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948528 
복부비만 관련 임상시험의 국내외 연구동향 고찰

                       

  • 저자

    임제연                                       

  • 형태사항

    26cm.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한의학과,재활의학과학전공 2010. 2

  • 발행국

    경기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0                                                                                                                                                                                           

  • 초록 (Abstract)
    • 연구배경: 복부 비만은 지질이상과 인슐린 저항 등을 포함하는 대사증후군을 비롯한 여러 심혈관 질환과 조기사망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복부비만 치료 효과 검...
  • 연구배경:
    복부 비만은 지질이상과 인슐린 저항 등을 포함하는 대사증후군을 비롯한 여러 심혈관 질환과 조기사망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복부비만 치료 효과 검증을 위한 임상시험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며 국내외의 임상시험 경향 비교 분석을 통하여 향후 한약 및 침치료 효과 검증을 위한 임상시험의 기준을 마련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www.clinicaltrial.gov'에서 임상시험 정보에 대해 검색하였고, 국내 자료 검색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4U)’, ‘한국학술정보원(KISS)’, 누리미디어에서 제공하는 ‘DBPIA’, ‘국회도서관’을 통해 인터넷 검색하였으며, 이 외에도 한국학술진흥재단에서 학술지등재후보지 이상으로 분류한 ‘대한한의학회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대한한방비만학회지’를 통해 검색하였다. 검색어는 ‘복부’, ‘비만’, ‘내장’과 ‘지방’을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결과:
    1. 국외 임상시험은 67건의 임상시험이 검색되었으며 복부비만 관련 임상시험 건수는 2005년부터 2009년 11월 현재까지 각각 9회, 10회, 13회, 8회, 6회로 나타났다.
    2. 연령대 분류결과 Adult 대상이 33건, Adult와 Senior 대상이 24건으로 많았으며 남녀모두를 대상으로 한 경우가 51건으로 다수를 차지하였다.
    3. 무작위배정을 시행한 경우가 51건으로 96.2%를 차지하였으며 67건의 임상시험 중 38건의 임상시험이 대조군을 활용하였다.
    4. 선정기준은 BMI, WC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는 각각 9건, 22건, BMI와 WC를 동시에 사용한 경우는 20건으로 많았으며 end point는 WC 21건, BMI 14건, Abdominal fat mass 16건, Body weight 11건이 사용되었다.
    5. 국내 연구에 있어서 86건의 임상시험 논문이 검색되었으며 2005년부터 2009년 11월 현재까지 각각 23회, 25회, 34회, 38회, 8회로 점점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6. 연령대 분류결과 Adult 대상 62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성별에 따른 분류결과 Female을 대상으로 한 경우가 65건으로 다수를 차지하였다.
    7. 무작위배정을 시행한경우가 2건으로 2.3%를 차지하였다. 82건의 임상시험 중 62건의 임상시험이 대조군을 활용하였다.
    8. 선정기준은 BMI 19개건, Body Fat Percent은 18건, WC는 17건, VSR는 16건, WHR은 12건에서 사용되었다. end point는 BMI와 Body Fat Percent, WC, WHR을 보는 경우가 19건, BMI와 Body Fat Percent, Abdominal fat mass과 WC, WHR을 보는 경우가 15건이 사용되었다.
    결론:
    국내외 임상시험 및 논문에서 다양한 복부비만 지표 및 유효성 변수와 기타 임상시험의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임상시험 설계 디자인 및 환자의 선정, 제외기준 등에 있어서 국내 임상시험은 보다 체계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의학계에서도 앞으로 적절한 임상 프로토콜과 평가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기초로 지속적인 임상시험을 진행하여서 양질의 성과물들을 내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려된다.
  • 초록 (Abstract)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analyze the status on the recent clinical trials of 'abdominal obesity' Methods: I manually search 'www.clinicaltrial.gov', 4 Korean medical databases and 4 Korean medical journals of abdominal obe...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analyze the status on the recent clinical trials of 'abdominal obesity'
    Methods:
    I manually search 'www.clinicaltrial.gov', 4 Korean medical databases and 4 Korean medical journals of abdominal obesity. Search terms used were 'abdominal obesity' or 'visceral obesity'. In order to see detail review, searching was performed from 01, 01, 2005 to 11, 31, 2009. And I classified all the searched studies into design, Intervention, purpose, end point, diseases, condition and etc.
