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15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명윤리정책협동과정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390764 



인체유래물은행에서의 역동적 동의

 

  • 기타서명  Dynamic Consent for Human Material Bank

  • 저자 박선영

  • 형태사항 viii, 92 p. : 삽화.

  • 일반주기  지도교수권복규참고문헌: p. 80-8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생명윤리정책협동과정 2017. 2. 졸업

  • DDC  100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연구 목적으로 설립된 인체유래물은행에서 동의 관련 윤리적 쟁점을 살펴보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새로운 동의 방식인 역동적 동의 적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2003년에 종료된 인간게놈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 HGP) 이후로 유전자를 이용한 연구가 증가하였고, 연구자들은 이러한 연구를 위해 여러 사람으로부터 채취한 다양한 인체유래물과 여기서 얻은 정보들을 보관하기 시작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유전자를 중심으로 보관·관리하는 유전자은행에서 사람으로부터 채취한 다양한 인체유래물과 그들의 의료정보 및 역학정보들까지 포함하는 인체유래물은행으로 점차 모습이 변화하였다. 연구자가 연구를 위해 은행에 인체유래물등의 분양 요청하면 은행은 연구자의 이용계획서 확인 후 익명 처리된 인체유래물과 정보를 제공하도록 규율했다. 이 과정은 연구자가 연구대상자를 모집하고 동의를 받아 인체유래물과 관련 정보를 직접 취합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연구자들에게 편리함을 가져다주었다. 인체유래물은행은 이를 위해 은행에 저장될 목적으로 인체유래물등을 기증자로부터 채취할 때 포괄동의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 포괄동의는 기증자의 인체유래물등이 특정한 범위 내에서 미래의 모든 연구에 사용되는 것에 기증자가 동의함을 의미한다. 학자들은 기증자에게 그들의 인체유래물등이 사용될 때마다 연락하여 동의를 받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그들에게 불편만 가중시키고, 또한 인체유래물은행을 통해 분양받은 것들은 익명처리되어 있어 이 인체유래물을 이용한 연구는 최소위험이라는 점을 근거로 포괄동의 방식을 적극 지지했다. 하지만 미래의 연구가 너무 광범위하고, 익명화된 인체유래물등이 재식별될 수 있어 인체유래물은행을 통한 연구가 최소위험이라고 볼 수 없다는 점, 무엇보다 한 번의 동의가 모든 연구에 똑같이 적용된다는 것이 기증자의 자율성을 보장한다고 볼 수 없다는 점을 들어 포괄동의를 보완해야 한다는 주장 생기기 시작했다. 그의 한 방법으로 본 논문에서는 역동적 동의의 도입을 제시하였다. 역동적 동의 방식은 기증자가 인체유래물은행을 통한 미래의 많은 연구들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방법으로 전자통신기술을 이용하게 된다. 기술의 발전으로 언제 어디서든지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업무를 할 수 있다는 점을 도입하는 것이다. 기증자는 인체유래물은행에 첫 기증 시 인체유래물은행의 홈페이지에 가입하고, 첫 기증 동의서에 자신이 선택한 것에 따라 연구의 정보를 받거나 다른 모든 연구에 사전 동의를 할 수 있다. 물론 이전과 똑같이 아무런 관여를 하지 않는다는 선택지를 기증자에게 제공될 수 있고, 자신의 결정을 언제든지 바꿀 수 있다. 이 방법의 큰 장점은 기존의 포괄동의가 해결하지 못한 자율성 존중의 문제를 해결해 주는 것이라고 학자들은 주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역동적 동의를 도입 시 얻을 수 있는 이득으로 기증자의 자율성 존중 외에 철회 방법의 다양성, 연구자의 연구 편리성, 상호작용을 통한 신뢰도 상승 등을 들어 살펴보고 실제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이 역동적 동의가 현실적으로 가능할지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논의가 필요하다. 역동적 동의를 도입하기 위한 시스템 구축 방법 및 적용, 연구자와 일반인들의 사회적 합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방법 및 구성 3

