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社會科學硏究 Vol.26 No.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922737 

 

황우석 사태 이후의 배아줄기세포 연구

 =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after Hwang Affair in South Korea

 

 

  • 제어번호 : 99922737
  • 저자명 : 김병수 ( Byoung Soo Kim )
  • 학술지명 : 社會科學硏究
  • 권호사항 : Vol.26 No.2 [2014]
  • 발행처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235-251(17쪽)
  • 언어 : Korean [※ 본문의 언어가 다를 수 있으니 미리보기를 확인해 주십시오]
  • 발행년도 : 2014년
  • 등재정보 : KCI등재후보
  • 주제어 : 배아줄기세포 ,배아복제 ,줄기세포 연구 정책 ,Embryonic stem cell ,Embryonic cloning ,Stem cell policy
  •  

    서지출처 : http://www.riss.kr/link?id=A99922737

     

     

    [ 초록 ]

    2013년 5월 생명과학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인 셀(cell)지에 인간배아줄기세포 확립에 대한 논문이 실렸다.

     미국 오리건 대학의 연구팀이 체세포 핵이식(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방식을 이용해 인간배아를 복제한 후

     줄기세포 추출에 성공한 것이다. 이 논문은 전 세계적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1998년 잔여 수정란에서

     인간배아줄기세포를 확립한 이래 황우석 박사를 비롯한 많은 연구자들이 배아복제를 통해 줄기세포를 얻으려고

     노력했으나 계속 실패했기 때문이다. 국내 언론에서는 황우석 박사가 하지 못한 일을 외국 연구자가 성공했다거나

    엄격한 규제로 인해 우선권을 놓쳤다며 큰 관심을 보였다. 지난 10여년 동안 인간배아복제는 과학적 가능성과

    다양한 윤리 사회적 문제로 인해 사회적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다. 복제 줄기세포가 실제로 임상에 사용될 수 있을 지를

    둘러싼 논쟁에서부터 인간 배아파괴, 다량의 인간 난자 사용 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격렬한 논쟁이 있었고 논쟁 결과 중

    일부는 법률이나 지침에 포함되기도 했다. 인간배아복제 성공은 과거에 논쟁이 되었던 쟁점들을 재검토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 실현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었던 배아복제가 성공 했을 뿐만 아니라 황우석 사태라는 세계적

    사건을 겪은 우리나라 줄기세포 정책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배아복제 성공을 계기로 지난

    논쟁을 통해 드러난 일부 쟁점들을 재검토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15 18 인체실험 한의표준임상정보화의 과제와 전망 - 지정토론문 / 김태훈 2018  38
    314 18 인체실험 바이오 정보 보호에 관한 최근 주요이슈 및 법규 개선방안 / 정승일 2016  45
    313 18 인체실험 암 환자의 임상시험 참여 의향과 연관된 요인: 탐색형 서술적 문헌고찰 / 김건형 외 2016  47
    312 18 인체실험 만성 질환 임상시험 참여 대상자의 태도와 참여 결정 시 고려사항 / 이주연 2017  53
    311 18 인체실험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운영에서 얻은 교훈 / 이동익 2007  54
    310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은행 운영방안에 대한 제안 / 정교민 2009  54
    309 18 인체실험 임상시험과 환자를 위한 구체적 의료행위의 구분기준에 관한 고찰 / 강한철 2013  54
    30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피험자와 자기결정 : 독일의 논의를 중심으로 / 김기영 2010  57
    307 18 인체실험 The Paradoxical Problem with Multiple-IRB Review 2010  58
    306 18 인체실험 줄기세포기반치료에 대한 미국의 규제 경향 고찰 / 박수헌 2016  64
    305 18 인체실험 한의표준임상정보화의 과제와 전망 / 윤영흠 2018  65
    30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의 동의의 법적 유효성과 설명의 내용 : 일본에서의 논의와 우리나라에서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 송영민 2012  66
    303 18 인체실험 국내 비임상시험기관에 대한 외국 규제기관 수검 사례 / 정은주 2013  66
    302 18 인체실험 How Closely Do Institutional Review Boards Follow the Common Rule? 2012  67
    301 18 인체실험 이종이식 임상적용에서의 인권침해 요소에 관한 법적 고찰 /차유경, 모효정 2014  70
    30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시행대상자설명서의 가독성 평가 / 최임순 외 2016  70
    299 18 인체실험 인간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Nkx2.5+ 심장전구세포의 isoflurane에 의한 전처치 효과에서의 protein kinase C-ε의 역할 / 송인애 2016  71
    298 18 인체실험 신약 임상시험의 과정 및 관련지침 / 신상구 1994  71
    29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 정당화 요건과 형법적 통제 / 김현조 2015  71
    29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규제완화, 국민은 실험대상이 아니다 2016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