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영남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 임상약학과 임상약학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850565 
약사의 복약상담 및 교육시행이 장기이식 환자의 만족도와 약품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pharmacist’s educational intervention on patient Satisfaction and medication knowledge after Kidney transplantation

  • 저자[authors] 배성진

  • 발행사항 경산 : 영남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15

  • 형태사항[Description]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이인향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영남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 임상약학과 임상약학전공 2015. 8

  • 발행국(발행지)[Country] 경상북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5

  • 주제어 약사,복약상담,장기이식

  • 소장기관[Holding] 영남대학교 도서관 (247017)


초록[abstracts] 
연구배경  장기이식은 말기의 심장, 신장, 간 및 폐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서 생명을 구하는 중요한 치료방법이다. 미국에서는 장기이식 환자에 대한 약사의 중재 서비스가 복약이행을 높이고 장기이식 후 이식편의 생존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단일 의료기관에서 약사의 중재 서비스가 장기이식 환자와 간호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대조 전후 연구(controlled before and after study)로 설계되었다. 본 연구의 중재는 수술 후 1개월 동안 약사가 실시한 2회의 복약상담 및 교육으로 이루어졌다. 환자 시험군은 신장이식 교육군(n=34), 환자 대조군은 간이식 비교육군(n=18) 및 신이식 비교육군(n=34)이 참여하였다. 환자 만족도 및 이해도를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하였고, 전자의무기록 상의 혈청 크레아티닌을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부가적으로, 간호사 인식 변화를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장기이식병동 간호사(n=19)에 대해 중재 전후를 비교하였다. 환자 만족도 및 이해도는 t-test와 Fisher’s exact test, 간호사 인식변화는 paired t-test로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복약지도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는 중재 후에 증가하였다(p=0.004). 복약지도에 대한 이해도 중에서 의약품명(p=0.053)은 중재 후의 상승이 40%로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반면 의약품효능(p=0.012), 복용법(p=0.026), 부작용(p=0.001), 약물상호작용(p=0.001)은 교육군이 비교육군에 비해 중재 전보다 200~400%의 뚜렷한 이해도의 상승을 보였다. 음식물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혈중농도 지식 또한 비교육군에 비해 높은 정답율을 보였다(p<0.001). 혈청 크레아티닌(mg/dl)은 신장이식 교육군(1.32→1.00)이 비교육군(1.29→1.22)에 비해 약 4.6배 감소하였다(p=0.008). 복약지도에 대한 간호사의 만족도(p<0.001)와 간호사가 평가한 환자의 만족도(p=0.001)는 중재 전에 비해 각각 42%와 26% 상승하였다. 반면 약사의 필요성은 중재 전ㆍ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97). 투약설명 부담 정도와 간호업무 도움 정도에 대해서도 중재 전ㆍ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결론  본 연구는 약사의 복약상담 및 교육으로 부작용, 약물간 상호작용, 음식물과 상호작용으로 인한 혈중농도 지식 등 심층적인 지식에 대한 이해가 높아질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복약지도를 통한 질병 및 약물지식 향상이 신장기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음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그러나 간호사의 업무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보다 정기적인 약료서비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초록[abstracts] 
Background:  Organ transplantation is an important therapeutic option for patients with end-stages of heart, kidney, liver and lung diseases. In the US, it is considered that effective pharmacist services could result in affirmative effects on medication adherence and a graft survival rate among post-transplant patients. The study aimed to evaluate the impacts of a pharmacy service on post-transplant patients and the nurses’ work load in a single medical institution.   Method:  A controlled before and after study was performed. Pharmacy service (intervention) was comprised of twice medication consultants and educations in one month. Intervention group included 34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with pharmacy service and control group included 18 liver transplantation patients with usual care. Changes in patients’ satisfaction and medication knowledge after intervention were investigated using a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Serum creatinine between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was retrospectively compared employing electronic medical record. Additionally, changes in nurses’ perception were investigated using a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in 19 nurses of the kidney transplantation unit. Patients’ outcomes were compared using t-tests or Fisher’s exact test. Nurses’ outcomes were compared using paired t-tests.  