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536471 

사회행동과학 분야 연구자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심의에 대한 지식과 태도


= Knowledge and attitude of social behavioral researchers on institutional review board(IRB) review<br>


  • 저자[authors] : 이고은
  • 발행사항 : 서울 :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 형태사항[Description] : vi, 80장 ; 26 cm
  • 일반주기명[Note] : 지도교수: 오의금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 학위논문(석사) --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2017.8
  • 발행국(발행지)[Country] :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 2017
  • 주제어 : 사회행동과학연구,기관생명윤리위원회,심의,지식,태도,social behavioral research(SBR),institutional review board(IRB),review,knowledge,attitude
  • 소장기관[Holding] :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211046)


초록[abstract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o examine knowledge and attitude of social behavioral researchers on Institutional Review Board(IRB) review. The data was collected by internet surveys from Oct. 10, 2016 and Dec. 30, 2016 by sending e-mails to a total 650 of researchers as a survey target who are studying at a graduate school or have completed a course in Korea with a major in Nursing, Education, Public health, Social welfare, Psychology, Paedology, Physical Education, etc. Data collection instruments use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advanced researches. A total of 165 answered the survey and 124 of them were finally analyz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version 21.0 for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Pearson’s correlation, etc.&#x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xD; 1.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behavioral researchers were that average age was 30.84±5.20 years, female dominated with 79.8%. The major in Nursing was the most with 23.4%, followed by Psychology 20.2%, Social welfare 14.5%, Paedology 11.3%, Physical education 10.5%, Education 8.1%, Health science 7.3%. The students in the master's course were a majority (51.6%), average research experience was 2.02±1.98 times, and 71.8% of the researchers did not have experience as research director. In addition, 67.7% of the researchers answered that IRB was installed in their organizations, 37.9% of the researchers and 71.8 of the researchers respectively had experience in applying for IRB review and related education for the last two years.&#xD; 2. The objective knowledge means social behavioral researchers' objective understanding on IRB review, and the level of objective knowledge was low (mean score 16.01±4.04 out of 24, average correct answer was 66.7%). The area of lowest objective knowledge was ‘Subjects for IRB review(average correct answer rate 48.0%)’. The subjective knowledge means the level of social behavioral researchers' subjective awareness on preparation for IRB review, and the level of subjective knowledge was 39.95±19.81 out of 80. The score for ‘Application for review of protocol modifications(mean score 4.48±2.88 out of 10)’, ‘Application for continuing review of research(4.31±2.79 out of 10)’ and ‘Application for review of research closure(4.24±2.77 out of 10)’ was lower than ‘Writing research proposal(5.92±2.74 out of 10)’, ‘Writing informed consent(5.81±2.72 out of 10)’.&#xD; 3. The attitude means social behavioral researchers' thinking on IRB review, education and guide, and attitude score was slightly more positive than normal(mean score 3.49±0.56 out of 5). It was less positive about ‘Merit of IRB review(mean score 3.19±0.70 out of 5)’, ‘Authority of IRB(3.00±0.86 out of 5)’ than ‘Need for IRB review(3.83±0.80 out of 5)’, and the score of ‘Need for education and guide(3.96±0.64 out of 5)’ was lower than ‘Appropriateness of education and guide(3.05±0.90 out of 5)’. Researchers cited ‘Writing document for IRB review(75.0%)’ and ‘Period of time for approve(71.2%)’, etc. as difficulties in deliberation, wanted ‘Education about document preparation for IRB review(55.6%)’, ‘Education about application for review of protocol modifications and continuing review of research, etc.