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1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고려대학교 대학원 : 과학기술학협동과정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062704 

과학 보도 실패에 대한 ANT 사례 분석



 
기타서명 ANT case analysis about failure of science reporting
저자 이충환
형태사항 vi, 202 p. : 삽화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승현, 임대순
              ANT = Actor-networdk theory (행위가네트워크이론)
             참고문헌: p. 188-200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 과학기술학협동과정 2013. 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3
소장기관 고려대학교 과학도서관,고려대학교 도서관,고려대학교 세종학술정보원


 
초록
황우석 논문 조작 사건에 대한 과학 보도를 다시 돌아보면, 왜 당시에는 정확히 보도하기 힘들었을까 라는 의문을 품게 된다. 과학 보도만큼 정확성이 요구되는 보도 장르도 드물지만 취재 대상이 전문화돼 있어 보도의 정확성을 지키기 어렵다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 논문에서는 과학 보도 실패 사례를 행위자네트워크이론(ANT)이라는 새로운 창으로 들여다보고자 한다. ANT 관점에서 과학 기사는 인간 및 비인간 행위자가 이종적 네트워크를 이룬 하나의 블랙박스로 볼 수 있다. 특히 과학 보도 실패에 관여하는 비인간 행위자(보도자료, 연구성과물, 논문 등)의 역할을 규명할 수 있다.
논문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눠져 있다. 하나는 과학 보도의 주요 행위자(인간 행위자)인 과학 기자의 현주소를 설문 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통해 밝혀낸 부분이고, 다른 하나는 과학 보도 실패 사례를 ANT로 구체적으로 분석한 부분이다.
먼저 3개 방송사, 8개 신문사에 소속된 총 19명의 과학 담당 기자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를 주로 분석했고, 여기에 6명의 과학 담당 기자(이 중 2명은 설문조사 응답자와 겹친다)에 대한 심층 인터뷰 결과를 덧붙였다.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과학 기자들은 언론사 내에서 마이너리티에 불과하지만, 설문 응답자의 68.4%가 “(과학 분야 보도를) 자원했을 뿐 아니라 앞으로 꾸준히 이 분야를 담당하고 싶다”고 밝힐 정도로 과학 분야에 대한 애정이 깊다. 또 과학 기자들은 과학 기사로 게재(또는 방송)되기까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사람을 데스크(21.1%)나 취재원 과학자(10.5%)보다 자신(63.2%)이라고 생각하지만, 선정적이거나 엉뚱한 제목, 과도한 초치기, 기사의 단순화 등을 지목하며 데스크에게 불만을 느끼는 한편, 설문 응답자의 94.7%가 “연구결과에 대한 보도자료가 나오면 그 연구를 진행한 취재원에게 추가로 물어본다”고 밝힐 정도로 과학자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ANT 분석은 2005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김현탁 박사팀의 연구성과에 대한 보도, 2011년 황우석 박사의 코요테 복제에 대한 보도를 대상으로 했다. ANT 분석 결과 김현탁 사례의 경우 ‘바나듐산화물(실험물질) → 논문 → 보도자료 → 과학기사’로 이어지는 일련의 매개의 치환이 일어나 인간 행위자(ETRI 홍보팀 직원과 김현탁 박사)의 예상을 벗어나는 대서특필이 나타났고, 황우석 사례의 경우 실험실의 확장 이전을 통해 힘을 키운 황 박사가 복제 코요테에 ‘멸종 위기’, ‘세계 최초 이종(異種) 간 복제’, ‘매머드 복제 도전’ 등의 잘못된 이미지를 덧입혔다가 실패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논문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많은 비인간 행위자가 실험실 안팎에서 과학자의 동맹군으로 동원되고, 따라서 과학 기자는 이들의 대변인인 과학자에 의존하기 쉽다. 둘째, 보도자료 같은 비인간 행위자들은 기자들을 과학자의 네트워크로 이끄는 매개자이자 ‘관심 끌기 장치’로 작동한다. 셋째, 과학 보도 실패 사례에서 비인간 행위자는 인간 행위자가 예상하지 못한 행위능력(소위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다.

 


