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논고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630540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지원을 위한 법적 과제 

= Legal Issues for the Support of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 저자[authors] 김민우(Kim, Min-Woo)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법학논고
  • 권호사항[Volume/Issue] Vol.63No.-[2018]
  • 발행처[publisher]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41-16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주제어[descriptor] 배아줄기세포,생명과학기술,생명윤리법,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기관생명윤리위원회,Embryonic Stem Cell,Biotechnology,Bioethics Law,National Bioethics Committee,Institutional Bioethics Committee
초록[abstracts] [생명과학기술의 발전은 인간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수명 연장에 기여해 왔다. 전 세계적으로 생명과학기술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고 동시에 인간과 자연에 대한 돌이킬 수 없는 위험의 가능성이 예견되면서 인간의 존엄성 등과 관련된 헌법적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처럼 생명과학기술의 발전은 동전의 양면처럼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비롯한 일련의 생명공학에 대한 규범적・윤리적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증가하면서 세계 각국은 이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게 되었다. 이에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국제사회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을 위해서 하루빨리 배아줄기세포연구에 대한 지원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을 얻고 있다.    이 논문은 생명윤리법상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둘러싼 현황과 문제점을 점검하고 분석하는 것 이외에도 이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황우석 사태 이후, 국내배아줄기세포 연구의 정책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그 이면에 존재하고 있는 생명윤리의 진보를 위해서 생명공학 분야는 계속 국가의 지원을 받으면서 정책적으로나 법제도적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has improved the quality of life and health of humans, and also contributed to the life extension. In the whole world, the biotechnology is continuously developing. As the possibility of irreversible danger to humans and nature is predicted, the constitutional issues related to humans" dignity have been raised. Just like the heads and tails,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at the same time.    With the increased opinions about establishing the normative/ethical standards of a series of biotechnology including the embryonic stem cell researches, each country in the world has established the relevant standards. With the prospect of more intense competition for the embryonic stem cell researches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it would be urgently needed to strengthen the measures for supporting the embryonic stem cell researches for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    On top of reviewing and analyzing many issues related to the embryonic stem cell researches under the bioethics law, this paper also suggested the alterna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embryonic cloning researches by understanding the changes in domestic policies of stem cell researches since the Hwang, Woo-Suk scandal because the biotechnology area should be continuously researched institutionally and legally under the national support for the advancement of bioethics.]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국내외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법적 현황  Ⅲ.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제한과 한계  Ⅳ.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지원을 위한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15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세폐지의 타당성 검토 / 김찬섭 2016  23661
314 18 인체실험 일본의 「임상연구법」이 한국의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2018  22159
313 18 인체실험 의약품 안정성 시험의 통계적 고찰 / 전정우 2009  11936
312 18 인체실험 The Silent Majority: Who Speaks at IRB Meetings? 2012  4575
311 18 인체실험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가치관과 윤리적 갈등문제에 관한 연구 / 안은숙 1994  4339
310 18 인체실험 Editorial: The 2013 special issue on stem cell biology / Dangsheng Li 2013  3950
309 18 인체실험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와 임상시험의 문제점 / 류화신 2013  2995
308 18 인체실험 항암제의 국내 임상시험 소요기간 및 허가동향에 대한 연구 / 이예린 2017  2477
307 18 인체실험 배아복제 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줄기세포 연구의 한계 / 김광연 2015  2233
306 18 인체실험 Stem cell research policies around the world / Deepali Dhar and John Hsi-en Ho 2009  1997
305 18 인체실험 건국대학교 의과대학에서의 임상연구를 위한 기반 조성에 관하여 / 배진우 2003  1535
304 18 인체실험 선진 외국의 동물대체시험법 개발현황과 전망 / 이진구 2016  1497
303 18 인체실험 인간배아줄기세포의 특허보호에 관한 유럽의 최신 동향 : 유럽사법재판소의 Brüstle v. Greenpeace 판결을 중심으로 / 한지영 2014  1223
302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와 암세포에서 공통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의 특성 분석/신정아 2012  1204
301 18 인체실험 물리적 인장 자극에 의한 줄기세포의 분화에 동반되는 미토콘드리아의 특성 변화에 관한 고찰 / 신지원 외 2015  1172
300 18 인체실험 인체 유래물 등과 역학정보의 폐기 / 정규원, 김수영 2013  1097
299 18 인체실험 IRB 심사 통과를 위한 효율적인 연구계획서 작성법 / 홍정화 2012  1097
298 18 인체실험 치의학 분야의 줄기세포 연구와 임상적 동향 / 김현옥 2017  1029
297 18 인체실험 황우석 사태 이후의 배아줄기세포 연구 / 김병수 2014  947
296 18 인체실험 한국에서 생명공학의 발전과 생명윤리 / 한지영 2015  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