. 인체유래물은행의 개념 5

A. 바이오뱅크와 인체유래물은행의 개념 5

B. 목적에 따른 바이오뱅크 7

1. 보관 목적 - 생물자원은행 8

2. 기증 목적 - 조직은행, 정자·난자 은행 9

3. 식별 목적 - 유전자 정보은행(DNA bank, DNA DB) 11

4. 연구 목적 - 유전자은행과 인체유래물은행 12

. 인체유래물연구 및 인체유래물은행 관련 국내외 규범 16

A. 인체유래물연구 관련 국제 선언 및 지침들 17

1. 헬싱키 선언 17

2. 인간유전체와 인권에 관한 보편 선언 20

3. CIOMS 가이드라인 21

4. EU 가이드라인 22

B. 국내 법률 및 지침들 25

. 인체유래물은행에서의 동의와 쟁점 29

A. 다양한 형태의 동의 29

1. Informed consent와 인체유래물은행 29

2. 포괄동의와 백지동의 34

3. 역동적 동의 38

B. 인체유래물은행의 동의서 분석 46

C. 인체유래물은행에서의 동의 관련 쟁점 50

1. 자율성 존중과 알 권리 50

2. 동의 철회 53

3. 개인정보/사생활 보호 58

4. 인체유래물등의 해외 이전(유출) 60

. 인체유래물은행에서의 동의 획득 방식 적용 63

A. 인체유래물연구 종류에 따른 동의 63

1. 암연구 64

2. 인구학적 연구 66

3. 환경역학 연구 67

4. 임상정보 및 유전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검체만 사용하는 연구 68

B. 포괄동의와 피드백 시스템 69

C. 역동적 동의의 적용 72

. 결론 및 논의 76

참고문헌 80

부록1. 역동적 동의 적용 화면1 86

부록2. 역동적 동의 적용 화면2 87

ABSTRACT 9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75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의 임상적용 / 정형민 2011  98
»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은행에서의 역동적 동의 / 박선영 2017  266
273 18 인체실험 임상연구의 통상진료비용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 타당성 / 정설희, 조재영 2017  203
272 18 인체실험 헬싱키 선언의 개정내용에 대한 연구 / 박미선 2017  344
271 18 인체실험 웹 기반 임상시험의 윤리적 고찰: 재택기반 의약품 임상시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영옥 2017  119
270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스타트업 단계시 고려사항의 국가간 비교연구 : 파머징 국가를 중심으로 / 배수연 2017  307
269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수행현황 분석 :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 정항균 2017  360
268 18 인체실험 국내 의료기기 제조업체들의 임상시험 활성화 방안 연구 / 이기준 2017  132
267 18 인체실험 미국, 유럽, 일본과 우리나라의 소아 임상시험 제도 및 현황 비교 분석 / 박선영 2017  359
266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시행대상자설명서의 가독성 평가 / 최임순 외 2016  70
265 18 인체실험 암 환자의 임상시험 참여 의향과 연관된 요인: 탐색형 서술적 문헌고찰 / 김건형 외 2016  47
26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규제완화, 국민은 실험대상이 아니다 2016  71
263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 정당화 요건과 형법적 통제 / 김현조 2015  71
262 18 인체실험 국내 임상시험의 지역간 불균형 현황 및 발전 방안 모색 / 최지혜 외 2015  592
261 18 인체실험 현대 생명의료 윤리학에서의 신체 문제 / 윤성우 2008  308
260 18 인체실험 이종이식 임상적용에서의 인권침해 요소에 관한 법적 고찰 /차유경, 모효정 2014  70
259 18 인체실험 의과대학의 임상수행능력시험(CPX)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 박장희 2008  103
25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계획승인 허가규정 연구 : 항암제 관련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 김민영 2011  72
25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과 환자를 위한 구체적 의료행위의 구분기준에 관한 고찰 / 강한철 2013  54
256 18 인체실험 만성질환 임상시험 참여 대상자의 금전적 보상에 대한 태도와 참여결정 시 고려사항 / 이주연 2016  78