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441114 


국내외 임상시험 수행현황 분석 :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기타서명Comparative analysis of performance status of clinical trial : focused on USA and Korea
저자정항균
발행사항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형태사항65 p. : 삽화, 표 ; 30 cm
일반주기명지도교수: 하동문,참고문헌 : p. 61-62
학위논문사항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2017. 2
발행국서울
언어한국어
출판년2017
주제어임상시험,수행건수,ICD-10 Code,Clinicaltrials.gov,미국시장
소장기관성균관대학교 삼성학술정보관 (241026),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211040)
초록세계적으로 볼 때 지속적으로 연구개발비용과 임상시험시장의 규모가 커지고 있고, 국내 또한 최근 15년 사이에 급속도로 임상시험시장규모가 커지면서 단일도시로는 서울이 1위를 차지하는 등의 성과를 보였다. 하지만 임상시험 총 protocol 기준으로 임상시험 시장 점유율에서 미국이 27.1%, 한국이 3.12%로서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는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임상시험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미비하다.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에서 임상시험 정보방을 구축하였으나 등록된 임상시험들에 대한 지속적 업데이트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와 미국의 임상시험수행현황 파악을 통해 차이점을 파악하고, 임상시험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해 미국 제약업계의 추세를 파악하여 미국시장 진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미국의 ClinicalTrials.gov의 데이터를 이용해 승인건수, ICD-10 Code, 시험대상자 모집현황, 임상시험 유형, 중재적 요소, 연령, Funding Source, 연구디자인 등의 임상시험승인현황을 비교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 미국과 국내의 임상시험승인건수를 보면 2011년 ~ 2015년 사이에 미국39,502건, 국내 4,605건으로 약 10배의 시장규모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중 ICD-Code로 분류가 가능한 임상시험의 건수는 미국 12,211건, 국내 1,452건으로 약 30%로 나타났다. 년도 별로 승인건수를 보면 미국과 국내 각각 비슷한 승인건수를 보이고 있다.
   두 번째, 질병에 따른 분류에서 차이점을 보였다. 정신건강과 신경계통의 질환비중이 각각 8.21%(1,003건), 8.26%(1,009건)으로 국내의 비중 4.55%(66건), 3.58%(52건) 보다 약 2배정도 높았다. 또한 국내의 순환계통과 소화계통의 질환비중이 각각 22.04%(320건), 10.33%(150건)로 미국의 비중 9.19%(1,122건), 6.55%(800건)보다 2~3배정도 높았다.
   세 번째, 미국과 국내의 임상시험실시환경에 대한 차이로 인해 국내는  Expanded Process의 이용(Available), 중단(No longer available), 더 이상 이용불가능(No longer available)에 해당하는 건수가 없었다. 이 같은 경우는 Funding Source도 해당되는데, 미국은 연방국에서도 Funding Source를 지원해주는데에 비해 국내에서는 연방제도가 없기 때문에 Funding Source로서 연방국은 해당하는 건수가 없었다.
   네 번째, 그 밖의 임상시험 유형, 연구디자인, 소아의 포함여부 등은 미국과 국내 비슷한 양상을 보였습니다.
   미국에서 선점하고 있는 심혈관계, 소화기 등의 질환관련 개발보다는 국내 제약회사에서도 개발비용이 많이 들고 임상시험에 실패하더라도 미충족 의료수요가 높은 질환인 정신·신경계통으로 미국시장을 진출한다면 시장 선점을 통해 성공적인 미국 시장 진출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ClinicalTrials.gov에 등록된 2011년 ~ 2015년 까지 미국과 국내의 임상시험현황에 대해 비교하려 했으나 ICD-10 Code로 분류가 가능한 건수 비율이 낮은 부분이 본 연구의 한계로 남았다. ICD-10 Code로써 모든 임상시험의 분류를 한다면 보다 정확한 미국과 국내의 임상시험현황에 대해 파악하고, 미국시장의 진출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목 차
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배경 1
  제 2 절 연구 목적 4
 
제 2 장 이론적 배경 및 문헌고찰 5
  제 1 절 ICO-10 5
    1. ICD의 역사 5
    2. ICD의 목적과 용도 5
    3. ICD-10의 분류 6
  제 2 절 분석항목 8
    1. 시험대상자 모집현황 8
    2. 중재의 종류 10
  제 3절 문헌고찰 11
 
제 3 장 연구방법 13
  제 1 절 연구대상 13
    1. 연구 대상 13
  제 2절 분석방법 14
    1. 질병의 분류 14
    2. 질병이외의 분류항목 15
 
제 4 장 연구결과 17
  제 1 절 질병에 따른 분류 17
    1. 승인 건수에 따른 분류 17
    2. ICD-10 Code에 따른 분류 20
  제 2 절 시험대상자 모집현황에 따른 분류 44
  제 3 절 임상시험 유형에 따른 분류 47
  제 4 절 중재적 요소에 따른 분류 49
  제 5 절 소아포함여부에 따른 분류 51
  제 6 절 Funding Source(지원주체)에 따른 분류 53
  제 7 절 연구디자인에 따른 분류 55
 
제 5 장 고찰 및 결론 57
  제 1 절 연구요약 및 고찰 57
  제 2 절 연구의 한계 및 의의 60
 
참고문헌 61
 
Abstract 6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75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의 임상적용 / 정형민 2011  98
274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은행에서의 역동적 동의 / 박선영 2017  266
273 18 인체실험 임상연구의 통상진료비용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 타당성 / 정설희, 조재영 2017  203
272 18 인체실험 헬싱키 선언의 개정내용에 대한 연구 / 박미선 2017  344
271 18 인체실험 웹 기반 임상시험의 윤리적 고찰: 재택기반 의약품 임상시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영옥 2017  118
27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스타트업 단계시 고려사항의 국가간 비교연구 : 파머징 국가를 중심으로 / 배수연 2017  301
»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수행현황 분석 :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 정항균 2017  359
268 18 인체실험 국내 의료기기 제조업체들의 임상시험 활성화 방안 연구 / 이기준 2017  132
267 18 인체실험 미국, 유럽, 일본과 우리나라의 소아 임상시험 제도 및 현황 비교 분석 / 박선영 2017  356
26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시행대상자설명서의 가독성 평가 / 최임순 외 2016  70
265 18 인체실험 암 환자의 임상시험 참여 의향과 연관된 요인: 탐색형 서술적 문헌고찰 / 김건형 외 2016  47
26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규제완화, 국민은 실험대상이 아니다 2016  71
26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 정당화 요건과 형법적 통제 / 김현조 2015  71
262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의 지역간 불균형 현황 및 발전 방안 모색 / 최지혜 외 2015  592
261 18 인체실험 현대 생명의료 윤리학에서의 신체 문제 / 윤성우 2008  308
260 18 인체실험 이종이식 임상적용에서의 인권침해 요소에 관한 법적 고찰 /차유경, 모효정 2014  69
259 18 인체실험 의과대학의 임상수행능력시험(CPX)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 박장희 2008  103
25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계획승인 허가규정 연구 : 항암제 관련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 김민영 2011  72
25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과 환자를 위한 구체적 의료행위의 구분기준에 관한 고찰 / 강한철 2013  53
256 18 인체실험 만성질환 임상시험 참여 대상자의 금전적 보상에 대한 태도와 참여결정 시 고려사항 / 이주연 2016  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