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차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 보건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686359 

국내외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에 대한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과 임상연구코디네이터(CRC)의 인식비교 


= Awareness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ertification for clinical research professionals(CRPs): clinical research associates(CRAs) versus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s(CRCs)


• 저자 : 김선희

• 형태사항 : 26 cm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차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 보건학 전공 2015.2

• 발행국 : 경기도

• 출판년 : 2015

• 주제어 :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 인식, CRA, CRC, ACRP, SoCRA, 한국임상시험산업본부


초록


이 연구는 국내외에서 인증이 부여되고 있는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에 대하여 CRA와 CRC의 인식도를 조사하여 두 직군 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의 필요성과 인증제에 대한 의견 분석을 통해 향후 국내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의 활성화 방향을 제시함에 목적을 두었다.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에 대한 CRA와 CRC의 인식도를 조사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국내 CRO와 외국계 CRO, 대형 종합병원 임상시험센터에서 근무하는 CRA와 CRC에게 설문 조사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최종적으로 108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국외 인증제에 대해서 CRA 직군에 비해 CRC 직군이 더 많이 인식하고 있었고 국내 인증제에 대해서는 두 직군 모두 잘 알고 있었다. CRA 직군에 비해 CRC 직군에서 인증제에 대해 더 많이 인식했던 만큼 응시한 횟수나 준비도 면에서도 CRC가 더 많이 응시하거나 준비하고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CRA에 비해 CRC가 인증제 자격도 더 많이 보유하고 있었다.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두 직군 모두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고, 인증제 보유가 실제업무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으나 인증제 자격 보유자가 실제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잘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이는 한국임상시험산업본부의 인증시험이 현재까지는 1단계(낮은 단계)인 Qualified만 시행되었고, 이러한 낮은 단계의 인증자격 보유자가 평가 대상에 포함되었기 때문으로 생각해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연봉협상에서는 두 직군 모두 자격보유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고, 취업, 이직, 승진, 인사고과 등의 현실적인 측면에서 CRC에 비해 CRA는 거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인증제 자격 시험에 대한 준비/관심 부족이나 자격취득에 대한 동기부여가 되지 못하는 이유를 찾을 수 있었다. 국내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가 실제적인 임상 지식이나 경험 등 인증직능의 질적 수준을 반영할 지표로 정착하기 위해 실제업무와 연계된 변별력 있는 평가문항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인증제 자격 취득 후 이를 유지 또는 갱신하기 위해 보수교육 외에도 이에 상응하는 오프라인, 온라인 교육프로그램 개발도 필요할 것이다. 임상시험에서 직면할 수 있는 다양한 이슈를 공유하고 해결방법에 대한 자문을 구할 수 있는 온라인 정보공유의 장을 구축하고 더 나아가 ACRP, SoCRA 총회와 같은 정기 학회 운영을 통해 보수교육이나 임상시험 관련 교육을 제공하고 교육 평점을 부여함으로써 인증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유도하는 방안도 제안해 본다.


목차


I.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가. 임상시험 전문인력의 중요성 1

(1) 임상시험 전문인력으로서의 CRC 2

(2) 임상시험 전문인력으로서의 CRA 3

나. 연구 목적 4

2. 용어의 정의 6

II. 연구 방법 7

1. 연구 대상 7

2. 연구 도구 7

3. 분석 방법 8

III. 국내외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 비교 및 필요성 9

1. 국내외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 비교 9

가. 인증 직능 비교 12

나. 응시 자격 비교 13

다. 기타 사항 비교 17

2.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의 필요성 19

IV. 결과 20

1. 일반적인 특성 20

2.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에 대한 인식 24

가.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에 대한 CRA와 CRC의 인식도 24

나. 인식도에 따른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 자격 보유 현황 26

다.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에 대한 의견 30

(1) 자격 보유 전 – 준비 과정 측면 30

(2) 자격 보유 후 -인증제 자격의 효용성 32

(3) 인증제에 대한 관심 여부에 따른 효용성 35

V. 결론 및 고찰 37

참고문헌 41

Abstract 44

부록 1. 설문지 문항 구성 참고문헌 46

부록 2. 설문지 4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95 18 인체실험 1상 임상시험 관리 매뉴얼 개발 / 김선영 2018  325
29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피험자의 만족도와 영향요인 / 백승식 2010  115
29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 류진 2014  145
292 18 인체실험 인간대상연구에서 개인정보처리에 대한 고찰 / 박태신 2018  131
291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 사전심사에서 임상시험심사위원회의 기능과 역할을 연구자적 입장에서 고찰 / 고재환 2018  74
290 18 인체실험 북한이탈주민의 국내정착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정착지원요인과 삶의 질 요인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 백남설 2018  266
289 18 인체실험 한국 체류 난민의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난민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손주희 2018  500
288 18 인체실험 이주민과 난민문제의 안보적 대응에 관한 고찰 / 이만종 2018  333
287 18 인체실험 젠더와 국제이주 / 문경희 2018  82
286 18 인체실험 개발국가의 해외이주 정책과 젠더 / 황정미 2018  148
285 18 인체실험 한국 다문화 정책의 입법현황 / 민태은 2017  127
284 18 인체실험 난임 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ACT 집단상담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 박하영 2018  257
283 18 인체실험 옥타비아 버틀러의 『킨드레드』에 나타나는 흑인 여성의 몸 : 데이나와 앨리스를 중심으로 / 강명신 2018  104
282 18 인체실험 사회행동과학 분야 연구자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심의에 대한 지식과 태도 / 이고은 2017  190
28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용 의약품 복약지도 항목에 대한 임상시험대상자 및 연구자의 요구도 조사 / 유소현 외 2017  82
280 18 인체실험 암환자의 항암제 임상시험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조사 / 전주경 2018  97
»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전문인력 인증제에 대한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과 임상연구코디네이터(CRC)의 인식비교/김선희 2015  570
27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연구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 송시은 2013  297
27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단계의 의료행위에 대한 설명의무 위반과 손해배상의 범위 / 고은섭 2017  243
276 18 인체실험 임상윤리상담과 병원윤리위원회 / 최경석 2017  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