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0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탐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349773 

현대 생명의료 윤리학에서의 신체 문제 = Une étude de la problématique du corps dans l'éthique biomédicale : à travers la confrontation avec la phénoménologie



저자

윤성우(Seong-Woo, YUN)

학술지명

철학탐구

권호사항

Vol.23No.-[2008]

발행처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87-117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08

KDC

105

주제어

신체,자율성,자기 신체,노력,지각,의지,건강,corps,corps-sujet,autonomie,effort,perception,volonte,sante

초록

이 글의 목적은 현대 중요한 철학적 담론들 중에 하나로서 자리잡은 ‘생명의료 윤리학’(biomedical ethics)에서 신체 문제를 어떻게 이해하고 다루고 있는지를 밝혀내되, 현상학과의 비판적 대면을 통해서 수행하는 것이다.

  현미경과 실험 공간속으로 환원된 신체의 일부는 실상 세계 속에서 노력하거나 지각하거나 의지하는 그런 신체가 더 이상 아니다. 나는 나의 DNA와 그 어떤 체험적 관계를 맺지 못한다. 나의 두개골 안에 있는 뇌(腦) 역시 나와 그런 관계에 놓여 있지 못하다. “나의” 두뇌라는 말에서 “나의”는 “나의”손과 같은 의미를 지니는 것은 아닌 것이다. 반면 나의 손, 발, 심지어는 엉덩이와는 모종의 체험적 관계를 가지며, 나의 세계-내-존재 방식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끼친다. 어떻게 보면 생명 의료적 상황에서 문제가 되는 아픈 몸이나 병든 신체는 노력의 체험, 자각활동 그리고 의지활동에서의 주체로서의 신체에게 일종의 장애나 결여가 생긴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아픈 몸은 내 욕망, 내 지각, 내 의도를 세계 속에서 즉각적으로 실현시키는 “직접적 행위자”이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의사가 이때 의학적으로 개입하게 되어 이 직접성이나 신체의 주체성을 회복시켜 주는 것을 도와야 한다. 따라서 생명의료 윤리학은 이 주체적 신체의 진정한 복원에 앞서 아픈 몸이 비윤리적인 실험적 조작이나 의료적 처치의 대상으로 전락되지 못하도록 감시하고 비판하는 임무를 담당한다. 결국 생명연구 및 의학적 상황에서의 신체 담론은 먼저 -의식하든 그렇지 않든 간에- 생명의료 윤리학의 신체 담론에 의한 1차적인 비판을 거쳐야 하며, 최종적으로는 현상학적 신체의 복원을 종착점으로 가져야만 할 것이다. 다시 말해 인간 신체에 대해 이론적으로나 실천적으로 가능한 실험 및 연구는 생명의료 윤리학적 비판을 간과해서는 안되며 현상학적 신체의 파괴나 해체로 귀결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몸 말
3. 나오는 말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75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의 임상적용 / 정형민 2011  98
274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은행에서의 역동적 동의 / 박선영 2017  266
273 18 인체실험 임상연구의 통상진료비용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 타당성 / 정설희, 조재영 2017  203
272 18 인체실험 헬싱키 선언의 개정내용에 대한 연구 / 박미선 2017  344
271 18 인체실험 웹 기반 임상시험의 윤리적 고찰: 재택기반 의약품 임상시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영옥 2017  118
27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스타트업 단계시 고려사항의 국가간 비교연구 : 파머징 국가를 중심으로 / 배수연 2017  301
269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수행현황 분석 :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 정항균 2017  359
268 18 인체실험 국내 의료기기 제조업체들의 임상시험 활성화 방안 연구 / 이기준 2017  132
267 18 인체실험 미국, 유럽, 일본과 우리나라의 소아 임상시험 제도 및 현황 비교 분석 / 박선영 2017  356
26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시행대상자설명서의 가독성 평가 / 최임순 외 2016  70
265 18 인체실험 암 환자의 임상시험 참여 의향과 연관된 요인: 탐색형 서술적 문헌고찰 / 김건형 외 2016  47
26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규제완화, 국민은 실험대상이 아니다 2016  71
26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 정당화 요건과 형법적 통제 / 김현조 2015  71
262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의 지역간 불균형 현황 및 발전 방안 모색 / 최지혜 외 2015  592
» 18 인체실험 현대 생명의료 윤리학에서의 신체 문제 / 윤성우 2008  308
260 18 인체실험 이종이식 임상적용에서의 인권침해 요소에 관한 법적 고찰 /차유경, 모효정 2014  69
259 18 인체실험 의과대학의 임상수행능력시험(CPX)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 박장희 2008  103
25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계획승인 허가규정 연구 : 항암제 관련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 김민영 2011  72
25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과 환자를 위한 구체적 의료행위의 구분기준에 관한 고찰 / 강한철 2013  53
256 18 인체실험 만성질환 임상시험 참여 대상자의 금전적 보상에 대한 태도와 참여결정 시 고려사항 / 이주연 2016  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