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441289 
항암제의 국내 임상시험 소요기간 및 허가동향에 대한 연구

                                

  • 저자

    이예린                                       

  • 형태사항

    69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이의경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2017. 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초록 (Abstract)
    • 인구 고령화 및 식습관, 생활환경의 변화 등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암 발생 인구가 매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국내 사망 관련 통계 자료가 수집된 1980년대부터 지금까지 암은 국민 주...
  • 인구 고령화 및 식습관, 생활환경의 변화 등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암 발생 인구가 매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국내 사망 관련 통계 자료가 수집된 1980년대부터 지금까지 암은 국민 주요사망원인으로 부동의 1위 자리를 차지하는 질병이다. 더불어 항암제는 전 세계 의약품 시장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질환별 치료제 시장에서도 월등하게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국내·외의 항암제 시장규모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며 항암제 개발을 위한 글로벌 투자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향후 제약시장 내 암 관련 지출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항암제 임상시험 현황 조사를 통해 단계별 소요기간 및 허가까지 소요되는 기간을 분석하였다. 2008년 이후 허가받은 항암제를 대상으로 임상시험 소요기간을 분석한 결과 모든 단계별 임상시험을 국내에서 실시한 경우 1상 임상시험에 소요되는 기간은 평균 1.82년 (21.8개월, 664일), 2상 시험에 소요되는 기간은 평균 1.36년 (16.3개월, 496일), 3상 시험에 소요되는 기간은 평균 2.55년 (30.6개월, 930일)으로 각각 나타났다. 전체 대상 연구에 대하여 하나의 임상시험에 소요되는 기간이 3년 이내로 지정하고 구한 단계간 임상시험 소요기간은 다음과 같았다. 1상 연구가 평균 1.82년 (21.8개월, 664일)으로 가장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상 연구가 평균 1.20년 (14.4개월, 438일)으로 가장 짧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3상 연구의 경우 평균 1.62년 (19.5개월, 593일)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 따르면 항암제는 임상시험 개시(Initiation) 단계에서 가장 많은 기간이 소요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초기 임상 단계에서는 임상시험 기준에 충족하는 적합한 환자군을 모집하기 어렵고, 생존율과 같은 효능에 대한 결과지표를 확립하는데 매우 긴 시간이 걸리는 까닭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임상시험 승인일부터 허가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1상 연구에서 평균 3.67년 (44.1개월, 1,341일)이었고, 2상 연구에서 평균 2.65년 (31.9개월, 969일), 3상 연구에서 허가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평균 2.55년 (30.6개월, 930일)인 것으로 나타났다. 항암제의 경우, 가교자료 면제에 대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국내에서 임상시험을 실시하지 않더라도 품목허가를 받을 수 있는 예외적인 기준이 존재한다. 2008년 이후 허가받은 항암제 품목은 총 270개이지만 이 중 하나의 임상시험이라도 국내에서 실시한 품목은 40개에 불과하다. 따라서 전체 품목의 약 85% 가량은 전체 가교시험 면제 대상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대부분 기존 항암 화학요법에 실패한 경우에 가교자료 제출 면제 대상으로 분류되어 있고, 새로운 항암 신약 또한 기존 항암 요법에 실패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적응증을 타겟으로 개발 중인 추세이기 때문에 국내에서 항암제 대상의 임상시험을 수행하는 건수가 많지 않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항암제를 대상으로 국내에서 실시한 임상시험을 분석하여 단계별 소요기간 및 허가까지 걸리는 기간을 파악하여 임상시험 관련 제도와 허가 관련 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임상시험 발전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1절. 연구배경 1
