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180936 
국내 임상시험에서 E-consent 체계구축의 필요성과 한계에 대한 연구

                          

  • 저자

    박예지                                       

  • 형태사항

    v, 44장 : 삽도,챠트 ; 27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진경
    참고문헌: p. 39-4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대학원 : 생명의료윤리학과 2016.8

  • KDC

    5

  • 발행국

    부산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 초록 (Abstract)
    • 임상시험의 시행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임상시험의 수준 또한 향상되었고, 향상을 위한 노력은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인해 임상시험의 시행방법은 서면작업에 기반을 ...
  • 임상시험의 시행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임상시험의 수준 또한 향상되었고, 향상을 위한 노력은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인해 임상시험의 시행방법은 서면작업에 기반을 둔 과정에서 전자화된 과정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다. 전자화된 방법의 구체적인 예로 E-irb 시스템(전자 임상시험 심사 시스템)을 우선적으로 들 수 있고, 이 외에 전자문서관리 시스템 , 전자 시험 마스터 파일 등이 있다. 또한, 최근 ICT 분야의 활성화는 임상시험에서도 두각을 드러내고 있고 이는 임상시험의 진행과정의 전자화를 더욱더 이끌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임상시험의 발전 동향에 맞추어 국외에서 E-consent (전자동의)를 도입하여 운용하고 있는 사례가 있으나 국내 임상시험에서의 동의획득 과정은 아직까지 서면작업에 크게 기반을 둔 채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제는 국내 임상시험의 발전 동향과 수준, 성장속도를 고려하여 전자동의의 체계구축이 국내에서도 필요한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 만약 국내 임상시험에서 전자동의의 체계구축이 이루어진다면 기존의 서면작업에 기반을 둔 동의과정에 비해 효율적이고 편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전자동의의 체계구축이 서면동의과정 보다 질적인 측면에서 동등하거나 우수하다고 확신할 수 없다. 또한, 국내 임상시험의 수준을 한 단계 더 높일 수 있다거나 부정적인 측면보다 긍정적인 측면이 훨씬 더 많을 것이라고 장담할 수 없다. 다만 현재까지의 국내 임상시험의 성장속도와 발전 동향 등을 고려하였을 때 전자동의의 체계구축 필요성이 대두될 가능성이 크고, 동의형태가 전자화되지 않으리라는 보장은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에서는 임상시험에서 전자동의의 체계구축 필요성과 한계점 및 개선방향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                                                                             
  •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II. (국내) 임상시험에서 E-consent 체계구축의 필요성 4
  • 1. 국내 임상시험의 발전 현황 4
  • 2. 서면동의서를 통한 동의과정의 문제점 6
  • 3. (국내 임상시험에서) E-consent 체계구축의 긍정적
  • 측면 11
  • III. E-consent의 국 외 운용사례와 관련규정 16
  • 1. E-consent의 국 외 운용사례 16
  • 2. E-consent 사용에 대한 국 외 관련 규정 20
  • IV. 국내 임상시험에서 E-consent 체계 구축의 한계 및
  • 개선방향 27
  • 1. E-consent 체계구축의 한계 27
  • 2. E-consent 체계구축의 한계에 대한 개선방향 32
  • Ⅴ. 결론 37
  • 참고문헌 39
  • Abstract 4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35 18 인체실험 CRA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 이선희 2009  198
23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행정지원 강화 전략에 대한 연구 : 임상시험 의뢰자 중심으로 / 조혜정 2011  84
23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모니터요원의 임상시험관련 연구윤리 인식도 평가 및 인식도가 업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송윤선 2016  125
232 18 인체실험 모바일 기술을 이용한 임상시험 대상자 관리 연구 개발 동향 보고서 / 박선경 2017  128
231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 김지연 2003  539
23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 모집 개선 방안 연구 : 의뢰자 관점으로 / 양영환 2016  253
»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에서 E-consent 체계구축의 필요성과 한계에 대한 연구 / 박예지 2016  177
22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 대한 치위생사의 인식도와 관련요인 / 장나희 2013  290
227 18 인체실험 일개 병원에서 의약품 임상시험의 소아 피험자 현황 / 천수정 2012  81
22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신고제 도입을 위한 관리제도 개선방안 / 김원희 2009  122
225 18 인체실험 의약품 임상시험에 있어서 노인 피험자 현황 / 박소윤 2012  143
224 18 인체실험 초기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건강한 피험자의 사례비 평가: 연구자 관점과 피험자 관점 / 조지은 2012  376
223 18 인체실험 노인환자에서의 의약품임상시험 지침 / 이순실 2006  160
222 18 인체실험 생물의약품 임상시험에 사용되는 통계학적 고려사항 / 남주선 2014  306
221 18 인체실험 적응적 임상시험에 대한 고찰과 한국에서의 적응적 임상시험 적용과 발전을 위한 제안 / 양송이 2016  330
220 18 인체실험 복부비만 관련 임상시험의 국내외 연구동향 고찰 / 임제연 2010  256
219 18 인체실험 항암제의 국내 임상시험 소요기간 및 허가동향에 대한 연구 / 이예린 2017  2478
218 18 인체실험 암 임상시험 실무지침서 내용개발 / 신용민 2017  112
217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관리약사의 업무현황과 발전방향 / 정승숙 2003  512
216 18 인체실험 줄기세포를 이용한 재생의료산업의 미래전략 / 양윤선 2017  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