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4
발행년 : 201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322852 

생쥐 유도만능 줄기세포에서 재조합 단백질 Cre를 이용한 유전자 조작

= Gene Manipulation in Mous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by Cre recombinant protein

                                        

  • 저자

    정은정                                       

  • 형태사항

    56p ; 26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추영국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 생물학과 2011. 2

  • 발행국

    전라북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1

  • 초록 (Abstract)
    • 2006년 Shinya Yamanaka 교수는 4가지 전사인자 Oct4, Sox2, c-Myc, Klf4를 레트로바이러스(retrovirus)를 통해 감염시켜 설치류 체세포를 역분화 (reprogramming) 하여 배아줄기세포 (Embryonic Stem Cells) 와 유사한 ...
    • 2006년 Shinya Yamanaka 교수는 4가지 전사인자 Oct4, Sox2, c-Myc, Klf4를 레트로바이러스(retrovirus)를 통해 감염시켜 설치류 체세포를 역분화 (reprogramming) 하여 배아줄기세포 (Embryonic Stem Cells) 와 유사한 세포를 생성하고 뒤이어 2007년 렌티바이러스(lentivirus)를 이용한 유전자 조작을 통해 사람의 피부 세포를 이용하여서도 배아줄기세포와 유사한 세포를 생성하게 된다. 이 세포가 바로 유도만능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 cells)로 배아줄기세포의 윤리적인 문제와 성체줄기세포(Adult Stem Cells)의 낮은 분화능력을 해결 할 수 있는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다.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생성하는 방법에는 바이러스를 이용한 방법 외에도 단일 플라스미드 벡터(single plasmid vector), 소분자 물질(small molecule), 재조합단백질(recombinant protein) 등이 있으나 세포 생성률이 바이러스를 이용한 방법보다 낮다는 단점을 가진다.
      하지만, 바이러스를 이용해 유도하는 방법은 체세포 안으로 들어간 역분화 인자(reprogramming factors)의 융합과 재활성으로 인해 암이 발생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시적인 역분화 유도나 역분화 진행이 끝난 후 역분화 인자를 제거하는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2009년 Kaji et.al 는 Cre-loxP 시스템을 이용하여 역분화된 세포에서 역분화 인자들을 Nucleofection을 통해 제거하고 그 세포가 계속적으로 다분화능을 유지한다고 발표하였다.
      이들이 사용한 세포는 loxP 부분 사이에 역분화 인자와 mOrange를 가지고 있어 주황색을 나타내지만, loxP를 인지한 Cre에 의해 제거가 되면 주황색을 나타내지 않게 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Nulcleofection을 통해 Cre를 주입하여 주황색을 띄지 않는 세포를 확인하여 역분화 인자가 제거 된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Kaji et.al이 사용한 방법은 세포에 손상을 입힐 것이라 생각되어 우리는 다른 Cre 재조합 단백질(recombinant protein)을 처리하여 역분화 인자를 제거하였다.
      우선 생쥐 유도만능 줄기 세포를 배양하고 계대 배양 할 때 8ug/ml의 Cre 재조합 단백질을 처리 하였다. 약 10일~11일 후 주황색을 띄지 않는 배아줄기세포와 닮은 세포를 확인하여 단백질을 이용한 방법으로도 역분화 인자가 제거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방법은 지금까지 소개된 다른 방법보다 간단하고 안정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Cre 재조합 단백질을 이용한 Cre-loxP 시스템이 체세포에서도 적용 가능하다면 우리는 항생물질내성(Antibiotic resistance)을 가지지 않은 세포 주를 통해 이종장기이식(xenotransplataion)이나 바이오리액터(bioreactor)에 사용되는 동물 생산하고 적용할 때 안전성이 한층 더 강화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Key word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Cre-loxP system

  • 목차 (Table of Contents)
    • I. Introduction 3
    • II. Materials and Methods 6
    • II-1. Cre 11R in pET-52b Plasmids construction 6
    • II-2. Construction of pGAL10-His6.ek.Cre 11R (6H.ek.Cre11R) expression vector 6
    • II-3. The Media and culture conditions are used for yeast transformation 7
    • II-4. The Yeast Strains and transformation of pGAL-His6.ek.Cre11R 7
    • II-5. Purification of recombinant Cre protein 8
    • II-6. SDS-PAGE analysis of Cre protein 9
    • II-7. Mous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miPSCs) culture and Reprogramming cassette excision of miPSCs 10
    • II-8.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ing (FACS) analysis of reprogramming cassette excision of miPSCs 11
    • III. Results 12
    • III-1. Product of Cre 11R in Protein expression vector pET-52b (Cre11R-52b) 12
    • III-2. Construction for Pufication of Cre 11R Recombinant Protein from yeast 17
    • III-3. Comparison of Protein product from induced Cre recombinant protein from S.cerevisiae Y2805 ?gal1 and L3262 ?pmr1 20
    • III-4. Purification of assumed Cre recombinant Protein from L3262?pmr1 27
    • III-5. Culture of mous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miPSCs) 29
    • III-6. Excision of Reprogramming factors in miPSCs by Cre 11R recombinant protein 31
    • IV. Discussion 35
    • V. References 3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 18 인체실험 생쥐 유도만능 줄기세포에서 재조합 단백질 Cre를 이용한 유전자 조작 / 정은정 2011  364
    253 18 인체실험 전이 유전자의 삽입을 배제한 돼지 유도 만능 줄기세포의 수립 / 최유정 2012  154
    252 18 인체실험 치의학 분야의 줄기세포 연구와 임상적 동향 / 김현옥 2017  1037
    251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자가증식에 있어서 성장인자의 작용기전 / 허정선 2007  241
    250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와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의 간세포분화능의 비교 / 김한준 2013  201
    249 18 인체실험 사람 유도 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이식 가능한 도파민 신경세포의 효율적 분화 / 이용희 2009  240
    248 18 인체실험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과 초기배의 발육 시 대난포로부터 유래한ㅊ 난포액의 효과 / 박지은 2017  225
    247 18 인체실험 마취와 관련된 임상시험에의 참여 요구 시 수술이 예정된 환자가 받는 심리적 부담이 환자의 기질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 김상덕 2012  130
    246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관리약사의 업무현황과 발전방향 / 정승숙 2003  512
    245 18 인체실험 암 임상시험 실무지침서 내용개발 / 신용민 2017  112
    244 18 인체실험 항암제의 국내 임상시험 소요기간 및 허가동향에 대한 연구 / 이예린 2017  2478
    243 18 인체실험 복부비만 관련 임상시험의 국내외 연구동향 고찰 / 임제연 2010  256
    242 18 인체실험 적응적 임상시험에 대한 고찰과 한국에서의 적응적 임상시험 적용과 발전을 위한 제안 / 양송이 2016  330
    241 18 인체실험 생물의약품 임상시험에 사용되는 통계학적 고려사항 / 남주선 2014  306
    240 18 인체실험 노인환자에서의 의약품임상시험 지침 / 이순실 2006  160
    239 18 인체실험 초기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건강한 피험자의 사례비 평가: 연구자 관점과 피험자 관점 / 조지은 2012  376
    238 18 인체실험 의약품 임상시험에 있어서 노인 피험자 현황 / 박소윤 2012  143
    23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신고제 도입을 위한 관리제도 개선방안 / 김원희 2009  122
    236 18 인체실험 일개 병원에서 의약품 임상시험의 소아 피험자 현황 / 천수정 2012  81
    23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 대한 치위생사의 인식도와 관련요인 / 장나희 2013  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