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0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584893 
의약품 안정성 시험의 통계적 고찰 = A study of statistical methods on drug stability test

                                             

  • 저자

    전정우                                       

  • 형태사항

    i, 59 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박상규
    참고문헌 수록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통계학과 통계학전공 2009. 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9

  • 소장기관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초록 (Abstract)
    • 의약품의 안정성 즉, 유효기간은 의약품이 생산되어진 후 그 성질(효능, 농도..)을 얼마나 오래 동안 유지하는가이다. FDA에서는 모든 의약품의 용기에 사용기간을 표기하도록 요구하고 있고 ...
  • 의약품의 안정성 즉, 유효기간은 의약품이 생산되어진 후 그 성질(효능, 농도..)을 얼마나 오래 동안 유지하는가이다. FDA에서는 모든 의약품의 용기에 사용기간을 표기하도록 요구하고 있고 실제 의약품의 사용기간은 전형적으로 알 수 없기 때문에 의약품개발과정에서 의약품의 기본적인 성질을 측정한 결과들을 기초로 이용한 안정성 시험으로 추정되어야 한다. 또한 FDA에서는 사용기간을 추정한 것에 대한 통계적인 증거들 제출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기간을 위한 통계적인 모형들과 통계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사용기간들을 비교연구 해 본다.
  • 초록 (Abstract)
    • The stability of a drug product , shelf-life indicates the time that the average drug characteristic (potency,strength...) remains within an approved specification after manufacture. The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requires indic...
  • The stability of a drug product , shelf-life indicates the time that the average drug characteristic (potency,strength...) remains within an approved specification after manufacture.
    The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requires indication for every drug product of a shelf-life on the immediate container label. Since the true shelf-life of a drug product is typically unknown, it has to be estimated based on assay results of the drug characteristic from a stability study usually conducted during the process of drug development. Furthermore, the FDA requires that the estimated shelf-life be so constructed that it is statistically evident. In this paper, we study and compare the statistical models (Fixed-effect model, Random-effect model and Mixed-effect model) for shelf-life and several shelf-life estimators that used statistical methods. Finite sample performance of some shelf-life estimators is examined in a simulation study.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개요 = 1
  • Ⅱ. 의약품 안정성 시험 = 2
  • 가. 안정성 시험 = 2
  • Ⅲ. 통계적 방법 = 4
  • 가. 외삽법 : 선형회귀분석 = 4
  • 나. 풀가능성시험(Poolability test) = 5
  • 다. 주의할 점 = 6
  • Ⅳ. 통계적 모형 = 7
  • 가. 고정효과모형(Fixed-effect model) = 7
  • 나. 랜덤효과모형(Random-effect model) = 9
  • 다. 혼합효과모형(Mixed -effect model) = 13
  • Ⅴ. OLS 방법과 GLS 방법 비교 = 15
  • 가. OLS (Ordinary least square) 방법 = 15
  • 나. GLS (Generalized least square) 방법 = 15
  • Ⅵ. 예제 데이터 분석 = 18
  • Ⅶ. 결론 = 44
  • 참고문헌 = 46
  • Appendix = 49
  • Appendix 1. 의약품등의안정성시험기준 = 49
  • Appendix 2. Covariance Structure Examples = 55
  • 국문초록 = 58
  • Abstract = 5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55 18 인체실험 의료계약 및 임상시험계약에 있어서 미성년자 보호에 관한 소고 / 서종희 2017  100
254 18 인체실험 인체실험에 대한 연구윤리 / 임우열 2007  511
253 18 인체실험 만성 질환 임상시험 참여 대상자의 태도와 참여 결정 시 고려사항 / 이주연 2017  53
252 18 인체실험 연구자주도임상시험(IIT)의 기업 지원 여부에 따른 유형별 특성 분석 : 연구중심병원 10개 기관 중심으로 / 김용석 / 2017  803
251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와 암세포에서 공통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의 특성 분석/신정아 2012  1204
250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치료에 관한 공법적 연구/임단비 2017  167
249 18 인체실험 국내 비임상시험기관에 대한 외국 규제기관 수검 사례 / 정은주 2013  66
248 18 인체실험 GLP 국제 상호인정을 위한 GLP 지침연구 / 김영옥 2006  79
247 18 인체실험 미국 FDA의 의약품 위해평가 완화전략 구성 요소 분석 / 양관재 2012  353
246 18 인체실험 단일 병원에서 시행된 식품의약품안전청 허가용 임상시험에서 발생한 중대한 유해사례의 보고율 조사 / 조상헌 2007  97
» 18 인체실험 의약품 안정성 시험의 통계적 고찰 / 전정우 2009  11938
244 18 인체실험 미성년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한 동의 요건 고찰 : 한국과 미국의 법적규제 중심으로 / 이예리 2014  123
243 18 인체실험 바이오 정보 보호에 관한 최근 주요이슈 및 법규 개선방안 / 정승일 2016  45
242 18 인체실험 미국 연구대상자 보호 정책의 최신 동향 / 정준호 2017  163
241 18 인체실험 진통제 임상시험 가이드라인/주정흔 외 2016  165
240 18 인체실험 급성기관지염의 약물중재 임상시험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유이란 외 2017  265
239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와 배아보호 / 김혁돈 2010  100
238 18 인체실험 제약회사와 CRO의 CRA가 인식하는 조직문화가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비교 / 박인영 2017  222
23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와 임상시험코디네이터(CRC)의 업무량과 업무수행 어려움에 대한 연구 / 김수미 2011  673
23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 전문성 유지를 위한 교육 및 자격에 대한 고찰 / 김근희 2012  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