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재산법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55004 

임상시험에서의 동의의 법적 유효성과 설명의 내용 : 일본에서의 논의와 우리나라에서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 Legal Effectiveness of Consent and Contents of Explanation in Clinical Tests -Focusing on the debates in Japan and implications in Korea

                                

  • 저자명

    송영민                                              

  • 학술지명

    재산법연구

  • 권호사항

    Vol.29 No.4 [2012]                                                           

  • 발행처

    한국재산법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19-140(22쪽)

  • 언어

    -

  • 발행년도

    2012년

  • KDC

    365

초록 (Abstract)

  • 임상시험과정상 시험자인 의사의 설명의무의 범위와 이러한 강화된 설명의무를 부과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시험자인 의사의 설명...
  • 임상시험과정상 시험자인 의사의 설명의무의 범위와 이러한 강화된 설명의무를 부과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시험자인 의사의 설명의 정도에 관해서는, 임상시험의 특성상 통상적인 의료행위에서 의사에게 부과되는 의무보다는 크지 않다고 하더라도 적어도 동등한 것이어야 한다. 그리고 시험자인 의사나 피험자인 환자사이에는 신뢰관계를 기초로 하고 있으므로 일반적인 의료행위에서 인정되는 설명의무의 예외는 임상시험의 경우에는 그대로 인정될 수 없고, 연구자는 피험자에게 합리적인 사람이라면 동의를 함에 있어 고려할 모든 사실, 가능성 및 의견에 대하여 완전하고 솔직하게 설명해야 한다. 다음으로, 강화된 설명의무를 부과할 수 있는 법적 근거는 시험자인 의사와 피험자인 환자사이의 임상계약관계에서 논의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계약관계, 그것도 전형계약의 구조를 통한 위임'적'인 계약관계라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시험자와 피험자간의 계약관계 그 자체에서 시험자의 보다 강화된 설명의무를 도출할 수 있고, 이러한 이론적 근거는 '신인의무'와 '충실의무'이며 이러한 의무는 일본민법의 입법취지에서 보면 선관주의의무와 함께 민법 제681조에서 도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임상계약 자체에서 이러한 '신인의무'와 '충실의무'를 도출할 수 있고, 설명의무도 이러한 의무에 근거한 임상계약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이러한 의무의 구체적 내용이 피험자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한 시험자(의사)의 의무가 되는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지]
  • Ⅰ. 서론
  • Ⅱ. 말기암 환자에 대한 설명의 범위가 문제된 일본의 판례 및 검토
  • Ⅲ. 임상시험상의 시험자와 피험자의 관계
  • Ⅳ. 결론
  •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15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의 혈액모세포 및 기능성 혈관세포 분화 방법과 특성 연구/ 길창현 2016  358
214 18 인체실험 미국, 유럽, 일본과 우리나라의 소아 임상시험 제도 및 현황 비교 분석 / 박선영 2017  358
213 18 인체실험 미국 FDA의 의약품 위해평가 완화전략 구성 요소 분석 / 양관재 2012  353
212 18 인체실험 구강편평상피 암세포와 이종종양 모델에서의 화학요법과 배아줄기세포 유래 조혈모세포, 혈관내피세포의 단백체 분석 및 기능 연구 / 이라함 2016  347
211 18 인체실험 치과 임상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줄기세포 연구의 동향 / 전민수 2011  345
210 18 인체실험 터스키기 실험 사건의 역사적 기원/박진빈 2017  345
209 18 인체실험 제네바선언과 현대생명윤리 / 이상원 2015  344
208 18 인체실험 헬싱키 선언의 개정내용에 대한 연구 / 박미선 2017  344
207 18 인체실험 연구윤리와 IRB / 방은령 2013  339
20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심사위원회의 임무와 운영 / 김용진 2013  338
205 18 인체실험 임상연구 : 국내 마취과학 임상연구의 임상윤리위원회 심의여부와 동의서의 실태조사 / 고원욱 외 2007  337
204 18 인체실험 인간대상 연구윤리와 IRB / 안영미 2014  335
203 18 인체실험 무작위 임상시험에서 "등가상태"의 개념과 그 의의 / 홍세훈 2013  334
202 18 인체실험 이주민과 난민문제의 안보적 대응에 관한 고찰 / 이만종 2018  333
20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심사위원회와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개선방향에 관한 고찰 / 백수진, 권복규 2007  331
200 18 인체실험 적응적 임상시험에 대한 고찰과 한국에서의 적응적 임상시험 적용과 발전을 위한 제안 / 양송이 2016  330
199 18 인체실험 과학기술 연구기록 신뢰성보장을 위한 기록관리 방안 : - 우수연구실운영규정(GLP)을 중심으로 - / 염경은 2007  329
198 18 인체실험 첨단의료보조생식에 근거한 민법 제844조 친생자 추정에 관한 고찰 / 유지홍 2015  328
197 18 인체실험 연재11. 인간 대상 연구에서의 윤리 / 안영미 2014  325
196 18 인체실험 1상 임상시험 관리 매뉴얼 개발 / 김선영 2018  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