Results: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patients on medication counseling was increased after intervention (p=0.004). The level of appreciation in patients was increased by 40%, which was relatively small. The levels of appreciation regarding drug efficacy (p=0.012), administration methods (p=0.026), adverse drug effects (p=0.001), and drug/drug interactions (p=0.001) were 200 ~ 400 % higher in intervention group than in control group. The correct rate in the question over blood concentration due to food/immunosuppressant interaction was higher in intervention group than in control group (p<0.001). Serum creatinine was about 4.6 times lower in intervention group (1.32→1.00) than in control group (1.29→1.22) (p=0.008). The level of nurse satisfaction with medication counseling (p<0.001), and the level of patient satisfaction assessed by nurses (p=0.001) were increased by 42% and 26%, respectively. On the contrary,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nurses’ perspective about whether the counseling pharmacists would be helpful was observed (p=0.297). In addition, the pharmacist intervention of the present study made few changes in the nurses’ work load relating to medications (p>0.05).  Conclusion:  Pharmacist’s intervention could enhance patients’ in-depth knowledge about medications, such as adverse drug effects, drug/drug interaction, and food/drug interaction. Better knowledge for disease and medications through pharmacist’s intervention ma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renal function implying a positive prognosis of disease. However, more regular intervention might be helpful to reduce nurse’s work load relating to medication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48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공여자의 수술 전 이식간 용적과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영상학적 검사의 유용성 / 주만기 2007  585
247 19 장기 조직 이식 설문조사를 통한 생체 신장 공여자의 기증 후 건강상태와 건강증진 생활방식 / 남민경, 이두인, 권오정 2014  583
246 19 장기 조직 이식 원저 : 뇌사 장기 기증자 가족의 장기 기증에 대한 긍정성 조사 / 이재헌, 이원정, 이재명 2014  572
245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환자의 가족지지.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이행과의 관계 / 정승명 2004  565
244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 이식 후 조기 수술적 합병증의 99mTc-MAG3 신장 스캔 / 김인수 2005  562
243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임신이 이식신 및 출산에 미치는 영향 / 김민수 2014  544
242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인의 심장이식 수술 후 발생하는 동종 이식 관상동맥 질환의 특성분석 비교 / 박경민 2005  540
241 19 장기 조직 이식 소아 심장이식 환자들에서 이식 후 심박동수 변이 양상 / 장원경 2012  530
240 19 장기 조직 이식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 인지행동 모델을중심으로 / 추정인 1998  524
239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을 위한 신적출 후 기증자 신기능의 장기적인 변화 / 장혜경 2007  522
23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술 환자에서 혈당 수치가 임상 경과에 미치는 영향 / 유석하 2014  520
237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환자의 자기효능전략을 이용한 퇴원시 개별교육과 추후 전화상담의 효과 / 황영희 2013  517
236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구득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 / 박부선, 곽원준 2015  509
235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 공여자를 위한 상담 및 교육 / 손선영 2016  504
234 19 장기 조직 이식 공여자의 종류에 따른 간이식 후 감염성 합병증의 비교 / 기현균, 손준성, 오원섭, 백경란, 이남용, 김성주, 조재원, 이석구, 송재훈 2004  500
23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여성의 임신과 출산 경험 / 하희선, 임경춘, 홍정자, 김인옥, 전미경, 정재심, 이순행, 손행미, 이명선, 이승규 2013  490
232 19 장기 조직 이식 비 혈연간 생체 신장이식 후 이식신장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 전경옥 2004  490
231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기독교 윤리학적 이해 / 박희찬 1998  485
230 19 장기 조직 이식 종설 : 조직 및 장기 재생 분야에서의 3D 프린팅 기술의 적용 현황 / 안치범 외 2015  484
229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이식 후 사회적지지, 우울 및 건강상태 / 박병준 2012  4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