의 자율성에 관한 논의/모효정 2014  74
8 19 장기 조직 이식 Thrombomodulin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 복제돼지 생산/이해선 외 2018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