(50.8%)’, ‘simplification of IRB review document(49.2%)’, ‘Sample template for IRB review document(46.0%)’, ‘Disclosure of matters frequently referred to as IRB review results(44.4%)’, etc.&#xD; 4. Significant differences of knowledge, attitude according to social behavioral researchers' characteristics was that the level of objective knowledge among majors in Nursing, Health science was higher than the others (F=23.99, p&lt;.001). Researchers who had installed IRB in their institutions or who had applied for IRB review within the last two years had greater objective knowledge (t=-4.347, p&lt;.001, t=-3.852, p&lt;.001) &amp; subjective knowledge than otherwise (t=-4.172, p&lt;.001, t=-9.783, p&lt;.001). In addition, research workers, practitioners showe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IRB review than Graduate students (F=8.185, p&lt;.001), and the participants who had satisfied more than the average related to educations in the last two years showe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IRB review than the others (F=8.206, p=.001).&#xD; 5. Social behavioral researchers' objective knowledge on IRB review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knowledge (r=.327, p&lt;.001), attitude (r=.221, p=.014). However, researchers' subjective knowledge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attitude (p&lt;.748).&#xD; Based on the study results, in order to improve the knowledge level on IRB review among social behavioral researchers and to form a positive culture, more practical training programs and guide on the topics that researchers need should be provid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foundation to develop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s that are actually necessary for researchers and to establish practical improvement plans by confirming the difficulties felt by researchers and the educational and improvement requirements on IRB review.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사회행동과학 분야 연구자들의 IRB 심의에 대한 지식 수준과 태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간호학, 교육학, 보건학, 사회복지학, 심리학, 아동학, 체육학 등을 전공으로 국내 대학원 석 &#x2024;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거나 과정을 수료한 연구자 650명을 대상으로 이메일을 발송하여 2016년 10월 10일부터 2016년 12월 30일까지 인터넷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도구는 선행 연구에 기반하여 연구자가 자체 개발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대상자는 총 165명 이었으며, 이 중 124개 자료가 최종 분석되었다. 통계 분석은 SPSS/WIN version 21.0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Pearson 상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xD;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xD; 1. 사회행동과학 분야 연구자의 특성에 있어 평균 연령은 30.84±5.20세였으며, 여자가 79.8%로 남자보다 많았다. 전공은 간호학이 23.4%로 가장 많았으며, 심리학 20.2%, 사회복지학 14.5%, 아동학 11.3%, 체육학, 10.5%, 교육학 8.1%, 보건학 7.3% 순으로 분포하였다. 학위 수준은 석사 과정 중인 학생이 51.6%로 가장 많았으며, 박사 과정 중 22.6%, 석사 20.2%, 박사 5.6% 순이었다. 연구 참여 횟수는 평균 2.02±1.98회였으며, 71.8%의 연구자는 연구책임자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67.7%의 연구자가 소속 기관에 IRB가 설치되어 있다고 답하였으며, 37.9%, 71.8%의 연구자가 각각 최근 2년 간 심의 신청 및 관련 교육 이수 경험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xD; 2. 사회행동과학 분야 연구자의 IRB 심의에 대한 객관적 지식은 IRB 심의 및 연구자 준수 사항에 대한 연구자의 객관적 이해 정도로서 24점 만점 기준 평균 16.01 ±4.04점, 정답률 66.7%로 낮은 수준이었다. 영역별로는 ‘IRB 심의 대상’에 대한 정답률이 48.8%로 가장 낮았다. IRB 심의에 대한 주관적 지식은 IRB 심의 준비에 대한 연구자의 주관적 인식 정도로서 80점 만점에 평균 39.95±19.81점 수준이었으며, ‘연구계획서 작성(10점 만점 기준 5.92±2.74점)’ 및 ‘동의서 설명문 작성(5.81±2.72점)’ 등 신규과제 심의 보다 ‘연구계획변경(4.48±2.88점)’, ‘지속심의(4.31±2.79점)’, ‘종료보고(4.24±2.77점)’ 등 연구 수행 과정에서 필요한 심의 신청 방법에 대한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xD; 3. 