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1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Thesis(M.A.)-- 아주대학교 : 의생명학과 2012. 8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859129 



배아줄기세포와 암세포에서 공통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의 특성 분석

: Characterization of Genes Specifically Expressed in Embryonic and Cancer Stem Cells






초록


유류의 배반포에서 유래한 배아줄기세포의 세가지 큰 특징은 자가증식 할 수 있고, 체세포나 생식세포 등 모든 형태로 분화가 가능하다는 점과 끊임없이 분열 할 수 있는 증식능력이다. 이러한 배아줄기세포의 능력은 Pou5F1 (Oct4, Oct3/4), Sox2, Nanog, LIN28, KLF4, Myc (c-Myc)과 같은 유전자들이 스스로 혹은 상호 작용을 통해 유지된다. 이러한 주요 유전자는 이미 많은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는 바이며, 이 연구분야를 확장시키기 위한 새로운 유전자의 등장과 다른 유전자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가 기대 되어지는 바이다. 
최근엔 이 유전자들 중 Oct4, Nanog가 암세포에서도 발견 되어진다는 연구가 있다. 암세포에서 활발히 연구 되어지고 있는 대상인 암줄기세포는 줄기세포와 같은 특징을 공유한다. 줄기세포와 암줄기세포의 중복되는 유전자를 연구함으로써, 배아줄기세포뿐 아니라 암세포에 대한 공통된 특징이나 각각의 이해를 돕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제시한다.
우리는 Digital differential display (DDD)를 통해서 인간배아 줄기세포와 여러 가지 다양한 암세포들에서 공통적으로 발현하는 유전자 중 가능성이 높은 후각수용기의 한 유전자를 선택하였다. 이 유전자를 과발현시키기 위해 바이러스 벡터에 주입하였으며, 바이러스를 이용한 형질전환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를 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 Human neural stem cell과 Human embryonic kidney cell에 주입하여, 세포주기를 측정하였다. 오직 Human neural stem cell과 Human embryonic kidney 에서만 세포주기가 변화되는데, 이는 후각수용기 유전자의 작용을 증폭시키는 보조 단백질인 Muscarinic receptor3가 세포 자체에서 발현되어지고 있기 때문에, 후각 수용기 유전자가 오직 Human neural stem cell과 Human embryonic kidney 에서만 세포주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인간배아줄기세포와 암세포에 공통적으로 발현되면서, 세포주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유전자에 대한 연구는 인간배아줄기와 암세포를 동시에 연구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며, 이 세포들에 관한 연구와 치료에 있어 큰 공헌을 할 것이라 기대된다.



목차


  • ABSTRACT ⅰ

  • TABLE OF CONTENTS ⅱ

  • LIST OF FITURES ⅳ

  • LIST OF TABLES ⅴ

  • ABBREVIATION ⅵ

  • Ⅰ. INTRODUCTION 1

  • Ⅱ. MATERIAL AND METHODS 3

  • A. Digital differential dispay 3

  • B. Cell culture3

  • C. Vector construct for OR overexpression 3

  • D. Infection 4

  • E. RNA preparation and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4

  • F. Cell cycle analysis 5

  • G. Cell proliferation assay 6

  • H. Microarray 6

  • I. Statical Analysis 6

  • Ⅲ. RESULTS 7

  • A. Selection of highly expression genes in human embryonic stem cells and cancer cells 7

  • B. Overexpression of olfactory receptor 9

  • C. Effect of OR on cell cycle progression 11

  • D. Existence of OR expression accessory gene 12

  • Ⅳ. DISCUSSION 21

  • Ⅴ. CONCLUSION 25

  • REFERENCES 26

  • 국문요약 3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15 18 인체실험 한의표준임상정보화의 과제와 전망 - 지정토론문 / 김태훈 2018  38
314 18 인체실험 바이오 정보 보호에 관한 최근 주요이슈 및 법규 개선방안 / 정승일 2016  45
313 18 인체실험 암 환자의 임상시험 참여 의향과 연관된 요인: 탐색형 서술적 문헌고찰 / 김건형 외 2016  47
312 18 인체실험 만성 질환 임상시험 참여 대상자의 태도와 참여 결정 시 고려사항 / 이주연 2017  53
311 18 인체실험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운영에서 얻은 교훈 / 이동익 2007  54
310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은행 운영방안에 대한 제안 / 정교민 2009  54
309 18 인체실험 임상시험과 환자를 위한 구체적 의료행위의 구분기준에 관한 고찰 / 강한철 2013  54
30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피험자와 자기결정 : 독일의 논의를 중심으로 / 김기영 2010  57
307 18 인체실험 The Paradoxical Problem with Multiple-IRB Review 2010  58
306 18 인체실험 줄기세포기반치료에 대한 미국의 규제 경향 고찰 / 박수헌 2016  64
305 18 인체실험 한의표준임상정보화의 과제와 전망 / 윤영흠 2018  65
30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의 동의의 법적 유효성과 설명의 내용 : 일본에서의 논의와 우리나라에서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 송영민 2012  66
303 18 인체실험 국내 비임상시험기관에 대한 외국 규제기관 수검 사례 / 정은주 2013  66
302 18 인체실험 How Closely Do Institutional Review Boards Follow the Common Rule? 2012  67
301 18 인체실험 이종이식 임상적용에서의 인권침해 요소에 관한 법적 고찰 /차유경, 모효정 2014  70
30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시행대상자설명서의 가독성 평가 / 최임순 외 2016  70
299 18 인체실험 인간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Nkx2.5+ 심장전구세포의 isoflurane에 의한 전처치 효과에서의 protein kinase C-ε의 역할 / 송인애 2016  71
298 18 인체실험 신약 임상시험의 과정 및 관련지침 / 신상구 1994  71
29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 정당화 요건과 형법적 통제 / 김현조 2015  71
29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규제완화, 국민은 실험대상이 아니다 2016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