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4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법학과 행정법전공 2017. 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429017 

줄기세포치료에 관한 공법적 연구/임단비





초록


재생의료는 기능이 저하된 인간의 세포나 장기를 근본적으로 대체하거나 원래의 기능으로 회복시키는 치료개념으로, 희귀ㆍ난치 질환 극복을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재생의료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로, 최근 재생의료는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줄기세포치료 분야는 전 세계적으로 6개의 줄기세포치료제가 판매허가를 받는 등 관련 시장과 산업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줄기세포치료의 사회 경제적 효용성 및 가치와 별개로 생명윤리적 문제와 불확실한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문제는 여전히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들에서 발생하는 잠재적 위험성으로부터 국가는 국민을 안전하게 보호하고자 줄기세포와 관련하여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줄기세포 관련 규제의 헌법적 정당성을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에서 찾았다. 줄기세포연구 및 줄기세포치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국민의 생명ㆍ신체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보호의무의 이행으로서 국가는 줄기세포연구 및 줄기세포치료에 규제를 가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와 같은 국가의 규제는 관련 종사자들의 직업의 자유와 학문의 자유를 제한하지만, 이는 기본권의 본질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기본권 제한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그러한 기본권 제한이 기본권 침해에는 이르지 않는 것으로서 헌법상 정당한 것으로 인정된다.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 이행에 있어 우리나라는 줄기세포에 관하여 크게 줄기세포연구, 줄기세포치료, 줄기세포치료제에 대하여 규제하고 있다. 줄기세포연구는 「생명윤리법」에 따라 연구에 있어서의 생명윤리 및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줄기세포치료는 「의료법」상 의료행위에 해당하며, 의료인이 아닌 자에 의한 치료가 금지됨을 제외하고서는 동법에 따라 보호를 받는다. 



목차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Ⅰ. 연구의 범위 3
  • Ⅱ. 연구의 방법 4
  • 제2장 재생의료와 줄기세포치료의 개관 5
  • 제1절 재생의료 5
  • Ⅰ. 재생의료의 개념 5
  • 1. 재생의료 논의의 배경 5
  • 2. 재생의료의 정의 6
  • Ⅱ. 재생의료의 특성 7
  • 1. 기존 치료와의 차이점 7
  • 2. 재생의료의 한계 7
  • Ⅲ. 재생의료의 적용 분야 8
  • 1. 세포치료 8
  • 2. 유전자 치료 8
  • 3. 저분자 및 생물의약품 9
  • 4. 조직공학 9
  • 제2절 줄기세포치료 10
  • Ⅰ. 줄기세포의 개념 10
  • 1. 줄기세포의 정의와 특징 10
  • 2. 줄기세포의 분류 11
  • Ⅱ. 줄기세포치료와 줄기세포치료제의 구분 12
  • 1. 줄기세포치료의 개념 12
  • 2. 줄기세포치료제의 개념 13
  • 3. 줄기세포치료의 특징 15
  • 제3장 줄기세포연구 및 줄기세포치료 규제의 헌법적 정당성 18
  • 제1절 헌법상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 18
  • Ⅰ. 기본권 보호의무의 의의 18
  • Ⅱ. 기본권 보호의무의 헌법적 근거 20
  • 1. 객관적 가치질서로서 기본권의 성격 20
  • 2. 국가적 과제로서 안전의 보장 20
  • 3. 헌법 제10조 후문의 국가의 인권보장 의무 21
  • Ⅲ. 기본권 보호의무의 구성요건 21
  • 1. 기본권의 보호 법익 22
  • 2. 사인인 제3자 22
  • 3. 위법한 가해나 가해의 위험 23
