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4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243215 
치의학 분야의 줄기세포 연구와 임상적 동향 = Stem cell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

                                            

  • 저자

    김현옥                                       

  • 형태사항

    91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원재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 치의학과 2017. 2

  • DDC

    617.6

  • 발행국

    광주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초록 (Abstract)
    •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 지난 수십년 사이에 임플란트가 치의학 영역에서 새로운 분야로 급부상 하면서, 치조골의 재형성의 수요가 증가하였다. 또한 구강악안면외과 영역에서는 암 또는 사...
    •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 지난 수십년 사이에 임플란트가 치의학 영역에서 새로운 분야로 급부상 하면서, 치조골의 재형성의 수요가 증가하였다. 또한 구강악안면외과 영역에서는 암 또는 사고로 인한 수술 후 재건의 목적으로 본래의 안모를 회복하기 위해 연조직과 골조직의 회복을 연구하였다. 그와 동시에 의학 분야에서는 줄기세포 연구가 화두가 되었고, 관련 연구 결과가 나올 때마다 학계 안팎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치의학 분야에서 줄기세포 연구는 어디까지 진행되었고, 어느 정도 응용 가능성이 있으며 나아갈 방향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줄기세포의 초기 논문부터 최신 논문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검색하여 그간의 과정과 현재 연구 수준과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현재 임상에서 이용되고 있는 재생 치료에 대해 알아보고, 줄기세포의 필요성과 적합한 줄기세포의 특징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관련된 전임상 연구와 최근 주목받고 있는 면역 조절 요법에 대하여 알아보겠다. 결론 : 현재 치의학에서의 줄기세포 연구는 조직 공학에 기초한 방법과 체어사이드에서 시행 가능한 세포성분을 포함한 조직의 이식 방법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두 연구 모두에서 아직 생물학적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고, 밝혀져야 할 부분이 많이 남아있다. 기존의 재생 치료방법인 차단막과 지지체를 이용한 치료법으로는 낮아진 치조골의 높이를 증대시킬 수는 없다는 한계점이 있고, 따라서 임플란트와 총의치의 적용에 제한점이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데에는 줄기세포와 지지체, 그리고 성장/영양 인자를 조합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현재 주목받고 있는 임플란트 주위염의 치료에서도 줄기세포를 이용한 면역억제와 함께 지지체에 적용된 세포성분의 역할로 이를 극복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줄기세포 연구의 가장 중요한 점으로는 첫째, 획득한 조직으로부터 목적 줄기세포주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분리할 것인가. 둘째, 분리한 줄기세포를 어떻게 효과적, 효율적으로 분화능을 잃지 않은 상태로 증폭 시킬 것인가. 셋째, 증폭시킨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인체에 매식하는 방법으로 어떤 지지체와 차단막, 성장인자를 이용할 것인가 등이 있다. 최근에는 이와 별개로 줄기세포의 면역 조절의 특성이 부각되고 있고, 이를 전신질환 환자에 적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지속적으로 발표되는 연구결과들과 임상 시험 결과들로 볼 때, 줄기세포의 인체 내 역할의 패러다임이 바뀌어 가고 있다. 기존에는 인체 내에서 줄기세포가 직접 역할을 하여 조직과 기관을 형성할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인체 내에서 줄기세포는 면역조절의 역할이 크고, 장기간 생존하여 직접 그 역할을 수행하는 세포의 비율은 낮은 것으로 보여진다. 해당 매식 부위에서 여러가지 성장/영양 인자를 분비하여 주화성을 발현하여 주변의 줄기세포주를 끌어 모아 재생의 동력이 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과거 전통적인 방식의 치과 치료 이후에 임플란트의 도입이 큰 변화의 한 축을 이루었다면, 다음 새로운 변화는 줄기세포를 이용한 연구 결과로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고, 이는 치조골과 치은 조직이 특히 중요한 임플란트학, 치주과학, 보철과학, 노인치과학, 심미치과학의 분야에서 큰 변화를 이끌어 낼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1
    • Ⅰ.서론 3
    • Ⅱ.본론 5
    • 1. 치의학에서 재생 치료의 발전 5
    • 2. 재생 치료에서 줄기세포 연구의 필요성 11
    • 3. 재생 치료에 적합한 줄기세포의 특성 13
    • 4. 줄기세포의 근원 16
    • 4.1. 성체줄기세포 16
    • 4.2. 만능 줄기세포: Pluripotent stem cell 26
    • 5. 줄기세포 기반 치료의 현재 29
    • 6. 줄기세포 기반 재생 치료에 영향을 주는 요인 34
    • 7. 구강 조직/기관 재생에 관한 전임상 연구 38
    • 8. MSCs를 이용한 세포 기반 면역 요법 40
    • 9. 치성 줄기세포 은행 43
    • Ⅲ. 결론 45
    • 참고문헌 47
    • Abstract 8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54 18 인체실험 생쥐 유도만능 줄기세포에서 재조합 단백질 Cre를 이용한 유전자 조작 / 정은정 2011  363
    253 18 인체실험 전이 유전자의 삽입을 배제한 돼지 유도 만능 줄기세포의 수립 / 최유정 2012  154
    » 18 인체실험 치의학 분야의 줄기세포 연구와 임상적 동향 / 김현옥 2017  1037
    251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자가증식에 있어서 성장인자의 작용기전 / 허정선 2007  241
    250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와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의 간세포분화능의 비교 / 김한준 2013  201
    249 18 인체실험 사람 유도 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이식 가능한 도파민 신경세포의 효율적 분화 / 이용희 2009  240
    248 18 인체실험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과 초기배의 발육 시 대난포로부터 유래한ㅊ 난포액의 효과 / 박지은 2017  225
    247 18 인체실험 마취와 관련된 임상시험에의 참여 요구 시 수술이 예정된 환자가 받는 심리적 부담이 환자의 기질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 김상덕 2012  130
    246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관리약사의 업무현황과 발전방향 / 정승숙 2003  512
    245 18 인체실험 암 임상시험 실무지침서 내용개발 / 신용민 2017  112
    244 18 인체실험 항암제의 국내 임상시험 소요기간 및 허가동향에 대한 연구 / 이예린 2017  2478
    243 18 인체실험 복부비만 관련 임상시험의 국내외 연구동향 고찰 / 임제연 2010  256
    242 18 인체실험 적응적 임상시험에 대한 고찰과 한국에서의 적응적 임상시험 적용과 발전을 위한 제안 / 양송이 2016  330
    241 18 인체실험 생물의약품 임상시험에 사용되는 통계학적 고려사항 / 남주선 2014  306
    240 18 인체실험 노인환자에서의 의약품임상시험 지침 / 이순실 2006  160
    239 18 인체실험 초기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건강한 피험자의 사례비 평가: 연구자 관점과 피험자 관점 / 조지은 2012  376
    238 18 인체실험 의약품 임상시험에 있어서 노인 피험자 현황 / 박소윤 2012  143
    23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신고제 도입을 위한 관리제도 개선방안 / 김원희 2009  122
    236 18 인체실험 일개 병원에서 의약품 임상시험의 소아 피험자 현황 / 천수정 2012  81
    23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 대한 치위생사의 인식도와 관련요인 / 장나희 2013  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