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4
발행년 : 201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578838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와 임상시험코디네이터(CRC)의 업무량과 업무수행 어려움에 대한 연구

                             

  • 기타서명

    (The) study of workload and task difficulty for clinical research associate(CRA) and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CRC)

  • 저자

    김수미

  • 형태사항

    v, 46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강혜영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제약의료산업학과 2011.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1                                                                                                                                                                                         

  •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아시아 임상시험의 허브인 국내 임상시험 시장에서, 실제적으로 임상시험에서 가장 많은 역할을 하는 임상시험 모니터요원(Clinical Research Associate, CRA)과 임상시험 코디네이터(Clinic...
  • 본 연구는 아시아 임상시험의 허브인 국내 임상시험 시장에서, 실제적으로 임상시험에서 가장 많은 역할을 하는 임상시험 모니터요원(Clinical Research Associate, CRA)과 임상시험 코디네이터(Clinical Research Coordinator, CRC)의 영역별로 업무량을 파악하는데 있다. 또한 업무수행에 있어서 어떠한 부분을 어려워하는지를 확인하여 추후 임상시험인력 양성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2011년 3월~4월까지 현직 CRA와 CRC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각각 114명, 126명이 응답하였다. CRA와 CRC는 인구사회학적 특징과 같은 일반적 사항과 4가지 영역의 업무관련 사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로 조사되었고, 업무관련 문항은 직무기술서를 토대로 하였다. 연구결과 CRA와 CRC 두 직군 모두에서 개인특성에서는 경력이 1년 미만인 사람보다 1~3년인 사람이 업무 수행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고(p<0.01), 과거 이직경험이 없는 사람에 비해 이직경험이 있는 사람이 업무수행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CRA에서는 회사형태에 따라(p<0.05), CRC에서는 소속에 따라 업무어려움을 느끼는 정도가 유의하게 다르게 나타났다(p<0.05). 또 CRC에서는 담당하는 프로젝트 개수가 많을수록 업무수행의 어려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CRA에서는 4가지 영역, 임상시험 진행, 서류작성, 의사소통, 기타 업무 중 의사소통 업무가 가장 업무량이 많고(3.24±0.731), 가장 어렵다고(3.04±0.680) 응답하였다. CRC에서도 4가지 영역 중 의사소통영역(3.31±0.743)과 임상시험 진행(3.31±0.825)가 업무량이 많고, 의사소통업무가 가장 어렵다고 응답하였다(3.06±0.613). 특히, CRA에서는 주된 업무 중 임상시험 진행 업무에서 임상시험 계획서 및 절차 숙지가 가장 업무량이 많고(3.44±0.893), 어렵다는(3.30±0.875) 결과를 얻었고, CRC에서도 주 업무인 증례기록서 작성 및 입력이 가장 업무량이 많고(3.82±1.031), 계획서 및 절차 숙지가 가장 어렵다(3.29±0.768)는 결과를 얻었다. 개인특성과 회사/기관특성과 업무량이 업무수행의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CRA와 CRC 모두 개인특성과 회사/기관특성은 설명력이 약했으며, 업무수행 어려움에 대한 업무량의 설명력은 60%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두 변수, 업무량과 업무수행의 어려움은 강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며 이는 업무량이 많을수록 업무수행의 어려움을 더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업무수행의 어려움에 가장 영향을 주는 업무량이 그 배정에 있어서 가장 고려되어야 할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CRA와 CRC가 업무량이 많고 업무수행에 어려움을 느끼는 임상시험계획서와 절차숙지를 위해 적절한 교육과 충분한 시간을 주어야 함을 알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34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에서 E-consent 체계구축의 필요성과 한계에 대한 연구 / 박예지 2016  177
23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 모집 개선 방안 연구 : 의뢰자 관점으로 / 양영환 2016  253
232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 김지연 2003  539
231 18 인체실험 모바일 기술을 이용한 임상시험 대상자 관리 연구 개발 동향 보고서 / 박선경 2017  128
23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모니터요원의 임상시험관련 연구윤리 인식도 평가 및 인식도가 업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송윤선 2016  125
229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행정지원 강화 전략에 대한 연구 : 임상시험 의뢰자 중심으로 / 조혜정 2011  84
228 18 인체실험 CRA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 이선희 2009  198
22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 전문성 유지를 위한 교육 및 자격에 대한 고찰 / 김근희 2012  206
» 18 인체실험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와 임상시험코디네이터(CRC)의 업무량과 업무수행 어려움에 대한 연구 / 김수미 2011  673
225 18 인체실험 제약회사와 CRO의 CRA가 인식하는 조직문화가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비교 / 박인영 2017  222
224 18 인체실험 미성년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한 동의 요건 고찰 : 한국과 미국의 법적규제 중심으로 / 이예리 2014  123
223 18 인체실험 의약품 안정성 시험의 통계적 고찰 / 전정우 2009  11937
222 18 인체실험 단일 병원에서 시행된 식품의약품안전청 허가용 임상시험에서 발생한 중대한 유해사례의 보고율 조사 / 조상헌 2007  97
221 18 인체실험 미국 FDA의 의약품 위해평가 완화전략 구성 요소 분석 / 양관재 2012  353
220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치료에 관한 공법적 연구/임단비 2017  167
219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와 암세포에서 공통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의 특성 분석/신정아 2012  1204
218 18 인체실험 연구자주도임상시험(IIT)의 기업 지원 여부에 따른 유형별 특성 분석 : 연구중심병원 10개 기관 중심으로 / 김용석 / 2017  803
217 18 인체실험 만성 질환 임상시험 참여 대상자의 태도와 참여 결정 시 고려사항 / 이주연 2017  53
216 18 인체실험 인체실험에 대한 연구윤리 / 임우열 2007  511
21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계획승인 허가규정 연구 : 항암제 관련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 김민영 2011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