  • Ⅳ. 기본권 보호의무의 법적 효과 24
  • 1. 기본권 보호의무의 이행 24
  • 2. 기본권 보호의무 이행의 심사기준 24
  • Ⅴ. 줄기세포연구 및 줄기세포치료에 있어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 26
  • 제2절 직업의 자유와 제한 28
  • Ⅰ. 직업의 자유의 의의와 내용 28
  • 1. 직업의 자유의 의의 28
  • 2. 직업의 자유의 내용 29
  • Ⅱ. 직업의 자유의 제한과 한계 31
  • 1. 기본권의 제한 31
  • 2. 직업의 자유의 제한과 그 한계 33
  • Ⅲ. 의료인과 의약품 제조판매업자의 직업의 자유와 제한 34
  • 1. 의료인의 직업의 자유와 제한 35
  • 2. 의약품 제조판매업자의 직업의 자유와 제한 36
  • 제3절 학문의 자유와 제한 38
  • Ⅰ. 학문의 자유의 의의와 내용 38
  • 1. 학문의 자유의 의의 38
  • 2. 학문의 자유의 내용 39
  • Ⅱ. 학문의 자유의 제한과 한계 39
  • Ⅲ. 줄기세포연구자의 학문의 자유와 제한 40
  • 제4장 줄기세포연구 및 줄기세포치료 규제 42
  • 제1절 줄기세포의 법적 지위와 규제 42
  • Ⅰ. 줄기세포의 법적 지위 42
  • 1. 의료행위로서 줄기세포치료 42
  • 2. 의약품으로서 줄기세포치료제 42
  • 3. 줄기세포의 법적 지위에 대한 대법원 및 헌법재판소의 입장 43
  • Ⅱ. 줄기세포연구 및 줄기세포치료 규제 45
  • 1. 줄기세포연구 및 줄기세포치료 규제의 필요성 45
  • 2. 줄기세포연구 및 줄기세포치료 규제의 분류 46
  • 제2절 줄기세포연구 단계의 규제 48
  • Ⅰ. 생명윤리법에 의한 규제 48
  • Ⅱ. 배아줄기세포연구 49
  • 1. 배아 생성에 관한 규정 49
  • 2. 배아연구에 관한 규정 49
  • 3. 배아줄기세포주에 관한 규정 49
  • Ⅲ. 배아줄기세포연구 이외의 줄기세포연구 50
  • 1. 배아줄기세포연구 이외의 줄기세포연구에 관한 규정 50
  • 2. 인간대상연구와 인체유래물연구에 관한 규정 50
  • Ⅳ.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역할 52
  • 1.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설치 대상의 확대 52
  • 2.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업무 범위 확대 53
  • 제3절 줄기세포치료 규제 54
  • Ⅰ. 의료행위로서 줄기세포치료 54
  • Ⅱ. 의료법에 의한 규제 55
  • Ⅲ. 신의료기술평가제도 55
  • 1. 신의료기술평가제도의 의의 및 법적 근거 55
  • 2. 신의료기술평가제도의 주요 내용 57
  • 3. 줄기세포치료와 신의료기술평가제도 57
  • 제4절 줄기세포치료제 사전 관리 규제 59
  • Ⅰ. 의약품 개발 단계에 있어 허가 규제 59
  • Ⅱ. 임상시험계획의 승인 60
  • 1. 임상시험계획 승인의 의의 60
  • 2. 임상시험계획 승인의 법적 근거 61
  • 3. 임상시험계획 승인의 법적 성격 68
  • 4. 임상시험계획 승인의 절차 74
  • 5. 임상시험계획 승인 신청의 예외 75
  • Ⅲ. 줄기세포치료제의 품목허가 77
  • 1. 품목허가의 의의 77
  • 2. 품목허가의 법적 근거 77
  • 3. 품목허가의 법적 성격 79
  • 4. 품목허가의 주요 내용 79
  • 5. 품목허가의 예외로서 조건부허가제도 81
  • 제5절 줄기세포치료제 사후 안전관리 규제 83
  • Ⅰ. 줄기세포치료제 시판 후 안전관리 83
  • 1. 사후 안전관리의 필요성 83
  • 2. 약사법상 시판 후 안전관리제도 83
  • 3. 줄기세포치료제의 사후 안전관리제도 89
  • Ⅱ. 줄기세포치료제 장기추적조사 89
  • 1. 줄기세포치료제 장기추적조사 도입의 필요성 89
  • 2. 줄기세포치료제 장기추적조사의 법적 근거 90
  • 3. 줄기세포치료제 장기추적조사 계획 및 수행 91
  • 제6절 줄기세포치료 및 줄기세포치료제 관련 외국법제 92
  • Ⅰ. 일본의 줄기세포치료 관련 법제 92
  • 1. 재생의료 등의 안전성 확보 등에 관한 법률 92
  • 2. 의약품의료기기 등의 품질, 유효성 및 안전성의 확보 등에 관한 법률 94
  • Ⅱ. 미국의 줄기세포치료제 관련 법제 95
  • 1. 공중보건법 95
  • 2. 인체 세포, 조직, 세포 및 조직 기반 제품에 관한 연방규정 96
  • Ⅲ. 유럽연합의 줄기세포치료제 관련 법제 96
  • 1. 인체조직/세포에 관한 지침 97
  • 2. 첨단치료 의료제품 규제법 98
  • 제5장 줄기세포연구 및 줄기세포치료 규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01
  • 제1절 줄기세포치료 규제의 문제점 101
  • Ⅰ. 줄기세포 관련 법체계상의 문제점 101