목차
Ⅰ. 서론 1
1. 문제제기 1
2. 연구 문제 5
3. 논문의 구성 7
Ⅱ. 이론적 논의 9
1. 뉴스와 구성주의 9
1) 뉴스에 대한 구성주의적 견해 9
2) 사회적 구성주의와 과학지식사회학 11
2. 행위자네트워크이론(ANT) 15
1) ANT의 주요 개념 15
(1) 행위자(actor) 16
(2) 네트워크(network) 16
(3) 매개자(intermediary 또는 mediator) 17
(4) 번역(translation) 18
(5) 기입(inscription)과 묘사(description) 19
2) ANT 적용의 예 - 번역의 사회학의 몇 가지 요소들 20
(1) 문제 제기 21
① 행위자들의 상호 정의 21
② 의무통과점(OPP)의 정의 22
(2) 관심 끌기 22
(3) 등록하기 23
(4) 동맹군 동원하기 24
(5) 배반과 논쟁 26
3) 국지네트워크와 광역네트워크 27
(1) 칼롱과 로의 이중 네트워크 28
(2) 안형준의 이중 네트워크 28
4) 과학자의 실험실 30
(1) 1단계 행동: 다른 사람들의 이해관계를 포착하다 31
(2) 2단계 행동: 약한 곳에서 강한 곳으로 받침점을 이동하다 32
(3) 3단계 행동: 지렛대로 세상을 움직이다 33
3. ANT로 보는 과학 보도 35
1) 과학 보도의 행위자네트워크 35
2) 과학자와 기자의 힘겨루기 41
3) ANT 분석의 장점 44
4. 과학 보도 실패 48
1) 보도의 객관성, 그리고 진실성에 반하는 죄 48
2) 사실성의 망 vs 실험실의 힘 50
5. 선행 연구의 고찰 54
1) 국내 과학 보도의 분석 문헌 고찰 54
2) ANT와 관련된 미디어 연구 고찰 63
Ⅲ. 연구 방법 69
1. 과학 기자에 대한 설문 조사 및 심층 인터뷰 69
2. 과학 보도 실패 사례에 대한 ANT 분석 74
Ⅳ. 과학 기자를 둘러싼 사회적 상황과 그 역할 76
1. 국내 언론의 과학 담당 부서 현황 77
2. 과학 기자에게 필요한 것 83
1) 언론계 근무 연수 및 과학 담당 연수 83
2) 과학 분야 전공의 도움 여부 85
3) 과학 기자의 어려움과 필요한 소양 87
4) 과학 전문 기자 88
3. 과학 기사 작성 과정 91
1) 과학 보도의 어려움 91
2) 과학 기사에서 중요한 것 93
3) 기자와 데스크(편집자)의 밀고 당기기 95
4. 취재 과정 99
1) 기사 아이템 99
2) 과학 저널과 엠바고 100
3) 보도자료의 주목성 103
5. 취재원 과학자와의 관계 106
1) 기자의 의존도 107
2) 과학자에 대한 불만과 의심 109
3) 기사에 어필하는 과학계 111
6. 소결 - 과학 기자의 현주소 114
Ⅴ. 과학 보도 실패 사례를 통해본 비인간 행위자의 역할 116
1. 보도자료의 힘 118
1) 국지네트워크 분석 - 김현탁의 실험실 119
(1) 문제 제기 119
① 행위자들의 상호 정의 121
② 의무통과점(OPP)의 정의 122
(2) 관심 끌기 123
(3) 등록하기 125
(4) 동맹군 동원하기 127
2) 매개자 보도자료 형성 128
3) 광역네트워크 분석 - 대서특필의 과정 137
(1) 문제 제기 137
(2) 관심 끌기 139
(3) 등록하기 141
(4) 동맹군 동원하기 141
(5) 보도자료의 자율성 143
4) 반역의 네트워크 144
5) 실험실로 돌아가다 151
2. 복제 코요테 쇼 155
1) 배경 - ‘복제 동물의 대변인’ 황우석의 이동 156
2) 문제 제기 161
3) 관심 끌기 - 연구성과물에 덧입혀진 이미지 163
4) 등록하기 166
5) 동맹군 동원하기 - 황우석 받아쓰기 168
6) 반역 - 무너지는 네트워크 172
3. 소결 - 과학 보도 실패 사례를 둘러싼 행위자네트워크 179
Ⅵ. 결론 182
참고문헌 188
Abstract 201


주제어
행위자네트워크이론(ANT), 과학 저널리즘, 과학 보도 실패, 과학 기자, 보도자료, 설문조사, 사례분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75 18 인체실험 웹기반의 실시간 e-IRB시스템 설계 및 구현 / 김동욱 2013  618
274 18 인체실험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의학연구 실험에 관하여 / 김장한 2012  609
» 18 인체실험 과학 보도 실패에 대한 ANT 사례 분석 / 이충환 2013  596
272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의 지역간 불균형 현황 및 발전 방안 모색 / 최지혜 외 2015  592
271 18 인체실험 임상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의료윤리의 실제/임명호 2015  579
27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 보상에 관한 윤리 / 허정윤 2015  576
269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에 대한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과 임상연구코디네이터(CRC)의 인식비교/김선희 2015  570
26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취약한 피험자의 권리 / 김민우 2013  547
267 18 인체실험 재생의학 기술 개발을 위한 세포접착 제어를 통한 중간엽 줄기세포의 기능 조절 연구 / 강정미 2016  547
266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 김지연 2003  539
265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와 중개연구에 있어서 연구대상자보호의 규제에 관한 고찰 / 박수헌 2014  534
26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동의과정에서 피험자 보호 방안 / 이연진 2013  532
263 18 인체실험 생명윤리원칙에 근거한 인간대상연구의 개인정보보호방안 모색 / 백소영 2016  527
262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에 관한 법적 규제 / 전자영 2010  518
261 18 인체실험 영국, 미국, 한국의 줄기세포연구에 관한 정책변동 비교 분석 :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모형의 적용 / 배그린, 강민아 2013  517
260 18 인체실험 인간연구대상자 보호 프로그램(HRPP) / 권복규 2015  512
259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관리약사의 업무현황과 발전방향 / 정승숙 2003  512
258 18 인체실험 인체실험에 대한 연구윤리 / 임우열 2007  511
257 18 인체실험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가치관에 대한 조사 연구 / 윤길자 1992  506
256 18 인체실험 한국 체류 난민의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난민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손주희 2018  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