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大韓移植學會誌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034313 
장기이식 거부반응과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서의 CAR Treg 세포치료제의 가능성: Treg 세포치료제 임상시험 현황과 CAR T 세포치료제 허가 정보를 바탕으로 

= Current Perspectives on Emerging CAR-Treg Cell Therapy: Based on Treg Cell Therapy in Clinical Trials and the Recent Approval of CAR-T Cell Therapy

  • 저자[authors] 강고은 ( Koeun Kang ), 정준호 ( Junho Chung ), 양재석 ( Jaeseok Yang ), 김효리 ( Hyori Kim )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大韓移植學會誌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1No.4[2017]
  • 발행처[publisher] 대한이식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57-16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Transplantation, Rejection, Autoimmune disease, Regulatory T cells, Chimeric antigen receptor, 장기이식, 거부반응, 자가면역질환, 조절 T 세포, 키메라 항원 수용체

초록[abstracts] 
[Regulatory T cells (Treg) naturally rein in immune attacks, and they can inhibit rejection of transplanted organs and even reverse the progression of autoimmune diseases in mice. The initial safety trials of Treg against graft-versus-host disease (GVHD) provided evidence that the adoptive transfer of Treg is safe and capable of limiting disease progression. Supported by such evidence, numerous clinical trials have been actively investigating the efficacy of Treg targeting autoimmune diseases, type I diabetes, and organ transplant rejection, including kidney and liver. The limited quantity of Treg cells harvested from peripheral blood and subsequent in vitro culture have posed a great challenge to large-scale clinical application of Treg; nevertheless, the concept of CAR (chimeric antigen receptor)-Treg has emerged as a potential resolution to the problem. Recently, two CAR-T therapies, tisagenlecleucel and axicabtagene ciloleucel, were approved by the US FDA for the treatment of refractory or recurrent acute lymhoblastic leukemia. This approval could serve as a guideline for the production protocols for other genetically engineered T cells for clinical use as well. The phase I and II clinical trials of these agents has demonstrated that genetically engineered and antigen-targeting T cells are safe and efficacious in humans. In conclusion, both the promising results of Treg cell therapy from the clinical studies and the recent FDA approval of CAR-T therapies are paving the way for CAR-Treg therapy in clinical us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68 19 장기 조직 이식 법률상의 장기분배기준 등의 정의론적 분석 :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 출범 전 후 비교를 중심으로 / 김소윤 2002  294
167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이식연구를 위한 단일법 제정에 대한 검토 / 양지예 2010  294
16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설득기법의 적용 / 차동필 2011  290
16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수혜자와 배우자에 대한 사례연구 / 이혜진 2001  288
164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조직법 개정의 의의와 법적 쟁점/김현철, 윤이레 2015  286
163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의 심장이식 현황 / 박국양 1999  285
162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의 인체기증 활성화방안 : 장기, 각막, 인체조직을 중심으로 / 정봉실 2009  284
»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거부반응과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서의 CAR Treg 세포치료제의 가능성: Treg 세포치료제 임상시험 현황과 CAR T 세포치료제 허가 정보를 바탕으로 / 강고은 외 2017  281
160 19 장기 조직 이식 가족간 신장이식에서 이식 전에 존재하는 미세키메라 현상이 이식 장기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 주신영 2010  280
159 19 장기 조직 이식 종교와 종교성이 뇌사 시 장기기증의사에 미치는 영향/조광덕 2017  276
15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업무에 있어서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도 2007  276
157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과 일본의 혈액사업 비교 / 김명희 1999  267
15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및 이식의 활성화 방안 / 김양이 ,양승훈 2007  265
155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 / 김상희 2006  263
154 19 장기 조직 이식 의료용 생체재료 및 응용 : 경조직 대체물질 개발 및 응용 / 이우걸 2015  262
15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희망자의 뇌사, 장기기증 및 이식에 대한 지식과 태도 / 서영심 2008  262
152 19 장기 조직 이식 확장범주 신장이식의 국내 현황과 한국형 기준의 필요성 / 양신석 외 2017  261
151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기증자 신장 분배제도의 현황 / 김미나 외 2017  261
15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정착 및 활성화 / 주종우 2012  260
149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신장이식에서 이식 직전 뇌사자의 신기능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 최승혁 2017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