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간호과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18422 
심장이식 청소년의 건강 관련 의사결정패턴 

= Health related decision making patterns of heart transplantation adolescent

  • 저자[authors] 허정미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vi, 147 p.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차지영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간호과학과  2018.2

  • DDC[DDC] 600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소장기관[Holding]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211048)

  • UCI식별코드 I804:11048-000000148598


초록[abstra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health related decision making patterns among adolescents who had heart transplantation. Multiple care study design was utilized. Participants were seven adolescents aged between 13 and 18 years who spent at least six months after heart transplantation. One-to-one interviews and survey were conducted between January and June, 2017 at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eoul. Data analysis which included content analysis method for interview data and descriptive statistics for survey data followed the process suggested by Yi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ommon themes identified between the cases were ‘mother as a leader of health management and father as a supporter,’ ‘mother as a gatekeeper of the school which is the only society,’ ‘one-way interaction with the hospital.’ On the other way, differences of health related decision making were noted as ‘various strategies for diet’ and ‘importance of immune suppressant deferred by the experience of health crisis.’ Three patterns for health related decision making were identified: dependent, self-led, and transitional.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pattern of health related decision making of adolescents who had heart transplantation were revealed. As adolescents who had heart transplantation were hugely depending on their mothers for health management, nursing interventions should be designed to include family as a unit. Most adolescents were not attending school in the fear of getting infected from school. Also, adolescents had various strategies for their diet as they did not know what to do. Collaborative care plan team which include school teachers and nutritionist to develop health management plan is need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for adolescents who had heart transplantation.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심장이식을 받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건강관리에 대한 의사결정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된 다중사례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 A 상급종합병원에서 심장이식을 받고 6개월 이상이 경과한 13세 이상 18세 이하의 청소년 7명이었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7년 1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심층 인터뷰와 설문지를 통하여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Yin (2013)이 제시한 사례연구방법론에 기초로 질적 자료와 양적 자료를 통합하여(Morse & Neihaus, 2009) 사례 분석을 하였다. 사례들로부터 도출된 주제를 비교분석 하여 사례 간 유사점과 차이점을 발견하였다. 사례 간 유사점은 ‘건강관리의 주도자인 어머니와 지지자인 아버지’, ‘유일한 사회이지만 부담스러운 학교’, ‘일방적인 의료지침을 제공의 병원’ 이었다. 사례 간 차이점은‘심장이식 후 식이요법에 대한 다양한 인식’, ‘위기 상황에 대한 경험의 유무에 따라 면역억제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이었다. 심장이식 청소년의 건강 관련 의사결정에 관하여 전체를 설명할 수 있는 사례 별 공통적인 의사결정패턴은 의존형, 자기주도형, 과도기형이다. 의존형은 심장이식 후 어머니에게 전적으로 건강관리를 위임한다. 자기주도형은 심장이식 후 생명에 위협을 느끼는 건강위기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후 적극적으로 건강관리에 대한 의사결정에 참여한다. 과도기형은 심장이식 후 어머니에게 건강관리에 관한 의사결정을 전적으로 위임하다가 지속적인 교육으로 스스로 건강관리에 대한 의사결정을 추구하는 패턴이다. 본 연구에서는 심장이식 청소년의 건강 관련 의사결정패턴을 통하여 심장이식 후 청소년이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의사소통을 하고 의사결정을 내리고 있는지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심장이식 청소년의 이식 후 성공적인 자기 관리를 위한 간호 중재 개발을 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심장이식 청소년의 삶을 심층적으로 파악하였고 건강 관련 의사결정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파악하여 일련의 의사결정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기술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48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공여자의 수술 전 이식간 용적과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영상학적 검사의 유용성 / 주만기 2007  585
247 19 장기 조직 이식 설문조사를 통한 생체 신장 공여자의 기증 후 건강상태와 건강증진 생활방식 / 남민경, 이두인, 권오정 2014  583
246 19 장기 조직 이식 원저 : 뇌사 장기 기증자 가족의 장기 기증에 대한 긍정성 조사 / 이재헌, 이원정, 이재명 2014  572
245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의 가족지지.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이행과의 관계 / 정승명 2004  565
244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 이식 후 조기 수술적 합병증의 99mTc-MAG3 신장 스캔 / 김인수 2005  562
243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임신이 이식신 및 출산에 미치는 영향 / 김민수 2014  544
242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인의 심장이식 수술 후 발생하는 동종 이식 관상동맥 질환의 특성분석 비교 / 박경민 2005  540
241 19 장기 조직 이식 소아 심장이식 환자들에서 이식 후 심박동수 변이 양상 / 장원경 2012  530
240 19 장기 조직 이식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 인지행동 모델을중심으로 / 추정인 1998  525
239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을 위한 신적출 후 기증자 신기능의 장기적인 변화 / 장혜경 2007  522
23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술 환자에서 혈당 수치가 임상 경과에 미치는 영향 / 유석하 2014  520
237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환자의 자기효능전략을 이용한 퇴원시 개별교육과 추후 전화상담의 효과 / 황영희 2013  517
23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구득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 / 박부선, 곽원준 2015  509
235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 공여자를 위한 상담 및 교육 / 손선영 2016  504
234 19 장기 조직 이식 공여자의 종류에 따른 간이식 후 감염성 합병증의 비교 / 기현균, 손준성, 오원섭, 백경란, 이남용, 김성주, 조재원, 이석구, 송재훈 2004  500
23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여성의 임신과 출산 경험 / 하희선, 임경춘, 홍정자, 김인옥, 전미경, 정재심, 이순행, 손행미, 이명선, 이승규 2013  490
232 19 장기 조직 이식 비 혈연간 생체 신장이식 후 이식신장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 전경옥 2004  490
231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기독교 윤리학적 이해 / 박희찬 1998  485
230 19 장기 조직 이식 종설 : 조직 및 장기 재생 분야에서의 3D 프린팅 기술의 적용 현황 / 안치범 외 2015  484
229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이식 후 사회적지지, 우울 및 건강상태 / 박병준 2012  4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