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4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12780 

임상시험 모니터요원의 임상시험관련 연구윤리 인식도 평가 및 인식도가 업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f an evaluation of CRA’s ethical perspective and its effect of the ethical perspective on clinical research performance

                                            

  • 저자

    송윤선                                       

  • 형태사항

    72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이준영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 역학및보건정보학과 2016. 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 초록 (Abstract)
    • 목적 : 국내 임상의 승인건수는 2001년 이후로 급격하게 증가하여 양적인 증가를 보여 주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임상시험 윤리기준에 대한 교육 및 인식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 연구는 임상...
  • 목적 : 국내 임상의 승인건수는 2001년 이후로 급격하게 증가하여 양적인 증가를 보여 주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임상시험 윤리기준에 대한 교육 및 인식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 연구는 임상시험모니터요원의 임상시험 연구윤리에 대한 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임상시험관련 연구윤리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업무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여 연구 윤리 확립에 기여하기 위한 단면연구이다.

    방법 : 국내제약사, 외국계 제약사, 국내 CRO, 외국계 CRO의 CRA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Window 용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으며,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제약사와 CRO별로 비교하기 위해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임상시험관련 연구윤리 인식도 및 업무수행도와 관련이 있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 및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은 양측 유의 수준 5% 이하에서 판단하였다.

    결과 : 이 연구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는 남자보다 여자가 훨씬 많았으며, 연령은 30대가 가장 많았다. 전공은 간호학의 학력은 학사 이상이 가장 많았고, 연구윤리 교육경험이 99%이상이었고 대부분 직장에서 교육을 받았다. 연구윤리 교육을 받은 횟수는 3~5회가 가장 많았으며, 직장 내 정규적인 교육시행여부는 연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실시 한다는 답변이 50%가 넘었다. 표준작업 지침서 여부는 82%가 있다고 답변했으며, 표준작업지침서 교육 여부는 41%가 연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실시한다고 하였다. 95%에 가까운 연구대상자들이 연구윤리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고, 의약품 임상시험관리기준에 대해서 가장 많이 인지하고 있었다.
    연구윤리 교육 횟수가 많을수록 임상시험관련 연구윤리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있게 나타났고(p<0.05), 연구윤리 인식도가 연구윤리에 따른 실제 업무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나타났다(p<0.01).

    결론 : 연구윤리 교육 횟수가 많을수록 임상시험관련 연구윤리 인식도가 높고, 임상시험관련 연구윤리 인식도가 높을수록 실제 업무수행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인식도를 높이는 교육이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임상시험 연구윤리 수준 향상 및 질적인 향상을 위해 인식도를 강화시키는 교육이 필요하고 교육 집중 시스템의 확립과 정기적인 교육 효과 및 적절한 평가 방법을 구축하여 교육의 내실화를 다질 필요가 있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i
  • Ⅰ. 서론 1
  •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0
  • 1. 연구대상 및 방법 10
  • 2. 연구설계 10
  • 3. 연구도구 12
  • 4. 통계분석 18
  • Ⅲ. 연구결과 19
  •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교육 형태, 연구윤리 인식도 및 수행도 관련 특성들 19
  • 2. 일반적인 특성 및 교육관련 특성과 임상시험관련 연구윤리 인식도와 실제 업무수행도 간의 비교 36
  • 3. 임상시험관련 연구윤리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39
  • 4. 실제 업무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41
  • Ⅳ. 고찰 45
  • Ⅴ. 결론 48
  • 참고문헌 49
  • 부 록 5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34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에서 E-consent 체계구축의 필요성과 한계에 대한 연구 / 박예지 2016  177
23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 모집 개선 방안 연구 : 의뢰자 관점으로 / 양영환 2016  253
232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 김지연 2003  539
231 18 인체실험 모바일 기술을 이용한 임상시험 대상자 관리 연구 개발 동향 보고서 / 박선경 2017  128
»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모니터요원의 임상시험관련 연구윤리 인식도 평가 및 인식도가 업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송윤선 2016  125
229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행정지원 강화 전략에 대한 연구 : 임상시험 의뢰자 중심으로 / 조혜정 2011  84
228 18 인체실험 CRA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 이선희 2009  198
22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 전문성 유지를 위한 교육 및 자격에 대한 고찰 / 김근희 2012  206
22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와 임상시험코디네이터(CRC)의 업무량과 업무수행 어려움에 대한 연구 / 김수미 2011  673
225 18 인체실험 제약회사와 CRO의 CRA가 인식하는 조직문화가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비교 / 박인영 2017  222
224 18 인체실험 미성년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한 동의 요건 고찰 : 한국과 미국의 법적규제 중심으로 / 이예리 2014  123
223 18 인체실험 의약품 안정성 시험의 통계적 고찰 / 전정우 2009  11937
222 18 인체실험 단일 병원에서 시행된 식품의약품안전청 허가용 임상시험에서 발생한 중대한 유해사례의 보고율 조사 / 조상헌 2007  97
221 18 인체실험 미국 FDA의 의약품 위해평가 완화전략 구성 요소 분석 / 양관재 2012  353
220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치료에 관한 공법적 연구/임단비 2017  167
219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와 암세포에서 공통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의 특성 분석/신정아 2012  1204
218 18 인체실험 연구자주도임상시험(IIT)의 기업 지원 여부에 따른 유형별 특성 분석 : 연구중심병원 10개 기관 중심으로 / 김용석 / 2017  803
217 18 인체실험 만성 질환 임상시험 참여 대상자의 태도와 참여 결정 시 고려사항 / 이주연 2017  53
216 18 인체실험 인체실험에 대한 연구윤리 / 임우열 2007  511
21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계획승인 허가규정 연구 : 항암제 관련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 김민영 2011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