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1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578838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와 임상시험코디네이터(CRC)의 업무량과 업무수행 어려움에 대한 연구

                             

  • 기타서명

    (The) study of workload and task difficulty for clinical research associate(CRA) and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CRC)

  • 저자

    김수미

  • 형태사항

    v, 46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강혜영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제약의료산업학과 2011.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1                                                                                                                                                                                         

  •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아시아 임상시험의 허브인 국내 임상시험 시장에서, 실제적으로 임상시험에서 가장 많은 역할을 하는 임상시험 모니터요원(Clinical Research Associate, CRA)과 임상시험 코디네이터(Clinic...
  • 본 연구는 아시아 임상시험의 허브인 국내 임상시험 시장에서, 실제적으로 임상시험에서 가장 많은 역할을 하는 임상시험 모니터요원(Clinical Research Associate, CRA)과 임상시험 코디네이터(Clinical Research Coordinator, CRC)의 영역별로 업무량을 파악하는데 있다. 또한 업무수행에 있어서 어떠한 부분을 어려워하는지를 확인하여 추후 임상시험인력 양성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2011년 3월~4월까지 현직 CRA와 CRC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각각 114명, 126명이 응답하였다. CRA와 CRC는 인구사회학적 특징과 같은 일반적 사항과 4가지 영역의 업무관련 사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로 조사되었고, 업무관련 문항은 직무기술서를 토대로 하였다. 연구결과 CRA와 CRC 두 직군 모두에서 개인특성에서는 경력이 1년 미만인 사람보다 1~3년인 사람이 업무 수행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고(p<0.01), 과거 이직경험이 없는 사람에 비해 이직경험이 있는 사람이 업무수행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CRA에서는 회사형태에 따라(p<0.05), CRC에서는 소속에 따라 업무어려움을 느끼는 정도가 유의하게 다르게 나타났다(p<0.05). 또 CRC에서는 담당하는 프로젝트 개수가 많을수록 업무수행의 어려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CRA에서는 4가지 영역, 임상시험 진행, 서류작성, 의사소통, 기타 업무 중 의사소통 업무가 가장 업무량이 많고(3.24±0.731), 가장 어렵다고(3.04±0.680) 응답하였다. CRC에서도 4가지 영역 중 의사소통영역(3.31±0.743)과 임상시험 진행(3.31±0.825)가 업무량이 많고, 의사소통업무가 가장 어렵다고 응답하였다(3.06±0.613). 특히, CRA에서는 주된 업무 중 임상시험 진행 업무에서 임상시험 계획서 및 절차 숙지가 가장 업무량이 많고(3.44±0.893), 어렵다는(3.30±0.875) 결과를 얻었고, CRC에서도 주 업무인 증례기록서 작성 및 입력이 가장 업무량이 많고(3.82±1.031), 계획서 및 절차 숙지가 가장 어렵다(3.29±0.768)는 결과를 얻었다. 개인특성과 회사/기관특성과 업무량이 업무수행의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CRA와 CRC 모두 개인특성과 회사/기관특성은 설명력이 약했으며, 업무수행 어려움에 대한 업무량의 설명력은 60%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두 변수, 업무량과 업무수행의 어려움은 강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이는 업무량이 많을수록 업무수행의 어려움을 더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업무수행의 어려움에 가장 영향을 주는 업무량이 그 배정에 있어서 가장 고려되어야 할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CRA와 CRC가 업무량이 많고 업무수행에 어려움을 느끼는 임상시험계획서와 절차숙지를 위해 적절한 교육과 충분한 시간을 주어야 함을 알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55 18 인체실험 의료계약 및 임상시험계약에 있어서 미성년자 보호에 관한 소고 / 서종희 2017  100
254 18 인체실험 인체실험에 대한 연구윤리 / 임우열 2007  511
253 18 인체실험 만성 질환 임상시험 참여 대상자의 태도와 참여 결정 시 고려사항 / 이주연 2017  53
252 18 인체실험 연구자주도임상시험(IIT)의 기업 지원 여부에 따른 유형별 특성 분석 : 연구중심병원 10개 기관 중심으로 / 김용석 / 2017  803
251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와 암세포에서 공통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의 특성 분석/신정아 2012  1204
250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치료에 관한 공법적 연구/임단비 2017  167
249 18 인체실험 국내 비임상시험기관에 대한 외국 규제기관 수검 사례 / 정은주 2013  66
248 18 인체실험 GLP 국제 상호인정을 위한 GLP 지침연구 / 김영옥 2006  79
247 18 인체실험 미국 FDA의 의약품 위해평가 완화전략 구성 요소 분석 / 양관재 2012  353
246 18 인체실험 단일 병원에서 시행된 식품의약품안전청 허가용 임상시험에서 발생한 중대한 유해사례의 보고율 조사 / 조상헌 2007  97
245 18 인체실험 의약품 안정성 시험의 통계적 고찰 / 전정우 2009  11938
244 18 인체실험 미성년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한 동의 요건 고찰 : 한국과 미국의 법적규제 중심으로 / 이예리 2014  123
243 18 인체실험 바이오 정보 보호에 관한 최근 주요이슈 및 법규 개선방안 / 정승일 2016  45
242 18 인체실험 미국 연구대상자 보호 정책의 최신 동향 / 정준호 2017  163
241 18 인체실험 진통제 임상시험 가이드라인/주정흔 외 2016  165
240 18 인체실험 급성기관지염의 약물중재 임상시험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유이란 외 2017  265
239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와 배아보호 / 김혁돈 2010  100
238 18 인체실험 제약회사와 CRO의 CRA가 인식하는 조직문화가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비교 / 박인영 2017  222
» 18 인체실험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와 임상시험코디네이터(CRC)의 업무량과 업무수행 어려움에 대한 연구 / 김수미 2011  673
23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 전문성 유지를 위한 교육 및 자격에 대한 고찰 / 김근희 2012  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