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88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 나노과학기술협동과정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768945 
인공지지체를 이용한 생체 인공 간 이식의 신생혈관형성 가능성

http://www.riss.kr/link?id=T13768945  


  • 저자 : 이재근 
  • 형태사항 : 34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경식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 나노과학기술협동과정 2015. 2 
  • 발행국 : 서울 
  • 출판년 : 2015
  • 주제어 : 인공지지체, 인공 간, 혈관혈성, 생체이식재료


초록
국내외 많은 연구 자들에 의해 줄기세포(stem cells)를 이용한 간질환 치료 방법이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다. 하지만 이식되는 세포에 의한 내분비적 효과를 증명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의 확립이 어려운 상태이며, 이식된 세포가 간(liver) 실질로 이동하여 간세포로서의 기능을 하는지에 대한 검증 조차도 아직 정립된 바가 없다. 또한 간의 특성 중 가장 중요한 혈관 형성은 어렵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실제적인 방법이 제시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간질환 치료를 위한 적정한 수의 세포를 얻기 위해서 간질환 환자의 자가 성체 줄기 세포인 지방 유래 줄기 세포(adipose tissue derived stem cells)를 이용하였다. 이식된 세포가 작용할 간실질과 같은 조건을 만들기 위해 미세섬유를 이용하여 간을 둘러싸고 있는 외부 막과 같은 인공 막을 형성하여 이식된 세포가 간세포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인공 장기 형태를 유지하게 만들었다. 많은 인공 장기들이 세포 이식을 넘어서 장기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는 가장 큰 장애물이 혈관 형성으로 인공 간이 생체에 잘 붙어, 장기로서의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산소와 에너지가 공급되고, 대사 물질이 순환 되는 혈관 형성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지체(scaffolds) 를 이용한 생체 인공간에 혈관 형성이 얼마나 잘 일어나며 어떤 과정을 통해 일어나는 지를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면역억제쥐(SCID-mice)(N=4)의 위(stomach)표면에 상처(scratch)를 낸 후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주입한 인공지지체를 이식(implantation)하였다. 이후 30일 째 면역형광염색을 통하여 신생혈관형성 표지자(Angiogenesis marker)인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CD34, CD 105 의 발현(expression) 정도를 살펴 보았다. I형 콜라겐으로 이루어진 인공지지체 신생혈관형성이 수술 후 30일째까지 내부로 혈관형성이 이루어지거나 혈관 내피세포는 보이지 않았으며, 세포 내 신생혈관형성 표지자의 발현은 없었다. 이는 인공지지체에 이식된 세포에서 신생혈관형성을 촉진한다는 것을 입증하지는 못했지만, 주위 조직과 조직반응이 적으며 이식된 세포는 잘 유지되는 특성을 보여 I형 콜라겐을 이용한 인공지지체가 생체 이식 재료로서의 가능성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88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수술 후 경과기간별 환자의 자가간호이행 / 배수정 2015  1365
187 19 장기 조직 이식 혈액형 불일치 신장이식 수술 후 출혈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 김미형 2015  335
186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간이식 수술에서 이식간 재관류 후 급성 저체온기 동안의 심실부정맥의 심전도상 징후 변화 / 박수경 2015  329
185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정현정 2015  248
184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사회적 지지, 치료지시 이행, 건강관련 삶의 질 / 송정미 2015  237
18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환자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정도와 학습요구 / 민지혜 2015  472
182 19 장기 조직 이식 종설 : 조직 및 장기 재생 분야에서의 3D 프린팅 기술의 적용 현황 / 안치범 외 2015  484
181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평가 중에 발생한 심장사 후 장기기증에 의한 신장이식: 단일기관 장기추적 결과 / 허나윤 외 2015  252
18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서의 RNA간섭 치료법의 전망 / 김재영 2015  1225
179 19 장기 조직 이식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인체조직 기증 및 이식에 대한 인식과 태도 / 김복순 2015  102
178 19 장기 조직 이식 Saving Lives with Assisted Suicide and Euthanasia: Organ Donation After Assisted Dying / Shaw, David M. 2015  36
177 19 장기 조직 이식 사용자 경험 요소를 활용한 제대혈산업의 온라인 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 이정선 2015  62
176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신체활동상태에 따른 신체구성과 영양 및 골대사 지표에 관한 조사/ 우상구 전혜린 2015  53
175 19 장기 조직 이식 다층모형을 적용한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삶의 질 변화 영향요인/송지은, 소향숙 2015  61
» 19 장기 조직 이식 인공지지체를 이용한 생체 인공 간 이식의 신생혈관형성 가능성 / 이재근 2015  146
173 19 장기 조직 이식 약사의 복약상담 및 교육시행이 장기이식 환자의 만족도와 약품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 배성진 2015  218
172 19 장기 조직 이식 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연구 / 정희윤 2015  173
171 19 장기 조직 이식 투석이 필요한 상태의 뇌사 공여자로부터 신장이식 결과: 27례 / 이주연 2015  219
17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에 대한 명시된 의사표명과 추정된 동의 / 김신, 정진규 2014  224
16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 및 인체조직 구득에 관한 공적 체계의 확립 / 김현철 2014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