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다문화사회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814271 
한국 다문화 정책의 입법현황 

= Legislators’ Bills on Multicultural Policy in the National Assembly

  • 저자[authors] 민태은(Min, Tae Eun),오혜진(Oh, Hye Ji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다문화사회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0No.1[2017]
  • 발행처[publisher] 숙명여자대학교 다문화통합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97-12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다문화 정책,의원 발의안,결혼이주여성,외국인근로자,입법현황,Multicultural Policy,Legislator’s Bill,Marriage Migrant Women,Foreign Labor,Immigration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제17대부터 19대 국회까지 다문화가족지원 및 외국인근로자고용에 관한 의원 발의법안의 특성과 입법현황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의원들의 향후 다문화정책 입법행태를 전망한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다문화 정책 관련 법안발의는 주로 여당의원, 보수정당의원, 초선의원, 비례대표의원, 여성의원, 또는 50대 의원들이 적극적이었다. 특히, 다문화가족지원법의 경우 여당, 여성비례대표, 결혼이주여성이 많은 지역구 출신, 보수당 내의 연령이 낮은 의원들에 의한 발의가 활발하다. 발의 의원의 특성에서 정당 간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결혼이주여성 및 다문화가족에 대한 지원은 보수정당 의원과 더불어 다문화가정의 비율이 높은 지역구 의원의 발의가 많았다. 특히 지역구 의원 다문화 가족 지원과 관련한 높은 발의는 결혼이주여성은 영주자로서 거주지역의 선거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이주의 형태가 다양해지고 이민자의 수가 증가될수록 이들을 대변할 법안 발의가 증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동시에 이러한 결과는 이주민의 증가로 인해 지역 내 다양한 사회집단의 이익이 상충할 때, 다문화 정책과 관련하여 의원 및 정당 간 갈등이 커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legislators who proposed bills on multicultural policies–multicultural family and foreign labor policies- from the 17th to 19th Korean National Assembly. Through this, we aim to discuss legislators’ future behavior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y and foreign labor bills. political parties have not taken divergent positions on multicultural policies. However, we find that conservative party members, newly-elected legislators, proportional representative members, female members, and members over 50 are more likely to propose bills on multicultural policies. Particularly, district representatives elected from districts with high share of marriage migrant women are more likely to propose bills supporting multicultural families and migrant women. This result indicates that multicultural policies will become more important legislative agendas as the number and types of immigrants will have been increasing. In addition, with the increasing immigrants, diverse stakeholders would emerge. As a result, with multicultural polices, conflicts among legislators an political parties will get more complex and noticeable.]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검토 및 연구의 필요성  Ⅲ. 자료와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75 18 인체실험 미국과 영국의 줄기세포은행 시스템 비교 / 윤보애 외 2013  128
74 18 인체실험 모바일 기술을 이용한 임상시험 대상자 관리 연구 개발 동향 보고서 / 박선경 2017  128
» 18 인체실험 한국 다문화 정책의 입법현황 / 민태은 2017  127
7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모니터요원의 임상시험관련 연구윤리 인식도 평가 및 인식도가 업무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송윤선 2016  125
71 18 인체실험 전문가들의 미래기술 예측은 왜 빗나가는가? / 박보야나 외 2015  123
70 18 인체실험 미성년 연구대상자 보호를 위한 동의 요건 고찰 : 한국과 미국의 법적규제 중심으로 / 이예리 2014  123
69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신고제 도입을 위한 관리제도 개선방안 / 김원희 2009  122
68 18 인체실험 임상윤리상담과 병원윤리위원회 / 최경석 2017  121
67 18 인체실험 빅데이터 기반 의료 임상 결과 분석 / 황승연 외 2019  120
66 18 인체실험 난소줄기세포에 관한 연구 동향 / 김윤영 외 2013  119
65 18 인체실험 웹 기반 임상시험의 윤리적 고찰: 재택기반 의약품 임상시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영옥 2017  119
6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가 지각한 임상연구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간호서비스 만족도 / 서미선, 박영임 2016  117
63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의 이용과 형사법적 규제 / 최민영 2018  117
6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피험자의 만족도와 영향요인 / 백승식 2010  116
61 18 인체실험 배아연구와 인간의 존엄과 가치 / 서종희 2011  114
60 18 인체실험 신문의 방송비평기사의 공정성에 관한 연구 : ‘황우석 사건’ 방송보도에 대한 일간지의 비평기사를 중심으로 / 나영지 2009  113
59 18 인체실험 초대받은 임상시험 / 송화선, 박범순 2018  113
58 18 인체실험 암 임상시험 실무지침서 내용개발 / 신용민 2017  112
57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치료제의 규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김현수 2016  110
56 18 인체실험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Non-coding RNAs의 기능 / 백진아 외 2015  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