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윤리정책연구 제8권 제1호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3478781 
한국어 초록
  「줄기세포연구 국제사회」(International Society for Stem Cell Research, ISSCR)와「미국 국가 과학원」(National Academy of Science, NAS)은 줄기세포연구와 줄기세포 중개연구에 있어서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한 규제 모델에 중점을 둔 가이드라인을 각각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특히, 2008년 ISSCR 가이드라인은 줄기세포 중개연구에 있어서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한 규제 모델을 마련하였고, 이 논문에서 줄기세포 중개연구에 있어서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한 규제 모델에 관한 검토 대상이 된다. 줄기세포연구에 있어서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한 규제모델과 관련하여, 2005년 NAS 가이드라인은 독립 기구인「배아줄기세포연구 감독 기능을 수행하는 위원회」(Embryonic Stem Cell Research Oversight, ESCRO 위원회) 설립을 연구가 행해지는 해당 기관의 의무사항으로 요구하였고, 2007년 이후 제정된 가이드라인들에서는 그 위원회의 설치의무를 완화하여 반드시 해당 연구기관에 이 위원회를 설치할 필요는 없고 다른 기관에서 설치한 위원회를 이용하거나 통합운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반면에, 2006년 ISSCR 가이드라인은 별도의 ESCRO 위원회 설치를 의무화하지 않았다. 그 대신, 특별 감독 매커니즘 또는 기구에 의한 줄기세포연구감독(Stem Cell Research Oversight, SCRO)이라는 절차를 통해 줄기세포연구를 규제하는 모델로 삼았다. 줄기세포 중개연구의 규제모델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경우에 실험실 연구로부터 최초 인간대상 연구와 대규모 임상시험에 이르는 순차적으로 행해지는 단계별 절차가 될 것이라는 것을 추정하여, 전반적으로 현재 전통적 연구 윤리 패러다임을 잘 다듬어 상세히 설명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즉, 2008년 ISSCR 가이드라인은 현존 임상연구 감독 메카니즘에 줄기세포에 관한 전문성을 지닌 위원을 통해 임상시험 계획서를 심의할 수 있도록 보완적 방안을 제시해 두고 있다. 그리고, 전임상연구에서는 특히 독립적인 동료전문가 심사의 중요성을 강조해 두고 있다. 나아가,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의 도덕적 논쟁 상태와 인간으로 될 수 있던 배아줄기세포의 운명과 관련한 불확실성에 따라서, 이러한 접근들은 엄격한 충분한 정보에 의한 동의절차뿐만 아니라 줄기세포 기반 중재를 받은 사람들에 대한 정밀하고 장기간의 모니터링에 대한 요구도 강조한다. 그래서, 줄기세포 중개연구의 규제모델을 규정하고 있는 2008년 ISSCR 가이드라인은 환자들의 생명을 구하고 변화시킬 수 있는 치료를 위한 임상연구가 적절히 이행될 수 있도록 한편으로는 환자들의 보호, 다른 한편으로는 치료의 혁신을 위해 균형잡힌 행동을 위한 출발점을 제공한다 하겠다.



영어 초록

  NAS and ISSCR have enacted two guidelines focusing regulatory models for protecting human subjects in stem cell research and stem cell translational research. Especially, 2008 ISSCR Guidelines would be the subject and be examined for protecting human subjects in stem cell translational research in this article. In order to provide regulatory models for protecting human subjects in the stem cell research, 2005 NAS Guidelines has required independent ESCRO Committee as a duty of the institutions for establishing and use of human embryonic stem cell lines. However, 2007 NAS Guidelines has reduced this strict obligation by using another institution’s ESCRO Committees. On the part of 2006 ISSCR Guidelines, it was not required as a duty of institution for establishing ESCRO Committee. Instead, this guideline provided that special SCRO Procedure not ESCRO Committee was enough to give approval to the stem cell research. In regard to stem cell translational research, stepwise process is assumed and based on the traditional research ethics paradigms. 2008 ISSCR Guidelines suggested that stem cell specific experts could review stem cell research protocols. And, in pre-clinical trials for stem cell translational research, the use of independent peer review was stressed. In addition, informed consent and long-term monitoring to the patients should be obtained and taken in order to resolve uncertainties in the embryonic stem cell. Thus, 2008 ISSCR Guidelines has to play an important role as starting point balancing treatment and innovation.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줄기세포 중개연구
Ⅲ. 줄기세포연구의 규제 모델
Ⅳ. 줄기세포 중개연구의 규제 모델
Ⅴ. 맺는말
Abstract



키워드

연구대상자 보호, 줄기세포연구, 줄기세포 연구의 규제, 줄기세포 중개연구, ESCRO 위원회, SCRO 절차, ESCRO Committee, Protection of Human Subjects, Regulation of Stem Cell Research, Stem Cell Research, Stem Cell Translational Research, SCRO Procedure



상세서지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 등재후보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 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347878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75 18 인체실험 웹기반의 실시간 e-IRB시스템 설계 및 구현 / 김동욱 2013  618
274 18 인체실험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의학연구 실험에 관하여 / 김장한 2012  609
273 18 인체실험 과학 보도 실패에 대한 ANT 사례 분석 / 이충환 2013  596
272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의 지역간 불균형 현황 및 발전 방안 모색 / 최지혜 외 2015  592
271 18 인체실험 임상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의료윤리의 실제/임명호 2015  579
27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 보상에 관한 윤리 / 허정윤 2015  576
269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에 대한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과 임상연구코디네이터(CRC)의 인식비교/김선희 2015  570
26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취약한 피험자의 권리 / 김민우 2013  547
267 18 인체실험 재생의학 기술 개발을 위한 세포접착 제어를 통한 중간엽 줄기세포의 기능 조절 연구 / 강정미 2016  547
266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 김지연 2003  539
»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와 중개연구에 있어서 연구대상자보호의 규제에 관한 고찰 / 박수헌 2014  534
26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동의과정에서 피험자 보호 방안 / 이연진 2013  532
263 18 인체실험 생명윤리원칙에 근거한 인간대상연구의 개인정보보호방안 모색 / 백소영 2016  527
262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에 관한 법적 규제 / 전자영 2010  518
261 18 인체실험 영국, 미국, 한국의 줄기세포연구에 관한 정책변동 비교 분석 :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모형의 적용 / 배그린, 강민아 2013  517
260 18 인체실험 인간연구대상자 보호 프로그램(HRPP) / 권복규 2015  512
259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관리약사의 업무현황과 발전방향 / 정승숙 2003  512
258 18 인체실험 인체실험에 대한 연구윤리 / 임우열 2007  511
257 18 인체실험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가치관에 대한 조사 연구 / 윤길자 1992  506
256 18 인체실험 한국 체류 난민의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난민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손주희 2018  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