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동아대학교 대학원 : 생명의료윤리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842834 

공동IRB의 유형분석과 한국에서의 적용 방안 연구 = Analysis and Suggestion for Operating the Joint Institutional Review Boards in Korea


  • 저자 : 김대건
  • 형태사항 : 29 p.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이상목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대학원 : 생명의료윤리학과 2015. 8
  • 발행국 : 부산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5
  • 주제어 : 공동IRB, 다기관 공동연구, IRB 상호인정제, Western IRB


초록 (Abstract)

KGCP(임상시험관리기준)의 개정, IND제도의 도입, 임상시험 수의 급격한 증가, 다기관 임상시험의 일반화 등 국내 임상시험의 발전 속에 IRB의 역할과 범위도 함께 성장해왔다. 또한, 2013년 전부 개정된‘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시행은 인간대상연구 범위의 확대와 더불어 의약품 임상시험의 심의를 주 업무로 하였던 IRB의 업무범위를 인간대상연구 전반에 걸치도록 광범위하게 확대시켰다.
임상시험 수행 건수의 증가 및 다기관 임상시험의 증가에 따라 국내에서는 같은 연구 프로토콜을 심의하는 각 기관 IRB의 중복심사를 개선하고 연구 수행 시간 지연과 이에 따른 불필요한 자원 및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공동 IRB 운영의 활성화에 대한 노력을 기울었으며, ‘공동 IRB’와 ‘위탁심의’가 KGCP에 포함되었다.
법적인 제도가 마련됨에 따라 해외의 공동IRB 사례 분석을 통한 국내 공동 IRB 도입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국내에 적합하다 판단되었던 공동 IRB의 형태는 예상하지 못했던 문제점들을 드러내게 되었고, 현재의 시스템으로는 안정적인 운영이 불가할 것이며 자립하여 지속가능하지 못할 것이라는 의문점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동 IRB의 유형을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한국에 적합한 공동 IRB로서 IRB 상호인정제나 영리기관 IRB를 제안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Ⅱ. 공동 IRB의 도입 및 개념 4

    1. 공동 IRB의 도입 4

    2. 공동 IRB의 개념 6


  • Ⅲ. 공동 IRB의 유형 8
  • 1. 국가 주도 형태의 공동 IRB 8

    2. 상호인정제 형태의 공동 IRB 9

    2. 사설기관형태(영리법인형태)의 공동 IRB 14


    Ⅳ. 한국에 적합한 공동 IRB의 방향 18

    1. 식약처의 공동 IRB 형태 18

    2. IRB 상호인정제 모델 20

    3. 영리기관 IRB 모델 21

    4. 독립적 공동 IRB 모색 24


    Ⅴ. 결 론 26

    참고문헌 29

    Abstract 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35 18 인체실험 IRB 전문인력양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 수요자 요구 분석 / 김난희 2015  413
    23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 있어 전자동의(Electronic Informed Consent) 획득: 미국 지침에 따른 고려사항을 중심으로/김은애 2015  408
    233 18 인체실험 기관별 심의위원회 체계에 대한 도전과 선진 각국의 대응 / 최은경 2012  401
    232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유래 세포치료제의 개발 전략 및 임상화 과정 / 조명수 외 2012  393
    231 18 인체실험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와 연구윤리 / 김종빈 2014  390
    23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확보해야 하는 동의의 수준에 따른 동의 획득 절차의 구분 / 배현아 2011  390
    229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 배양에서 마이코플라즈마 오염 시 제거를 위한 연구 / 윤보애 외 2014  390
    228 18 인체실험 웹 기반의 E-IRB를 활용한 IRB 행정업무 지원시스템 프레임워크 제시 / 황성진, 김한웅, 박범 2013  389
    227 18 인체실험 신약개발과 임상시험에 대한 미국 식품의약품청의 규제 법령에 관한 고찰 / 박수헌 2010  389
    226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에서 HRPP운영 도입의 한계점과 개선방향 / 이종림 2015  385
    225 18 인체실험 최근 일본의 줄기세포·재생의료에 관한 정책 및 입법 동향/이민규, 류화신 2015  376
    224 18 인체실험 초기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건강한 피험자의 사례비 평가: 연구자 관점과 피험자 관점 / 조지은 2012  376
    22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심의위원회(IRB)의 기능과 법적 책임 / 김기영 2012  375
    222 18 인체실험 말기 암 환자에 대한 임상시험과 피험자의 자기결정권의 본질 / 송영민 2014  370
    22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심사위원회에 대한 IRB 위원과 임상연구자의 인식도 조사 / 김지선 2006  369
    220 18 인체실험 생쥐 유도만능 줄기세포에서 재조합 단백질 Cre를 이용한 유전자 조작 / 정은정 2011  364
    219 18 인체실험 미분화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동정을 위한 특성분석 방법 / 태지윤 외 2013  362
    » 18 인체실험 공동IRB의 유형분석과 한국에서의 적용 방안 연구 / 김대건 2015  360
    217 18 인체실험 들뢰즈와 배아줄기세포 / 이득재 2010  360
    216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수행현황 분석 :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 정항균 2017  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