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0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산업재산권 제44호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3505541 
영어 초록
  The researches on human embryonic stem cells(hESC) which are carried out by many developed countries in this area including the U.S., west european countries, Japan etc. are aiming for treatment of neural diseases such as Alzheimer"s disease, cancer. However, patent protection on hESC brings an issue on bioethics, in which the matter is from which stage of development after fertilization embryo is regarded as a human being, because it generally originates from destruction of human embryo if stem cells are derived from the embryo. The Directive 98/44/EC on legal protection of biotechnological invention as to including matters on biotechnological inventions in Europe does not have any definition on what is ‘human embryo’. Therefore, there have been many disputes on the correct meaning of what is embryo as well as what is use of human embryos for industrial or commercial purposes according to Rule 28 of Implementing Regulation to the EPC(European Patent Convention). In this regard, the Br¨ustle v. Greenpeace case of European Court of Justice in 2012 has an important meaning. This case shows what is embryo, which is broadly interpreted than ever. Following the purpose of this case, the UK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has revised the Practice Notices in 2012, and published the Examination Guidelines for Patent Applications relating to Biotechnological Inventions in 2013. In addition, German Federal Supreme Court has made a decision on Brüstle case in 2012, in which the human embryo appears to be interpreted narrower than the ECJ. In the future, it is anxious how both ECJ’s judgment and German Federal Supreme Court(BGH)’s judgment on Brüstle case are influenced upon European Patent Office as well as other european countries’ courts. It is meaningful for u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nterpretations of ECJ and BGH on patentability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in Europe.



목차

I. 들어가며
II. EU 바이오지침에서 인간배아줄기세포의 특허보호
III. 유럽사법재판소의 판결 - Brüstle v. Greenpeace 사건(C-34/10)
IV. 유럽사법재판소 판결(C 34/10) 후 각국의 동향
V. 맺으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인간배아줄기세포의 특허성, EU 바이오지침(98/44/EC), 인간배아의 파괴, 유럽사법재판소, Brüstle 사건, Patentability of Human embryonic stem cells, Directive 98/44/EC, destruction of human embryo, European Court of Justice, Brüstle case



상세서지

  • 발행기관 : 한국지식재산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 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 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350554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0 18 인체실험 Genetic Comparison of Stemness of Human Umbilical Cord and Dental Pulp / 김현옥 2016  142
19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의 혈액모세포 및 기능성 혈관세포 분화 방법과 특성 연구/ 길창현 2016  358
18 18 인체실험 Improved Transfection Efficiency and Metabolic Activity in Human Embryonic Stem Cell Using Non-Enzymatic Method / 황인규 2016  222
17 18 인체실험 인간 유도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유래된 신경세포구를 이용한 망막전구세포의 분화 및 생존에 관한 연구 / 윤철민 2016  244
16 18 인체실험 세계 각국의 인간 배아줄기세포주 분석 및 이용 연구 현황 / 정주원 외 2012  148
15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동결에 이용되는 동결방지제에 대한 연구 / 정주원 외 2013  150
14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실 단기 교육 프로그램 / 이재인 외 2013  82
13 18 인체실험 미국과 영국의 줄기세포은행 시스템 비교 / 윤보애 외 2013  128
12 18 인체실험 인간배아복제 연구에 관한 헌법학적 고찰 / 민경식 외 2014  936
11 18 인체실험 임상등급 인간 배아줄기세포주 확립 연구 동향 / 설혜원 외 2014  316
10 18 인체실험 첨단의료보조생식에 근거한 민법 제844조 친생자 추정에 관한 고찰 / 유지홍 2015  328
9 18 인체실험 배아복제 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줄기세포 연구의 한계 / 김광연 2015  2236
8 18 인체실험 사람의 골수와 제대정맥에서 유래된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TREK1 통로의 기능적 발현 / 박경선 외 2015  225
7 18 인체실험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Non-coding RNAs의 기능 / 백진아 외 2015  107
6 18 인체실험 줄기세포로부터 퇴행성 황반변성 치료를 위한 망막색소상피의 생선 연구 동향 / 유대훈 외 2015  271
5 18 인체실험 임상 적용을 위한 인간 배아줄기세포 배양 환경에 관한 연구 동향 / 정주원 외 2015  138
4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의 법적 지위에 대한 인격적 측면에서의 고찰 -인격성의 본체로서 DNA의 성격을 중심으로- / 유지홍 2015  237
3 18 인체실험 인간 대상 연구에서 타자에 대한 책임을 통한 연구자-연구 대상자 관계 윤리 정립 / 김진경 2014  209
» 18 인체실험 인간배아줄기세포의 특허보호에 관한 유럽의 최신 동향 : 유럽사법재판소의 Brüstle v. Greenpeace 판결을 중심으로 / 한지영 2014  1223
1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와 중개연구에 있어서 연구대상자보호의 규제에 관한 고찰 / 박수헌 2014  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