사회행동과학 분야 연구자의 IRB 심의에 대한 태도는 IRB 심의 및 관련 교육 &#x2024; 안내 등에 대한 연구자의 생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5점 만점에 평균 3.49±0.56점으로 보통보다 약간 긍정적인 수준이었다. ‘심의의 필요성(3.83±0.80점)’에 비해 ‘심의의 유익성(3.19±0.70점)’, ‘심의 권한(3.00±0.86점)’에 대해 덜 긍정적이었으며, ‘교육 및 안내의 필요성(3.96±0.64점)’에 비해 실제 제공되는 ‘교육 및 안내의 적절성(3.05±0.90점)’에 대한 점수가 낮았다. 심의 경험이 있는 연구자의 75.0%, 71.2%가 ‘심의 서류 작성’, ‘최종 승인까지 소요시간’ 등 심의 절차상의 문제를 IRB 심의 시 어려운 점으로 꼽았으며,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IRB 심의 서류 작성 방법(55.6%)’, 특히 ‘신규과제 외 계획변경, 지속심의 등 심의 신청(50.8%)’에 대한 교육 및 ‘심의 서류 간소화(49.2%)’, ‘심의 서류 별 예시 템플릿 제공(46.0%)’ 및 ‘심의 결과로 자주 지적되는 사항에 대한 공개(44.4%)’ 등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xD; 4. 사회행동과학 분야 연구자의 특성에 따른 지식과 태도의 유의한 차이로는 간호 및 보건학 전공자들의 객관적 지식 수준이 타 전공자들에 비해 높았으며(F=23.99, p&lt;.001), 소속 기관에 IRB가 설치되어 있거나, 최근 2년간 IRB 심의 신청 경험이 있는 경우에 객관적 지식 수준(t=-4.347, p&lt;.001, t=-3.852, p&lt;.001)과 주관적 지식 수준(t=-4.172, p&lt;.001, t=-9.783, p&lt;.001)이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원생보다 연구원, 실무자의 경우(F=8.185, p&lt;.001), 최근 2년 간 참여한 교육에 대해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나타낸 경우(F=8.206, p=.001)에 IRB 심의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xD; 5. 사회행동과학 분야 연구자의 IRB 심의에 대한 객관적 지식과 주관적 지식(r=.327, p&lt;.001), 그리고 객관적 지식과 태도(r=.221, p=.014)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 IRB 심의에 대한 주관적 지식과 태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lt;.748).&#xD;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사회행동과학 분야 연구자의 IRB 심의에 대한 지식 수준의 향상 및 긍정적인 문화 형성을 위해서는 연구자들이 필요로 하는 주제에 대한 보다 실제적인 교육 프로그램 및 안내의 제공 등 중재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IRB 심의 진행에 있어 연구자들이 느끼는 어려움이나 교육 및 개선 요구 사항들을 확인함으로써 연구자들에게 실제적으로 필요한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무적인 개선안을 마련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35 18 인체실험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의 개선방안 / 김장한 2006  216
134 18 인체실험 유도만능 줄기세포 제작 기술의 발전 및 응용 / 조승우 외 2014  214
133 18 인체실험 생명윤리에서 바라 본 형사법적 쟁점 / 박광현 2013  211
132 18 인체실험 인간대상연구에서 소아의 권리보호방안 모색 / 김진경 2016  210
131 18 인체실험 인간 대상 연구에서 타자에 대한 책임을 통한 연구자-연구 대상자 관계 윤리 정립 / 김진경 2014  209
13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연구자의 주의의무 / 김수영 2015  206
129 18 인체실험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 전문성 유지를 위한 교육 및 자격에 대한 고찰 / 김근희 2012  206
128 18 인체실험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운영현황 실태분석 및 개선안 모색 / 김병수 2008  205
12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이상반응의 IRB 보고 체계와 심의 절차 및 방법에 관한 연구 / 이도윤 2012  204
126 18 인체실험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한 심장질환 관련 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동향 / 김윤영 외 2014  203
125 18 인체실험 임상연구의 통상진료비용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 타당성 / 정설희, 조재영 2017  203
124 18 인체실험 학과 연구심의위원회(DRB)의 설립 및 운영 / 정경미 외 2010  202
123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와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의 간세포분화능의 비교 / 김한준 2013  201
12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계약상 피험자의 민사법적 보호 -의사의 진료와 의약품임상시험과의 구별을 중심으로 / 김기영 2011  201
121 18 인체실험 과학기술 연구윤리 고찰 / 김현진 2008  200
120 18 인체실험 CRA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 이선희 2009  198
119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실시기관의 임상시험윤리교육 현황 조사 연구 / 김미정 2015  194
118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자가증식 및 분화의 후성유전적 조절 / 박지환 외 2014  192
117 18 인체실험 Trial Reporting in ClinicalTrials.gov — The Final Rule/ Deborah A. Zarin 2016  190
» 18 인체실험 사회행동과학 분야 연구자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심의에 대한 지식과 태도 / 이고은 2017  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