  • 제 2절. 연구목적 3
  • 제 2 장 문헌 고찰 4
  • 제 1절. 이론적 배경 4
  • 1. 국내·외 암 유병현황 4
  • 2. 국내·외 항암제 시장 현황 및 전망 8
  • 3. 항암제 임상시험 정의 12
  • 4. 항암제 임상시험 특징 14
  • 5. 국내·외항암제 임상시험과 품목허가 관련 동향 15
  • 가. 항암제 국내 임상시험과 품목허가 관련 동향 15
  • 나. 항암제 미국 임상시험과 품목허가 관련 동향 15
  • 6. 항암제 국내 가교자료 면제 현황 17
  • 가. 항암제 국내 가교자료 면제 의의 17
  • 나. 항암제 국내 가교자료 면제 기준 18
  • 제 2절. 문헌 고찰 22
  • 1. ClinicalTrials.gov에 등록된 항암제 (2002∼2014) 22
  • 2. 선행문헌 고찰 25
  • 가. Inovation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New estimates of R&D costs 25
  • 나. Economics of New Oncology Drug Development 27
  • 다. 기타 문헌고찰 30
  • 제 3 장 연구 방법 31
  • 제 1절. 연구 방법 31
  • 1. 연구대상 및 기간 31
  • 2. 선정기준 31
  • 3. 배제기준 32
  • 제 2절. 분석방법 33
  • 1. 소요기간 산정 33
  • 2. 통계분석 33
  • 제 4 장 연구 결과 34
  • 제 1절. 연구대상 개요 34
  • 1. 품목허가를 받은 항암제 임상시험 현황 34
  • 제 2절. 품목 허가 받은 항암제 임상시험 소요 기간 36
  • 1. 품목 허가받은 항암제를 대상으로 실시한 임상시험에 대한 전체 현황 36
  • 2. 허가받은 항암제 중 임상시험 기간이 3년 이상인 경우를 제외한 현황 40
  • 3. 전체 케이스별 항암제 품목허가까지 소요되는 기간 42
  • 제 5 장 고찰 및 결론 45
  • 참고문헌 48
  • 부 록 50
  • Abstract 5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15 18 인체실험 한의표준임상정보화의 과제와 전망 - 지정토론문 / 김태훈 2018  38
314 18 인체실험 바이오 정보 보호에 관한 최근 주요이슈 및 법규 개선방안 / 정승일 2016  45
313 18 인체실험 암 환자의 임상시험 참여 의향과 연관된 요인: 탐색형 서술적 문헌고찰 / 김건형 외 2016  47
312 18 인체실험 만성 질환 임상시험 참여 대상자의 태도와 참여 결정 시 고려사항 / 이주연 2017  53
311 18 인체실험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운영에서 얻은 교훈 / 이동익 2007  54
310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은행 운영방안에 대한 제안 / 정교민 2009  54
309 18 인체실험 임상시험과 환자를 위한 구체적 의료행위의 구분기준에 관한 고찰 / 강한철 2013  54
30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피험자와 자기결정 : 독일의 논의를 중심으로 / 김기영 2010  57
307 18 인체실험 The Paradoxical Problem with Multiple-IRB Review 2010  58
306 18 인체실험 줄기세포기반치료에 대한 미국의 규제 경향 고찰 / 박수헌 2016  64
305 18 인체실험 한의표준임상정보화의 과제와 전망 / 윤영흠 2018  65
30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의 동의의 법적 유효성과 설명의 내용 : 일본에서의 논의와 우리나라에서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 송영민 2012  66
303 18 인체실험 국내 비임상시험기관에 대한 외국 규제기관 수검 사례 / 정은주 2013  66
302 18 인체실험 How Closely Do Institutional Review Boards Follow the Common Rule? 2012  67
301 18 인체실험 이종이식 임상적용에서의 인권침해 요소에 관한 법적 고찰 /차유경, 모효정 2014  70
30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시행대상자설명서의 가독성 평가 / 최임순 외 2016  70
299 18 인체실험 인간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Nkx2.5+ 심장전구세포의 isoflurane에 의한 전처치 효과에서의 protein kinase C-ε의 역할 / 송인애 2016  71
298 18 인체실험 신약 임상시험의 과정 및 관련지침 / 신상구 1994  71
29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 정당화 요건과 형법적 통제 / 김현조 2015  71
29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규제완화, 국민은 실험대상이 아니다 2016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