    Results:
    1. I could search total 67 trials in 'www.clinicaltrial.gov'. I found 9, 10, 13, 8, 6 clinical trial from 2005 to 2009 every year.
    2. Both are major gender of clinical trial. Adult or adult and senior are major age of clinical trial.
    3. Randomization clincal trial is 51 cases that occupied 96.2%. 38 cases use control group.
    4. BMI and WC are major incriteria of Abdominal obesity clincal trial. WC, BMI, Abdominal fat mass, Body weight are end point of Abdominal obesity clincal trial
    5. I could search total 86 case in domestic study. I found 15, 23, 23, 20, 5 case from 2005 to 2009 every year.
    6. Female are major gender of clinical trialin domestic study. Adult are major age of clinical trial in domestic study.
    7. Randomization clincal trial is only 2 cases that occupied 2.3%. 62 cases use control group.
    8. BMI, Body Fat Percent, WC, VSR, WHR are incriteria of Abdominal obesity clincal trial in domestic study. WC, BMI, Abdominal fat mass, Body weight are end point of Abdominal obesity clincal trial in domestic study.
    Conclusion:
    To improve abdominal obesity study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t is need to activate clinical trial, meta analysis, develope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o-works with conventional medicine and etc.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Ⅱ. 연구방법 3
  • 1. 국외 임상시험 3
  • 1) 연구대상 3
  • 2) 검색방법 3
  • 2. 국내 임상시험 5
  • 1) 연구대상 5
  • 2) 검색방법 5
  • Ⅲ. 연구결과 7
  • A. 국외 복부비만 관련 임상시험 7
  • 1. 임상시험 현황 7
  • 2. 임상시험 대상자 11
  • 3. 임상시험 디자인 13
  • 4. 임상시험 선정기준 및 제외기준 17
  • 5. 임상시험 최종 유효성 변수 21
  • B. 국내 복부비만 관련 임상시험 23
  • 1. 국내 연구 현황 23
  • 2. 국내 임상시험 대상자 25
  • 3. 국내 임상시험 디자인 27
  • 4. 국내 임상시험 선정기준 및 제외기준 30
  • 5. 국내 임상시험 최종 유효성 변수 31
  • Ⅳ. 고찰 34
  • Ⅴ. 결론 40
  • 참고문헌 43
  • ABSTRACT 4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35 18 인체실험 CRA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 이선희 2009  198
23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행정지원 강화 전략에 대한 연구 : 임상시험 의뢰자 중심으로 / 조혜정 2011  84
23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모니터요원의 임상시험관련 연구윤리 인식도 평가 및 인식도가 업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송윤선 2016  125
232 18 인체실험 모바일 기술을 이용한 임상시험 대상자 관리 연구 개발 동향 보고서 / 박선경 2017  124
231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 김지연 2003  539
23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 모집 개선 방안 연구 : 의뢰자 관점으로 / 양영환 2016  250
229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에서 E-consent 체계구축의 필요성과 한계에 대한 연구 / 박예지 2016  177
22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 대한 치위생사의 인식도와 관련요인 / 장나희 2013  290
227 18 인체실험 일개 병원에서 의약품 임상시험의 소아 피험자 현황 / 천수정 2012  81
22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신고제 도입을 위한 관리제도 개선방안 / 김원희 2009  122
225 18 인체실험 의약품 임상시험에 있어서 노인 피험자 현황 / 박소윤 2012  143
224 18 인체실험 초기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건강한 피험자의 사례비 평가: 연구자 관점과 피험자 관점 / 조지은 2012  376
223 18 인체실험 노인환자에서의 의약품임상시험 지침 / 이순실 2006  160
222 18 인체실험 생물의약품 임상시험에 사용되는 통계학적 고려사항 / 남주선 2014  306
221 18 인체실험 적응적 임상시험에 대한 고찰과 한국에서의 적응적 임상시험 적용과 발전을 위한 제안 / 양송이 2016  330
» 18 인체실험 복부비만 관련 임상시험의 국내외 연구동향 고찰 / 임제연 2010  256
219 18 인체실험 항암제의 국내 임상시험 소요기간 및 허가동향에 대한 연구 / 이예린 2017  2477
218 18 인체실험 암 임상시험 실무지침서 내용개발 / 신용민 2017  112
217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관리약사의 업무현황과 발전방향 / 정승숙 2003  512
216 18 인체실험 줄기세포를 이용한 재생의료산업의 미래전략 / 양윤선 2017  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