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0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국제보건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503832 

임상시험심사위원회에 대한 IRB 위원과 임상연구자의 인식도 조사 = (An) investigation into the IRB members' and investigators' perceptions of Institutional Review Boards


  • 저자 : 김지선
  • 형태사항 : vii, 71장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오희철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국제보건학과 2006.8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06
  • 주제어 : 임상시험심사위원회, 임상시험, 인식도, Institutional Review Board, clinical trials, perception



초록 (Abstract)

2005년 황우석 박사 사건을 계기로 국내 보건의료계 및 생명윤리학계는 임상연구 윤리문제와 심사제도의 제고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임상시험은 사람의 생명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연구의 윤리적인 배려가 우선이고 과학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임상시험심사위원회 (Institutional Review Board)에 대한 인식 조사가 필요하게 되었다.이 연구는 국내 IRB 위원과 임상연구자의 임상시험심사위원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임상시험심사위원회 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연구대상은 임상시험실시기관 13개 병원에 근무하는 임상연구자들과 임상시험심사위원회에서 현재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위원들 중 설문조사에 참여한 16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차 자료 수집은 2006년 4월 20일부터 4월 27일까지, 2차 자료 수집은 2006년 5월 1일부터 5월 10일까지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SAS 8.1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고, 모든 문항에 대해 빈도와 백분율, 상관관계를 구하였으며, 특정변수를 이용하여 인식 수준을 측정한 후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연구목적에 맞는 변수는 카이제곱 검정을 시행하였다.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연구 대상자는 남자 84명, 여자 84명으로 이들의 연령은 30-39세가 43.4%로 가장 많았으며, 직업은 의사가 58.9%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61.3%가 임상시험 경험이 있었고, 28.0%가 2년 이내의 임상시험 경력을 가졌다. 현재 임상시험심사위원회 관련 직위로는 기관 내 임상연구자가 대상자의 31.0%로 가장 많았고, 기관 내 전문가위원은 14.9%였다.둘째, 임상시험심사위원회 교육에 대해서는 대상자의 60.1%가 기관 내 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고 응답했고, 63.1%가 기관 외 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고 답했으며, 46.7%가 기관 내 또는 기관 외 교육을 모두 받은 적이 없다고 답했다. 기관 외 교육을 받은 연구자 중 대한임상심의기구협의회 주관의 교육을 받은 경우는 31.0%로 나타났다.셋째, 임상시험심사위원회에 대한 인식도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심사위원회의 법적, 윤리적 의무에 관한 문항과 역할과 기능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된 총 15개 평가 문항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총점 20점으로 변환 측정하여 18점 이상을 인식이 높다고 평가했을 때, 인식 수준은 최저 1점부터 최고 19점까지였고, 대상자의 78.0%는 인식이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넷째, 임상시험심사위원회에 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현재 심사위원회 관련 직위(p=0.0003), 교육 경험(p<0.001), 교육 경험 회수(p=0.0006)등이었다. 임상시험 경험 및 경력과 연구책임자 경험은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다섯째, 임상시험심사위원회 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전체 대상자의 96.5%가 ‘반드시 필요하다’ 또는 ‘필요하다’고 응답했고, 향후 교육에 관해 88.7%가 참여 의사를 밝혔다.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국내 임상시험 실시 증가와 더불어, 임상시험관리기준 및 임상시험심사에 관한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의 필요성 및 그 효과가 기대되므로, 심사위원뿐 아니라 임상연구자 전체를 대상으로 세분화된 교육을 실시하여 국내 임상시험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임상시험심사위원회 교육제도의 개선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임상시험 심사의 인증 제도의 도입이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국내 임상시험뿐 아니라 다국적 임상시험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정부가 지정하는 임상시험 실시기관과 지역임상시험센터 외에도 임상시험전문수탁기관(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CRO)이 증가함에 따라, 표준화된 임상시험 심사를 위한 인증제도의 마련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75 18 인체실험 미국과 영국의 줄기세포은행 시스템 비교 / 윤보애 외 2013  128
74 18 인체실험 모바일 기술을 이용한 임상시험 대상자 관리 연구 개발 동향 보고서 / 박선경 2017  128
73 18 인체실험 한국 다문화 정책의 입법현황 / 민태은 2017  127
7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모니터요원의 임상시험관련 연구윤리 인식도 평가 및 인식도가 업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송윤선 2016  125
71 18 인체실험 전문가들의 미래기술 예측은 왜 빗나가는가? / 박보야나 외 2015  123
70 18 인체실험 미성년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한 동의 요건 고찰 : 한국과 미국의 법적규제 중심으로 / 이예리 2014  123
69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신고제 도입을 위한 관리제도 개선방안 / 김원희 2009  122
68 18 인체실험 임상윤리상담과 병원윤리위원회 / 최경석 2017  121
67 18 인체실험 빅데이터 기반 의료 임상 결과 분석 / 황승연 외 2019  120
66 18 인체실험 난소줄기세포에 관한 연구 동향 / 김윤영 외 2013  119
65 18 인체실험 웹 기반 임상시험의 윤리적 고찰: 재택기반 의약품 임상시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영옥 2017  119
6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가 지각한 임상연구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서비스 만족도 / 서미선, 박영임 2016  117
63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의 이용과 형사법적 규제 / 최민영 2018  117
6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피험자의 만족도와 영향요인 / 백승식 2010  116
61 18 인체실험 배아연구와 인간의 존엄과 가치 / 서종희 2011  114
60 18 인체실험 신문의 방송비평기사의 공정성에 관한 연구 : ‘황우석 사건’ 방송보도에 대한 일간지의 비평기사를 중심으로 / 나영지 2009  113
59 18 인체실험 초대받은 임상시험 / 송화선, 박범순 2018  113
58 18 인체실험 암 임상시험 실무지침서 내용개발 / 신용민 2017  112
57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치료제의 규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김현수 2016  110
56 18 인체실험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Non-coding RNAs의 기능 / 백진아 외 2015  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