  • Ⅱ. 의약품과 의료행위의 이분법적 분류에서의 문제점 102
  • Ⅲ. 임상시험계획승인과 품목허가제도의 문제점 104
  • Ⅳ. 의료행위로 규율되는 줄기세포치료의 법적 기준 미흡 104
  • 제2절 줄기세포치료 규제의 개선방안 106
  • Ⅰ. 줄기세포 관련 법체계의 정비 106
  • Ⅱ. 의약품과 의료행위 분류에 대한 재검토 106
  • Ⅲ. 줄기세포치료제의 임상시험계획승인 및 품목허가제도 개선 107
  • 1. 줄기세포의 특성을 고려한 기준 마련 107
  • 2. 전문가위원회의 설치 108
  • Ⅳ. 줄기세포치료제를 제외한 줄기세포치료 영역의 법제화 109
  • 1. 줄기세포치료와 관련한 법적 제도 마련 109
  • 2. 첨단재생의료의 지원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안의 검토 109
  • 제6장 결론 116
  • 참고문헌 120
  • 국문초록 126
  • ABSTRACT 12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234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에서 E-consent 체계구축의 필요성과 한계에 대한 연구 / 박예지 2016  177
23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 모집 개선 방안 연구 : 의뢰자 관점으로 / 양영환 2016  253
232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 김지연 2003  539
231 18 인체실험 모바일 기술을 이용한 임상시험 대상자 관리 연구 개발 동향 보고서 / 박선경 2017  128
23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모니터요원의 임상시험관련 연구윤리 인식도 평가 및 인식도가 업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송윤선 2016  125
229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행정지원 강화 전략에 대한 연구 : 임상시험 의뢰자 중심으로 / 조혜정 2011  84
228 18 인체실험 CRA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 이선희 2009  198
22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 전문성 유지를 위한 교육 및 자격에 대한 고찰 / 김근희 2012  206
22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와 임상시험코디네이터(CRC)의 업무량과 업무수행 어려움에 대한 연구 / 김수미 2011  673
225 18 인체실험 제약회사와 CRO의 CRA가 인식하는 조직문화가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비교 / 박인영 2017  222
224 18 인체실험 미성년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한 동의 요건 고찰 : 한국과 미국의 법적규제 중심으로 / 이예리 2014  123
223 18 인체실험 의약품 안정성 시험의 통계적 고찰 / 전정우 2009  11946
222 18 인체실험 단일 병원에서 시행된 식품의약품안전청 허가용 임상시험에서 발생한 중대한 유해사례의 보고율 조사 / 조상헌 2007  97
221 18 인체실험 미국 FDA의 의약품 위해평가 완화전략 구성 요소 분석 / 양관재 2012  354
»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치료에 관한 공법적 연구/임단비 2017  167
219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와 암세포에서 공통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의 특성 분석/신정아 2012  1206
218 18 인체실험 연구자주도임상시험(IIT)의 기업 지원 여부에 따른 유형별 특성 분석 : 연구중심병원 10개 기관 중심으로 / 김용석 / 2017  804
217 18 인체실험 만성 질환 임상시험 참여 대상자의 태도와 참여 결정 시 고려사항 / 이주연 2017  53
216 18 인체실험 인체실험에 대한 연구윤리 / 임우열 2007  511
21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계획승인 허가규정 연구 : 항암제 관련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 김민영 2011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