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世界憲法硏究(World constitutional Law Revie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88126 
시판 후 임상시험에 대한 의료법 제23조의2 부당한 경제적 이익 등의 취득 금지와 명확성의 원칙
= The prohibition of an illegal profit of the current medical law clause 23-2 and the principle of definiteness concerning the post approval studies

                                 

  • 저자명

    김형선, 김경제, 권경희                                               

  • 학술지명

    世界憲法硏究(World constitutional Law Review)                              

  • 권호사항

    Vol.19 No.2 [2013]                                                          

  • 발행처

    국제헌법학회 한국학회(Korean Branch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stitutional Law)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1-53(23쪽)

  • 언어

    -

  • 발행년도

    2013년

  • KDC

    362

  • 등재정보

    KCI등재

초록 (Abstract)

  • 의약품 시판 후 임상시험은 의약품의 품목 허가 이전에 알 수 없었던 의약품의 새로운 효능 및 안전성에 대한 정보를 알게 해주는 중요한 방법이다. 그러나, 시판 후 임상시험은 의약품 리베...
  • 의약품 시판 후 임상시험은 의약품의 품목 허가 이전에 알 수 없었던 의약품의 새로운 효능 및 안전성에 대한 정보를 알게 해주는 중요한 방법이다. 그러나, 시판 후 임상시험은 의약품 리베이트의 수단으로 일부 제약회사의 마케팅 부서에서 악용되고 있으며, 실제로 그 목적 여부를 두고 많은 논란이 있어왔다. 또한, 여러 법원의 판결 및 공정거래위원회 의결에서 시판 후 임상시험이 리베이트의 수단인지 의학적 목적인지에 대해 상반된 견해를 보여 주고 있다. 이는 리베이트 쌍벌제에서 시판 후 임상시험에 대한 기준이 죄형법정주의 원칙인 명확성의 원칙에 위배되기 때문이다. 헌법의 죄형법정주의의 명확성의 원칙은 입법자의 입법의지 뿐만 아니라 입법자가 다루려고 하는 행위가 그 조항을 통해 다른 행위들과 구별될 수 있도록 명확하게 기술되어 있어야 한다. 의약품 연구 특히 시판 후 임상시험이 리베이트로 오인 되지 않고 제약회사에서 실시되기 위해서는 불완전하고 명확하지 않은 현행법규가 정비되어야 하고, 시판 후 임상시험에 대하여 현실을 반영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또는 관리방법의 제시가 필요하다. 또한, 제약회사에서 시판 후 임상시험을 진행하는 적절한 인력에 대한 고용과 교육을 비롯하여 시판 후 임상시험을 실시하는 시험자의 적절한 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통한 인식의 변화가 되어야 시판된 의약품의 올바른 활용을 하고 안전성을 적절히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기
  • Ⅱ. 시판 후 의약품 임상시험의 리베이트 판결 사례
  • Ⅲ. 현행 법규 및 규정의 문제점
  • Ⅳ. 시판 후 의약품 연구 보호를 위한 개선 방향
  • Ⅴ. 마무리
  •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55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의 법적 지위에 대한 인격적 측면에서의 고찰 -인격성의 본체로서 DNA의 성격을 중심으로- / 유지홍 2015  237
154 18 인체실험 담론 분석을 통한 국내 일간지의 '황우석 사태' 보도에 관한 연구 : 조선일보와 한겨레를 중심으로 / 이경미 2006  236
153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치료제 역사와 발전 / 김현수 2014  235
152 18 인체실험 국내 및 해외의 임상시험 데이터모니터링위원회 지침의 현황 / 이보람, 이경은 2016  233
151 18 인체실험 한국과 일본의 임상시험 현황과 임상연구자 인식의 비교 연구 / 홍정화 2009  230
150 18 인체실험 IRB 상호인정제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 정혜림 2011  229
149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 있어 피험자 동의와 윤리적인 문제 / 문한림 1995  228
148 18 인체실험 공동 임상시험심사위원회의 기반 조성 및 운영 방안 / 오정민 2009  227
» 18 인체실험 시판 후 임상시험에 대한 의료법 제23조의2 부당한 경제적 이익 등의 취득 금지와 명확성의 원칙 / 김형선 2013  227
146 18 인체실험 사람의 골수와 제대정맥에서 유래된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TREK1 통로의 기능적 발현 / 박경선 외 2015  225
145 18 인체실험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과 초기배의 발육 시 대난포로부터 유래한ㅊ 난포액의 효과 / 박지은 2017  225
144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한국교회의 입장 연구 / 김승호 2016  224
14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연구윤리에 대한 임상연구자들의 인식 및 태도 조사 / 손순영 2011  223
142 18 인체실험 소아 참여 임상시험에서 부모의 임상시험의 이해도와 설명만족도/안주희 외 2016  222
141 18 인체실험 Improved Transfection Efficiency and Metabolic Activity in Human Embryonic Stem Cell Using Non-Enzymatic Method / 황인규 2016  222
140 18 인체실험 제약회사와 CRO의 CRA가 인식하는 조직문화가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비교 / 박인영 2017  222
139 18 인체실험 임상윤리와 결의론에 관한 연구 / 이일학 2010  221
138 18 인체실험 황우석 연구에 대한 IRB의 윤리적 감독의 부적절성 / 구영모 2007  219
137 18 인체실험 연세대학교의 IRB 진행현황과 연구자들에 대한 제언 / 송현주 2016  218
136 18 인체실험 Gamete Donor Consent and Human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2015  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