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0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중앙대학교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666543 

담론 분석을 통한 국내 일간지의 '황우석 사태' 보도에 관한 연구 : 조선일보와 한겨레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ews about the 'candal of Dr. Hwang' in Discourse Analysis



 
저자 이경미 
형태사항 iv, 100 p. ; 26 cm
일반주기 참고문헌수록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신문방송전공 2006.8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06
소장기관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중앙도서관

 
초록
본 논문에서는 국내 일간지 중 조선일보와 한겨레를 통해 보도된 ‘황우석 사태’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살펴보고, 구성된 뉴스 담론이 어떻게 변화해가는지, 그리고 왜 이런 식의 보도가 이루어졌는지를 사회적인 맥락 속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앞으로의 언론의 과학기술 보도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 그 방향성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두 신문의 보도 특성은 사태를 보도하는 논조를 제외하고는 유사한 모습을 보였다. 한겨레가 사태 내내 중립적인 입장에서 보도해 나간 반면 조선일보의 경우 사태 초반 황우석에 대해 긍정적인 논조로 보도하다가 ‘논문조작’ 의혹이 제기된 후 급격히 황우석 비판 쪽으로 방향을 선회하였다. 이러한 두 신문의 차이는 1면 기사를 통해 더욱 확연히 드러났다. 한겨레가 비교적 가치 배제적인 기사를 보도한 것에 비해 조선일보는 자극적이고 편향적인 표현을 통해 현실을 특정한 방향으로 구성해가고자 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조선일보의 이러한 성격은 보도기사 뿐만 아니라 사설ㆍ칼럼 등의 의견 기사를 통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다양한 장르를 활용하여 ‘황우석 사태’와 관련된 이슈를 다양한 방식으로 재확인하였다. 이처럼 ‘황우석 사태’와 관련해 적극적으로 담론을 구성해 나간 것은 조선일보였다. 조선일보는 선진화를 위한 경제담론과 ‘황우석 사태’로 구성한 담론을 보도를 통해 자연스럽게 결합함으로써, 성과만 있으면 그 과정상의 조작과 진실의 왜곡은 문제되지 않는다는 담론을 구성해 나갔다. 이러한 조선일보의 보도는 선진화를 외치는 그들의 보도가 결코 선진적이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단면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과학기술 보도가 어떤 식으로 방향을 전개해야 하는지 제안하고자 한다. 우선 과학 전문기자의 육성과 더불어 전문가인 과학자나 기술자들이 직접 참여하는 연재나 기고 등의 보도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과학기술과 관련된 사진이나 그래픽 등의 사용은 독자의 이해를 돕는 동시에 기사의 신뢰도와 질적 수준 또한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앞으로의 과학기술 보도는 과학의 가치를 실질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전개되어야 하며, ‘황우석 사태’와 같이 사회적 논란의 핵심이 될 수 있는 부분에 있어서는 사회적 의제를 정확하게 제시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런 의제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과학적 사실들을 제공하도록 노력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제2절 선행연구의 고찰 4
제3절 연구문제 8
제4절 논문의 구성 10
제12장 이론적 배경 12
제1절 뉴스의 사회적 현실 구성에 관한 논의 12
제2절 뉴스보도와 담론 15
1. 사회적 실천으로서의 뉴스담론 15
2. 뉴스담론의 이데올로기성 17
3. 뉴스의 비판적 담론 분석 18
제3절 언론의 과학기술보도 20
1. 과학기술과 언론보도 20
2. 과학기술보도의 중요성 22
3. 국내 과학기술보도의 발달과정 24
4. 국내 과학기술보도의 경향과 문제점 27
제3장. 분석대상 및 방법 29
제1절. 분석대상 29
제2절. 분석방법 30
제4장 연구결과 37
제1절 ‘황우석 사태’ 보도의 특성 37
1. 형식상의 특성 38
2. 내용상의 특성 44
제2절 ‘황우석 사태’ 보도의 의미구조 52
1. 헤드라인 52
2. 1면 기사 56
제3절 장르의 활용을 통한 사건의 재확인 76
제4절 선진화 담론과 ‘황우석 사태’ 보도 83
제5장 결론 87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87
제2절 과학기술보도의 방향성 제언 90
제3절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92
참고문헌 93
국문초록 98
영문초록 10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75 18 인체실험 패널토론을 적용한 대학생의 생명윤리 의사결정에 나타난 의사결정 변화 양상과 내용 분석 / 문성채 2015  267
174 18 인체실험 북한이탈주민의 국내정착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정착지원요인과 삶의 질 요인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 백남설 2018  267
173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은행에서의 역동적 동의 / 박선영 2017  266
172 18 인체실험 급성기관지염의 약물중재 임상시험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유이란 외 2017  265
17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참여용 승낙서(assent form)에 대한 초등학생의 학년별 이해도 차이에 관한 연구 / 임수정 2014  261
170 18 인체실험 유도만능 줄기세포 제작 이점 및 한계 / 황석연 외 2014  261
169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치료제의 해외시술에 대한 형사적 책임성부 검토 / 류동훈 2015  260
168 18 인체실험 난임 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ACT 집단상담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 박하영 2018  258
167 18 인체실험 복부비만 관련 임상시험의 국내외 연구동향 고찰 / 임제연 2010  256
166 18 인체실험 충북대학교의 IRB 운영체제와 연구자 이용실태 및 제언 / 박상희 2016  253
16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 모집 개선 방안 연구 : 의뢰자 관점으로 / 양영환 2016  253
164 18 인체실험 KAIRB의 IRB 평가분석을 통한 국내 피험자보호제도(HRPP) 개선방향 / 최병인 2012  251
163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의 신경세포분화 연구 동향 / 홍성회 외 2013  247
162 18 인체실험 인간 유도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유래된 신경세포구를 이용한 망막전구세포의 분화 및 생존에 관한 연구 / 윤철민 2016  244
161 18 인체실험 미성년자에 대한 임상시험과 자기결정권/송영민 2015  243
16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단계의 의료행위에 대한 설명의무 위반과 손해배상의 범위 / 고은섭 2017  243
159 18 인체실험 연구윤리에서 다루어지는 위험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연구심의과정상의 위험 / 남수진 외 2015  242
158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자가증식에 있어서 성장인자의 작용기전 / 허정선 2007  241
157 18 인체실험 사람 유도 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이식 가능한 도파민 신경세포의 효율적 분화 / 이용희 2009  241
156 18 인체실험 침구임상시험 가이드라인 개발과정에서 IRB의 윤리적,과학적 지적사항 사례 조사 연구 / 임정태 외 2015  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